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H-R diagram -edited-3.gif|thumb|right|320px|H-R(Hertzsprung-Russell)도<br />[[초거성]], [[거성]], [[주계열성]], [[백색왜성]] 등이 표시되어 있다.]]
[[파일:H-R diagram -edited-3.gif|thumb|right|320px|H-R(Hertzsprung-Russell)도<br />[[초거성]], [[거성]], [[주계열성]], [[백색왜성]] 등이 표시되어 있다.]]


'''헤르츠스프룽-러셀도표'''({{lang|en|Hertzsprung-Russell diagram}}, {{문화어|헤르쯔슈프룽-라쎌도표}})<ref>한국천문학회 편, 《천문학용어집》 213쪽 우단 23째줄</ref>는 [[항성천문학]]에서 [[절대등급]], [[광도]], [[항성분류]], 그리고 [[표면온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는 [[1911년]]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이, [[1913년]] [[헨리 노리스 러셀]]이 독자적으로 개발하였다.
'''헤르츠스프룽-러셀도표'''({{lang|en|Hertzsprung-Russell diagram}}, {{문화어|헤르쯔슈프룽-라쎌도표}})<ref>한국천문학회 편, 《천문학용어집》 213쪽 우단 23째줄</ref>는 [[항성천문학]]에서 [[절대등급]], [[광도]], [[항성분류]], 그리고 [[표면온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는 [[1911년]]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이, [[1913년]] [[헨리 노리스 러셀]]이 독자적으로 개발하였다. H-R도 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에는 두 종류의 표가 있다. 하나는 한 축에 별의 [[색지수]][[분광형]][[표면온도]]를 놓고, 다른 축에 [[절대등급]]을 놓은 관측자용 표이다. 각 좌표는 관측으로 얻을 수 있다.
이에는 두 종류의 표가 있다. 하나는 한 축에 별의 [[색지수]][[분광형]][[표면온도]]를 놓고, 다른 축에 [[절대등급]]을 놓은 관측자용 표이다. 각 좌표는 관측으로 얻을 수 있다.

2014년 4월 26일 (토) 12:27 판

H-R(Hertzsprung-Russell)도
초거성, 거성, 주계열성, 백색왜성 등이 표시되어 있다.

헤르츠스프룽-러셀도표(Hertzsprung-Russell diagram, 문화어: 헤르쯔슈프룽-라쎌도표)[1]항성천문학에서 절대등급, 광도, 항성분류, 그리고 표면온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는 1911년 아이나르 헤르츠스프룽이, 1913년 헨리 노리스 러셀이 독자적으로 개발하였다. H-R도 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에는 두 종류의 표가 있다. 하나는 한 축에 별의 색지수분광형표면온도를 놓고, 다른 축에 절대등급을 놓은 관측자용 표이다. 각 좌표는 관측으로 얻을 수 있다.

이론가용 표는 한 축에 표면온도를 다른 축에는 광도를 그린 것이다. 이 두 좌표는 컴퓨터 모델로부터 계산해 낼 수 있다.[2]

H-R 도표는 별의 종류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또한 컴퓨터 모델을 사용한 항성진화의 이론적 예측을 실제 별의 관측과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

이 도표를 살펴보면, 별은 도표의 어느 한 영역에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주된 부분은 좌측상단에서(뜨겁고 밝은) 시작해서 우측하단(차갑고 어두운)으로 이어지는 주계열이라고 불리는 대각선부분이다. 좌측하단은 백색왜성이 발견되는 부분이며, 주계열 위쪽은 적색거성, 초거성이 있다. 태양은 주계열상에 있으며, 광도 1(절대등급은 대략 5), 5800K 주변에 있다(G2계열 항성이다).

주석

  1. 한국천문학회 편, 《천문학용어집》 213쪽 우단 23째줄
  2. 하나의 표로 다른 표를 정확히 변환하는 것은 단순한 일이 아니며, 사용되는 모델 및 별의 나이 및 구성과 같은 매개변수에 따라 다르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