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사회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사회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자유사회주의'''({{llang|en|Liberal socialism}}, [[한자]]: 自由社會主義)는 [[국가사회주의]]({{llang|en|State socialism}})와, 신자유주의({{llang|en|Neo-Liberalism}})의 '이'적인 반대 개념에 속하는 사상이며 기존의 사회주의와 달리 사유재산 허용의 중요성을 부각한 사상이다. 자유사회주의는 국가 위주의 계획 경제, 국유화를 반대하며 [[교양사회주의]]와 혼합 경제를 지향한다. 또한, 자본주의의 모순성을 지적, 비판하여 모순점을 점진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사상이다. 기원지는 [[독일]]이며, [[1969년]] [[독일]]의 총리인 [[사회민주당]] 소속 [[빌리 브란트]]에 의해 처음으로 주창되었다. 그 후 [[이탈리아]]와 [[영국]]에 주로 퍼졌다. 이론가는 [[빌리 브란트]], 카를로 로셀리({{llang|it|Fratelli Rosselli}}), 리차드 헨리 토니({{llang|en|Richard Henry Tawney}}) 등이 있다. 과거 [[일본]]의 [[일본 사회당]]은 정치적 유연성을 따지기위해 [[자유사회주의]]를 표방하기도 하였다.
'''자유사회주의'''({{llang|en|Liberal socialism}}, [[한자]]: 自由社會主義)는 [[국가사회주의]]({{llang|en|State socialism}})와, 신자유주의({{llang|en|Neo-Liberalism}})의 '이'적인 반대 개념에 속하는 사상이며 기존의 사회주의와 달리 사유재산 허용의 중요성을 부각한 사상이다. 자유사회주의는 국가 위주의 계획 경제, 국유화를 반대하며 [[교양사회주의]]와 혼합 경제를 지향한다. 또한, 자본주의의 모순성을 지적, 비판하여 모순점을 점진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사상이다. 기원지는 [[독일]]이며, [[1969년]] [[독일]]의 총리인 [[사회민주당]] 소속 [[빌리 브란트]]에 의해 처음으로 주창되었다. 그 후 [[이탈리아]]와 [[영국]]에 주로 퍼졌다. 이론가는 [[빌리 브란트]], 카를로 로셀리({{llang|it|Fratelli Rosselli}}), 리차드 헨리 토니({{llang|en|Richard Henry Tawney}}) 등이 있다. 과거 [[일본]]의 [[일본 사회당]]은 정치적 유연성을 따지기위해 자유사회주의를 표방하기도 하였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13년 9월 8일 (일) 20:58 판

자유사회주의(영어: Liberal socialism, 한자: 自由社會主義)는 국가사회주의(영어: State socialism)와, 신자유주의(영어: Neo-Liberalism)의 '이'적인 반대 개념에 속하는 사상이며 기존의 사회주의와 달리 사유재산 허용의 중요성을 부각한 사상이다. 자유사회주의는 국가 위주의 계획 경제, 국유화를 반대하며 교양사회주의와 혼합 경제를 지향한다. 또한, 자본주의의 모순성을 지적, 비판하여 모순점을 점진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사상이다. 기원지는 독일이며, 1969년 독일의 총리인 사회민주당 소속 빌리 브란트에 의해 처음으로 주창되었다. 그 후 이탈리아영국에 주로 퍼졌다. 이론가는 빌리 브란트, 카를로 로셀리(이탈리아어: Fratelli Rosselli), 리차드 헨리 토니(영어: Richard Henry Tawney) 등이 있다. 과거 일본일본 사회당은 정치적 유연성을 따지기위해 자유사회주의를 표방하기도 하였다.

같이 보기

관련 서적

  • 나디아 어비나티 2007년 저, 《J.S. Mill's political thought: a bicentennial reassessment》
  • 카를로 로셀리 1999년 저, 《socialist heretic and antifascist exile》
  • 노엘 톰슨 1995년 저, 《Political economy and the Labour Party: the economics of democratic soci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