이억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Rkskekfk1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전주이씨대동종약원 현조약기를 근거로 일부 내용을 바로 잡습니다. 이억기 장군은 전주이씨 덕천군파에 해당하는 분이나 기존 위키백과에 양녕대군파로 오기되어 있어 바로 잡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거주지=
|거주지=
|국적= [[조선]]
|국적= [[조선]]
|별명= 자는 경수(景受), 시호는 의민(毅愍)
|별명= 자는 경수(景受), 호는 송봉(松峯), 시호는 의민(毅愍)
|학력= 선조조 무과
|학력= 선조조 무과
|직업= 무신, 군인
|직업= 무신, 군인
15번째 줄: 15번째 줄:
|배우자=
|배우자=
|자녀=
|자녀=
|부모= 이경수
|부모= 이연손
|친척= 양녕대군(5대조), [[이순신 (1554년)|이순신]] (친족)
|친척= 조선 2대 국왕 정종의 10째 아들인 덕천군의 후손이며, 신종군의 손자 심주군(沁州君) 연손(連孫)의 아들이다. , [[이순신 (1554년)|이순신]] (친족)
|서명=
|서명=
|웹사이트=
|웹사이트=
38번째 줄: 38번째 줄:
'''이억기'''(李億祺, [[1561년]] [[9월 3일]] ~ [[1597년]] [[8월 27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무신(武臣), 군인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全州), [[자 (이름)|자]]는 경수(景受), [[호 (이름)|시호]]는 의민(毅愍)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PPL_6JOb_A1561_1_0010016}}</ref> [[전라우도]][[수군절도사]]로 [[이순신]], [[원균]], [[권율]] 등과 함께 왜군 수군과 교전 중 [[삼도수군통제사]] [[원균]]의 명령에 의하여 출정했다가 전사했다. 사후 [[증직|증]] [[자헌대부]](정2품)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완흥군(完興君)에 [[추봉]]되었다.
'''이억기'''(李億祺, [[1561년]] [[9월 3일]] ~ [[1597년]] [[8월 27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무신(武臣), 군인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全州), [[자 (이름)|자]]는 경수(景受), [[호 (이름)|시호]]는 의민(毅愍)이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PPL_6JOb_A1561_1_0010016}}</ref> [[전라우도]][[수군절도사]]로 [[이순신]], [[원균]], [[권율]] 등과 함께 왜군 수군과 교전 중 [[삼도수군통제사]] [[원균]]의 명령에 의하여 출정했다가 전사했다. 사후 [[증직|증]] [[자헌대부]](정2품)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완흥군(完興君)에 [[추봉]]되었다.


[[조선 선조|선조]]의 종친이며 [[조선 태종|태종]]의 장자 [[양녕대군]]의 5대손이다.
[[조선 선조|선조]]의 종친이며 [[조선 정종|정종]]의 10째 아들 [[덕천군]]의 후손이다.


== 생애 ==
== 생애 ==
이억기는 1561년 [[양녕대군]]의 4대손 이연손의 아들로 태어났고, 어렸을 때부터 무예가 뛰어났으며 17세 때 사복시내승(司僕寺內乘)이 되고 이후 무과(武科)에 급제한 후 경흥부사(慶興府使), 온성부사 등 국방상의 요직을 역임하여 북방의 [[여진족]]을 격퇴하는 데 큰 공을 세워 무인으로서의 능력을 인정받게 된다.
이억기는 1561년 [[정종]]의 10째 아들 [[덕천군]]의 후손인 이연손의 아들로 태어났고, 어렸을 때부터 무예가 뛰어났으며 17세 때 사복시내승(司僕寺內乘)이 되고 이후 무과(武科)에 급제한 후 경흥부사(慶興府使), 온성부사 등 국방상의 요직을 역임하여 북방의 [[여진족]]을 격퇴하는 데 큰 공을 세워 무인으로서의 능력을 인정받게 된다.


[[1591년]] [[임진왜란]] 때는 전라우도 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가 되어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순신]](李舜臣),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원균]](元均)과 연합함대를 구성한 뒤 [[조선]] 수군의 기동타격군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일본]] 함대와의 여러 해전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1591년]] [[임진왜란]] 때는 전라우도 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가 되어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순신]](李舜臣),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원균]](元均)과 연합함대를 구성한 뒤 [[조선]] 수군의 기동타격군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일본]] 함대와의 여러 해전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54번째 줄: 54번째 줄:
* [[이순신]] : 충무공
* [[이순신]] : 충무공
* [[이순신 (1554년)|이순신]] : 친척
* [[이순신 (1554년)|이순신]] : 친척
* [[양녕대군]]
* [[덕천군]]
* [[장평도정]]
* [[장평도정]]
* [[서산군 (왕손)|서산군]]
* [[서산군 (왕손)|서산군]]

2014년 7월 24일 (목) 20:33 판

이억기
출생1561년
조선 한성부
사망1597년
조선 칠천량 해전
사인전사 (화기에 의해 사망)
성별남성
국적조선
별칭자는 경수(景受), 호는 송봉(松峯), 시호는 의민(毅愍)
학력선조조 무과
직업무신, 군인
종교유교 (성리학)
부모이연손
친척조선 2대 국왕 정종의 10째 아들인 덕천군의 후손이며, 신종군의 손자 심주군(沁州君) 연손(連孫)의 아들이다. , 이순신 (친족)
이억기(李億祺)
출생지 조선 경기도 한성부
사망지 칠천량해전
복무 조선
복무기간 1578년 ~ 1597년
최종계급 종2품:가선대부
전라우도 수군절도사(종2품급)
주요 참전 임진왜란
기타 이력 자헌대부(정2품) 병조판서(정2품)

이억기(李億祺, 1561년 9월 3일 ~ 1597년 8월 27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무신(武臣), 군인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는 경수(景受), 시호는 의민(毅愍)이다.[1] 전라우도수군절도사이순신, 원균, 권율 등과 함께 왜군 수군과 교전 중 삼도수군통제사 원균의 명령에 의하여 출정했다가 전사했다. 사후 자헌대부(정2품) 병조판서추증되고 완흥군(完興君)에 추봉되었다.

선조의 종친이며 정종의 10째 아들 덕천군의 후손이다.

생애

이억기는 1561년 정종의 10째 아들 덕천군의 후손인 이연손의 아들로 태어났고, 어렸을 때부터 무예가 뛰어났으며 17세 때 사복시내승(司僕寺內乘)이 되고 이후 무과(武科)에 급제한 후 경흥부사(慶興府使), 온성부사 등 국방상의 요직을 역임하여 북방의 여진족을 격퇴하는 데 큰 공을 세워 무인으로서의 능력을 인정받게 된다.

1591년 임진왜란 때는 전라우도 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가 되어 전라좌도 수군절도사 이순신(李舜臣), 경상우도 수군절도사 원균(元均)과 연합함대를 구성한 뒤 조선 수군의 기동타격군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일본 함대와의 여러 해전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조선 정부와 원균의 무리한 공격 명령을 받고 휘하의 함대를 이끌고 일본군을 공격하다가 칠천량 해전에서 패하여 최호등과 함께 전사하였다.

사후에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이 되어 자헌대부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추증되고 완흥군(完興君)으로 추봉되었다. 의민(毅愍)이라는 시호가 내려져 의민공(毅愍公)이 되었다. 1600년 여수의 충민사(忠愍祠)에 이순신과 함께 제향되었다.

연관인물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