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백 (종교):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using AWB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고백'''(告白)은 다음의 의미가 있다.
'''고백'''(告白)은 다음의 의미가 있다.
# 자기의 [[신앙]]을 말로 표현하는 것이다. 최초의 신앙 고백은 세례를 받을 때, 그리스도교에 입교하려는 개종자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으로서 3세기말부터 공통의 신앙 개조(信仰個條)가 사용됨에 따라 니케아 신조·아타나시우스 신조·사도 신조 등 세 가지 신조가 신앙 고백으로 사용되어 오지만, 종교 개혁 이후 프로테스탄트 각파는 그들이 주장하는 바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독자적인 신앙 고백을 갖게 되었다.
# 자기의 [[신앙]]을 말로 표현하는 것이다. 최초의 신앙 고백은 세례를 받을 때, 그리스도교에 입교하려는 개종자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으로서 3세기말부터 공통의 신앙 개조(信仰個條)가 사용됨에 따라 니케아 신조·아타나시우스 신조·사도 신조 등 세 가지 신조가 신앙 고백으로 사용되어 오지만, 종교 개혁 이후 프로테스탄트 각파는 그들이 주장하는 바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독자적인 신앙 고백을 갖게 되었다.
# 자기의 죄를 신 앞에 고하고 [[회개]]함으로써 [[죄]]의 용서를 비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하는 것과 예배 중 일동이 같이 하는 것이 있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고해]](告解)의 표적으로서 반드시 미사를 드리기 전에 해야 한다. 사제(司祭)는 그 고백을 어떠한 일이 있어도 비밀로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 재판에 있어서도 묵비권으로써 증언을 거부하지 않으면 안 된다.
# 자기의 죄를 신 앞에 고하고 [[회개]]함으로써 [[죄]]의 용서를 비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하는 것과 예배 중 일동이 같이 하는 것이 있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고해성사]](告解)의 표적으로서 반드시 미사를 드리기 전에 해야 한다. 사제(司祭)는 그 고백을 어떠한 일이 있어도 비밀로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 재판에 있어서도 묵비권으로써 증언을 거부하지 않으면 안 된다.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2014년 4월 9일 (수) 08:55 판

고백(告白)은 다음의 의미가 있다.

  1. 자기의 신앙을 말로 표현하는 것이다. 최초의 신앙 고백은 세례를 받을 때, 그리스도교에 입교하려는 개종자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으로서 3세기말부터 공통의 신앙 개조(信仰個條)가 사용됨에 따라 니케아 신조·아타나시우스 신조·사도 신조 등 세 가지 신조가 신앙 고백으로 사용되어 오지만, 종교 개혁 이후 프로테스탄트 각파는 그들이 주장하는 바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독자적인 신앙 고백을 갖게 되었다.
  2. 자기의 죄를 신 앞에 고하고 회개함으로써 의 용서를 비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하는 것과 예배 중 일동이 같이 하는 것이 있다. 가톨릭 교회에서는 고해성사(告解)의 표적으로서 반드시 미사를 드리기 전에 해야 한다. 사제(司祭)는 그 고백을 어떠한 일이 있어도 비밀로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 재판에 있어서도 묵비권으로써 증언을 거부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