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십오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53번째 줄: 153번째 줄:
[[25유]] 가운데 다음의 총 14유가 [[욕계]](欲界)에 속한다.
[[25유]] 가운데 다음의 총 14유가 [[욕계]](欲界)에 속한다.


# '''[[4악취]]'''(四惡趣){{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AC%EC%95%85%EC%B7%A8&rowno=1 四惡趣(사악취)]". 2013년 6월 6일에 확인|quote=<br>"四惡趣(사악취):
# [[4악취]](四惡趣){{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AC%EC%95%85%EC%B7%A8&rowno=1 四惡趣(사악취)]". 2013년 6월 6일에 확인|quote=<br>"四惡趣(사악취):
네 가지 나쁜 갈래. 사악도(四惡道)라고도 한다. 지옥ㆍ아귀ㆍ축생(畜生)ㆍ아수라."}}
네 가지 나쁜 갈래. 사악도(四惡道)라고도 한다. 지옥ㆍ아귀ㆍ축생(畜生)ㆍ아수라."}}
## (1) [[지옥유]](地獄有) - [[6도]] 가운데 [[지옥도]]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나락가]]들을 말한다.
## (1) '''지옥유'''(地獄有) - [[6도]] 가운데 [[지옥도]]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나락가]]들을 말한다.
## (2) [[축생유]](畜生有) - [[6도]] 가운데 [[축생도]]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축생]]들을 말한다.
## (2) '''축생유'''(畜生有) - [[6도]] 가운데 [[축생도]]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축생]]들을 말한다.
## (3) [[아귀유]](餓鬼有) - [[6도]] 가운데 [[아귀도]]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아귀]]들을 말한다.
## (3) '''아귀유'''(餓鬼有) - [[6도]] 가운데 [[아귀도]]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아귀]]들을 말한다.
## (4) [[아수라유]](阿修羅有) - [[6도]] 가운데 [[아수라도]]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아수라]]들을 말한다.<!--
## (4) '''아수라유'''(阿修羅有) - [[6도]] 가운데 [[아수라도]]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아수라]]들을 말한다.<!--




-->
-->
# '''[[4주 (불교 우주론)|4주]]'''(四洲) - '''[[4대주]]'''(四大洲) 또는 '''[[4천하]]'''(四天下)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AC%EC%A3%BC&rowno=2 四洲(사주)]". 2013년 6월 6일에 확인|quote=<br>"四洲(사주):
# [[4주 (불교 우주론)|4주]](四洲) - [[4대주]](四大洲) 또는 [[4천하]](四天下)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AC%EC%A3%BC&rowno=2 四洲(사주)]". 2013년 6월 6일에 확인|quote=<br>"四洲(사주):
수미산의 사방에 있는 4개의 대주(大洲). 남을 섬부주(贍部洲), 동을 승신주(勝身洲), 서를 우화주(牛貨洲), 북을 구로주(瞿盧洲). (1) 남섬부주는 구역(舊譯)에 남염부제(南閻浮提). 수풀과 과일로써 이름을 지음. (2) 동승신주는 범어로 동비제하(東毘提河). 구역에 동불바제(東弗婆提). 몸의 형상이 수승하므로 승신(勝身)이라 이름. (3) 서우화주는 범어로 서구다니(西瞿陀尼). 소로써 팔고 사고 하므로 우화(牛貨)라 이름. (4) 북구로주는 구역에는 북울단월(北鬱單越). 승처(勝處)라 번역. 4주중에서 국토가 가장 수승하므로 승처라 이름. ⇒사천하(四天下)"}}{{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706&DTITLE=%A5%7C%ACw 四洲]". 2013년 6월 12일에 확인|quote=<br>"四洲:
수미산의 사방에 있는 4개의 대주(大洲). 남을 섬부주(贍部洲), 동을 승신주(勝身洲), 서를 우화주(牛貨洲), 북을 구로주(瞿盧洲). (1) 남섬부주는 구역(舊譯)에 남염부제(南閻浮提). 수풀과 과일로써 이름을 지음. (2) 동승신주는 범어로 동비제하(東毘提河). 구역에 동불바제(東弗婆提). 몸의 형상이 수승하므로 승신(勝身)이라 이름. (3) 서우화주는 범어로 서구다니(西瞿陀尼). 소로써 팔고 사고 하므로 우화(牛貨)라 이름. (4) 북구로주는 구역에는 북울단월(北鬱單越). 승처(勝處)라 번역. 4주중에서 국토가 가장 수승하므로 승처라 이름. ⇒사천하(四天下)"}}{{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706&DTITLE=%A5%7C%ACw 四洲]". 2013년 6월 12일에 확인|quote=<br>"四洲:
 梵語 catvāro dvīpāh,巴利語 cattāro dīpā。古代印度人之世界觀,謂於須彌山四方,七金山與大鐵圍山間之鹹海中,有四個大洲。又稱四大部洲、四大洲、四天下、須彌四洲、四洲形量。<br>
 梵語 catvāro dvīpāh,巴利語 cattāro dīpā。古代印度人之世界觀,謂於須彌山四方,七金山與大鐵圍山間之鹹海中,有四個大洲。又稱四大部洲、四大洲、四天下、須彌四洲、四洲形量。<br>
 據大唐西域記卷一、俱舍論光記卷八等記載,四洲即:(一)東勝身洲(梵 Pūrva-videha),舊稱東弗婆提、東毘提訶,或東弗于逮。略稱勝身(梵 Videha,毘提訶)。以其身形殊勝,故稱勝身。地形如半月,人面亦如半月。(二)南贍部洲(梵 Jambu-dvīpa),舊稱南閻浮提。贍部(梵 jambu)原為蒲桃樹之音譯,本洲即以此樹而得名。地形如車箱,人面亦然。(三)西牛貨洲(梵 Apara-godānīya),舊稱西瞿耶尼。以牛行貿易而得名。地形如滿月,人面亦然。(四)北俱盧洲(梵 Uttara-kuru),舊稱北鬱單越。俱盧,意謂勝處,以其地勝於上述三洲而得名。地形正方,猶如池沼,人面亦然。<br>
 據大唐西域記卷一、俱舍論光記卷八等記載,四洲即:(一)東勝身洲(梵 Pūrva-videha),舊稱東弗婆提、東毘提訶,或東弗于逮。略稱勝身(梵 Videha,毘提訶)。以其身形殊勝,故稱勝身。地形如半月,人面亦如半月。(二)南贍部洲(梵 Jambu-dvīpa),舊稱南閻浮提。贍部(梵 jambu)原為蒲桃樹之音譯,本洲即以此樹而得名。地形如車箱,人面亦然。(三)西牛貨洲(梵 Apara-godānīya),舊稱西瞿耶尼。以牛行貿易而得名。地形如滿月,人面亦然。(四)北俱盧洲(梵 Uttara-kuru),舊稱北鬱單越。俱盧,意謂勝處,以其地勝於上述三洲而得名。地形正方,猶如池沼,人面亦然。<br>
 日、月、星辰圍繞於須彌山腹,普照四天下。又四大洲各有二中洲與五百小洲,四大洲及八中洲皆住人,二千小洲則或住人或不住人。北洲之果報最勝,樂多苦少,惟無佛出世,故為八難之一。四洲各有特殊之三事:(一)南洲,住民勇猛強記而能造業行、能修梵行、有佛出其土,此三事勝於其他三洲及諸天。(二)東洲,其土極廣、極大、極妙。(三)西洲,多牛、多羊、多珠玉。(四)北洲,則無所繫屬、無有我所、壽命千歲。〔長阿含經卷十八閻浮提洲品、卷二十忉利天品、起世經卷一、新華嚴經卷十三、大智度論卷十、俱舍論卷十一、卷二十、法苑珠林卷二〕 p1731"}}
 日、月、星辰圍繞於須彌山腹,普照四天下。又四大洲各有二中洲與五百小洲,四大洲及八中洲皆住人,二千小洲則或住人或不住人。北洲之果報最勝,樂多苦少,惟無佛出世,故為八難之一。四洲各有特殊之三事:(一)南洲,住民勇猛強記而能造業行、能修梵行、有佛出其土,此三事勝於其他三洲及諸天。(二)東洲,其土極廣、極大、極妙。(三)西洲,多牛、多羊、多珠玉。(四)北洲,則無所繫屬、無有我所、壽命千歲。〔長阿含經卷十八閻浮提洲品、卷二十忉利天品、起世經卷一、新華嚴經卷十三、大智度論卷十、俱舍論卷十一、卷二十、法苑珠林卷二〕 p1731"}}
## (5) [[불바제유]](弗婆提有) - [[6도]] 가운데 [[인간도]]에 속하는, [[4주 (불교 우주론)|4주]] 가운데 동쪽의 [[승신주]](勝身洲)의 [[유정 (불교)|유정]]들을 말한다. 즉, [[동승신주]](東勝身洲) 또는 [[동비제하]](東毘提河)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인간 (불교)|인간]]들을 말한다.
## (5) '''불바제유'''(弗婆提有) - [[6도]] 가운데 [[인간도]]에 속하는, [[4주 (불교 우주론)|4주]] 가운데 동쪽의 [[승신주]](勝身洲)의 [[유정 (불교)|유정]]들을 말한다. 즉, [[동승신주]](東勝身洲) 또는 [[동비제하]](東毘提河)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인간 (불교)|인간]]들을 말한다.
## (6) [[구야니유]](瞿耶尼有) - [[6도]] 가운데 [[인간도]]에 속하는, [[4주 (불교 우주론)|4주]] 가운데 서쪽의 [[우화주]](牛貨洲)의 [[유정 (불교)|유정]]들을 말한다. 즉, [[서우화주]](西牛貨洲) 또는 [[서구다니]](西瞿陀尼)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인간 (불교)|인간]]들을 말한다.
## (6) '''구야니유'''(瞿耶尼有) - [[6도]] 가운데 [[인간도]]에 속하는, [[4주 (불교 우주론)|4주]] 가운데 서쪽의 [[우화주]](牛貨洲)의 [[유정 (불교)|유정]]들을 말한다. 즉, [[서우화주]](西牛貨洲) 또는 [[서구다니]](西瞿陀尼)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인간 (불교)|인간]]들을 말한다.
## (7) [[울단월유]](鬱單越有) - [[6도]] 가운데 [[인간도]]에 속하는, [[4주 (불교 우주론)|4주]] 가운데 북쪽의 [[구로주]](俱盧洲)의 [[유정 (불교)|유정]]들을 말한다. 즉, [[북구로주]](北俱盧洲) 또는 [[북울단월]](北鬱單越)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인간 (불교)|인간]]들을 말한다.
## (7) '''울단월유'''(鬱單越有) - [[6도]] 가운데 [[인간도]]에 속하는, [[4주 (불교 우주론)|4주]] 가운데 북쪽의 [[구로주]](俱盧洲)의 [[유정 (불교)|유정]]들을 말한다. 즉, [[북구로주]](北俱盧洲) 또는 [[북울단월]](北鬱單越)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인간 (불교)|인간]]들을 말한다.
## (8) [[염부제유]](閻浮提有) - [[6도]] 가운데 [[인간도]]에 속하는, [[4주 (불교 우주론)|4주]] 가운데 남쪽의 [[섬부주]](贍部洲)의 [[유정 (불교)|유정]]들을 말한다. 즉, [[남섬부주]](南贍部洲) 또는 [[남염부제]](南閻浮提)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인간 (불교)|인간]]들을 말한다.<!--
## (8) '''염부제유'''(閻浮提有) - [[6도]] 가운데 [[인간도]]에 속하는, [[4주 (불교 우주론)|4주]] 가운데 남쪽의 [[섬부주]](贍部洲)의 [[유정 (불교)|유정]]들을 말한다. 즉, [[남섬부주]](南贍部洲) 또는 [[남염부제]](南閻浮提)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인간 (불교)|인간]]들을 말한다.<!--




-->
-->
# '''[[6욕천]]'''(六欲天){{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1%EC%9A%95%EC%B2%9C&rowno=1 六欲天(육욕천)]". 2013년 6월 6일에 확인|quote=<br>"六欲天(육욕천):
# [[6욕천]](六欲天){{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1%EC%9A%95%EC%B2%9C&rowno=1 六欲天(육욕천)]". 2013년 6월 6일에 확인|quote=<br>"六欲天(육욕천):
또는 욕계육천(欲界六天)ㆍ6천(天). 3계(界) 중 욕계에 딸린 6종 하늘. 이 하늘 사람들은 모두 욕락이 있으므로 욕천이라 함. (1) 4왕천(王天). 수미산 제4층의 4면에 있는 지국천(동)ㆍ증장천(남)ㆍ광목천(서)ㆍ다문천(북)의 4왕과 그에 딸린 천중들. (2) 도리천(忉利天). 33천이라 번역. 수미산 꼭대기에 제석천을 중심으로 하고 4방에 8천씩이 있음. (3) 야마천(夜摩天). 선시천(善時天)ㆍ시분천(時分天)이라 번역. 때를 따라 쾌락을 받으므로 이렇게 이름. (4) 도솔천(兜率天). 지족(知足)이라 번역. 자기가 받는 5욕락에 만족한 마음을 내는 까닭. (5) 화락천(化樂天). 또는 낙변화천(樂變化天). 5욕의 경계를 스스로 변화하여 즐김. (6)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다른 이로 하여금 자재하게 5욕 경계를 변화케 함. 6천 중 사왕천은 수미산 허리에 있고, 도리천은 수미산 꼭대기에 있으므로 지거천(地居天), 야마천 이상은 공중에 있으므로 공거천(空居天)이라 함. ⇒욕천(欲天)"}}
또는 욕계육천(欲界六天)ㆍ6천(天). 3계(界) 중 욕계에 딸린 6종 하늘. 이 하늘 사람들은 모두 욕락이 있으므로 욕천이라 함. (1) 4왕천(王天). 수미산 제4층의 4면에 있는 지국천(동)ㆍ증장천(남)ㆍ광목천(서)ㆍ다문천(북)의 4왕과 그에 딸린 천중들. (2) 도리천(忉利天). 33천이라 번역. 수미산 꼭대기에 제석천을 중심으로 하고 4방에 8천씩이 있음. (3) 야마천(夜摩天). 선시천(善時天)ㆍ시분천(時分天)이라 번역. 때를 따라 쾌락을 받으므로 이렇게 이름. (4) 도솔천(兜率天). 지족(知足)이라 번역. 자기가 받는 5욕락에 만족한 마음을 내는 까닭. (5) 화락천(化樂天). 또는 낙변화천(樂變化天). 5욕의 경계를 스스로 변화하여 즐김. (6)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다른 이로 하여금 자재하게 5욕 경계를 변화케 함. 6천 중 사왕천은 수미산 허리에 있고, 도리천은 수미산 꼭대기에 있으므로 지거천(地居天), 야마천 이상은 공중에 있으므로 공거천(空居天)이라 함. ⇒욕천(欲天)"}}
## (9) [[4천처유]](四天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4왕천]](四王天)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9) '''4천처유'''(四天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4왕천]](四王天)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10) [[33천처유]](三十三天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도리천]](忉利天)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10) '''33천처유'''(三十三天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도리천]](忉利天)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11) [[염마천유]](炎摩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야마천]](夜摩天)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11) '''염마천유'''(炎摩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야마천]](夜摩天)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12) [[도솔천유]](兜率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도솔천]](兜率天)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12) '''도솔천유'''(兜率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도솔천]](兜率天)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13) [[화락천유]](化樂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낙변화천]](樂變化天)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13) '''화락천유'''(化樂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낙변화천]](樂變化天)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14) [[타화자재천유]](他化自在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14) '''타화자재천유'''(他化自在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의 [[유정 (불교)|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색계 7유===
===색계 7유===

2013년 7월 2일 (화) 09:33 판

pañca-viṃśati-bhava의 번역
한국어이십오유
25유
영어twenty-five existence,
twenty-five forms of existence,
twenty-five stages of existence
산스크리트어pañca-viṃśati-bhava
중국어二十五有(T) / 二十五有(S)
(한어 병음èrshíwǔ yǒu)
일본어二十五有 / ニジュウゴウ
(로마자: nijūgō u)
불교 용어 목록

25유(二十五有)에서 (有)는 '존재'를 뜻하는데, 특히 윤회하는 존재, 즉 완전한 깨달음도달하지 못했기에 어쩔 수 없이 3계 6도윤회하는 유정, 즉 성불에 이르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상태에 있는 유정을 뜻한다. 따라서 25유생사윤회(生死輪迴)의 미혹의 세계[迷界] 또는 유정미혹된 상태[迷界]를 25가지로 구분한 것이다.[1][2][3][4][5]

또한, (有)라는 낱말에는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다는 것, 즉 인과(因果)의 법칙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뜻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는 25유이숙과(異熟果)로서의 '3계유정소의신'을 25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것이다.[3][4][6]

제관의 《천태사교의》에 따르면, 3계 6도25유의보(依報) · 정보(正報)의 2보(二報) 전체가 4성제고제(苦諦), 즉 '괴로움진리'를 이룬다. 25유3계(3유) 또는 6도를 세분한 것으로, 간략히 말하면, 25유가 곧 고제이고, 3계(3유)이고, 6도이다.[7][8][9][10]

25유

대승불교 경전인 《북본열반경》 제14권과 대승불교천태종의 논서인 《천태사교의》에 의거하여 25유(二十五有)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3][4][7][11][12]

  1. 지옥유(地獄有)
  2. 축생유(畜生有)
  3. 아귀유(餓鬼有)
  4. 아수라유(阿修羅有)
  5. 불바제유(弗婆提有)
  6. 구야니유(瞿耶尼有)
  7. 울단월유(鬱單越有)
  8. 염부제유(閻浮提有)
  9. 4천처유(四天處有)
  10. 33천처유(三十三天處有)
  11. 염마천유(炎摩天有)
  12. 도솔천유(兜率天有)
  13. 화락천유(化樂天有)
  14. 타화자재천유(他化自在天有)
  15. 초선유(初禪有)
  16. 대범천유(大梵天有)
  17. 2선유(二禪有)
  18. 3선유(三禪有)
  19. 4선유(四禪有)
  20. 무상유(無想有)
  21. 정거아나함유(淨居阿那含有)
  22. 공처유(空處有)
  23. 식처유(識處有)
  24. 불용처유(不用處有)
  25. 비상비비상처유(非想非非想處有)

3계 6도 분별

제관의 《천태사교의》에 기술된 바에 의거하여,[7] 25유(二十五有)를 3계 6도로 분별하면 다음과 같다.[1][2][3][4]

욕계 14유

25유 가운데 다음의 총 14유가 욕계(欲界)에 속한다.

  1. 4악취(四惡趣)[13]
    1. (1) 지옥유(地獄有) - 6도 가운데 지옥도유정들, 즉 나락가들을 말한다.
    2. (2) 축생유(畜生有) - 6도 가운데 축생도유정들, 즉 축생들을 말한다.
    3. (3) 아귀유(餓鬼有) - 6도 가운데 아귀도유정들, 즉 아귀들을 말한다.
    4. (4) 아수라유(阿修羅有) - 6도 가운데 아수라도유정들, 즉 아수라들을 말한다.
  2. 4주(四洲) - 4대주(四大洲) 또는 4천하(四天下)라고도 한다.[14][15]
    1. (5) 불바제유(弗婆提有) - 6도 가운데 인간도에 속하는, 4주 가운데 동쪽의 승신주(勝身洲)의 유정들을 말한다. 즉, 동승신주(東勝身洲) 또는 동비제하(東毘提河)의 유정들 즉 인간들을 말한다.
    2. (6) 구야니유(瞿耶尼有) - 6도 가운데 인간도에 속하는, 4주 가운데 서쪽의 우화주(牛貨洲)의 유정들을 말한다. 즉, 서우화주(西牛貨洲) 또는 서구다니(西瞿陀尼)의 유정들 즉 인간들을 말한다.
    3. (7) 울단월유(鬱單越有) - 6도 가운데 인간도에 속하는, 4주 가운데 북쪽의 구로주(俱盧洲)의 유정들을 말한다. 즉, 북구로주(北俱盧洲) 또는 북울단월(北鬱單越)의 유정들 즉 인간들을 말한다.
    4. (8) 염부제유(閻浮提有) - 6도 가운데 인간도에 속하는, 4주 가운데 남쪽의 섬부주(贍部洲)의 유정들을 말한다. 즉, 남섬부주(南贍部洲) 또는 남염부제(南閻浮提)의 유정들 즉 인간들을 말한다.
  3. 6욕천(六欲天)[16]
    1. (9) 4천처유(四天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4왕천(四王天)의 유정들 즉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2. (10) 33천처유(三十三天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도리천(忉利天)의 유정들 즉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3. (11) 염마천유(炎摩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야마천(夜摩天)의 유정들 즉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4. (12) 도솔천유(兜率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도솔천(兜率天)의 유정들 즉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5. (13) 화락천유(化樂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낙변화천(樂變化天)의 유정들 즉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6. (14) 타화자재천유(他化自在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의 유정들 즉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색계 7유

25유 가운데 다음의 총 7유가 색계(色界)에 속한다.[17][18][19]

  1. 초선천(初禪天)[20]
    1. (1) 초선유(初禪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초정려(初靜慮) 즉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에서 대범천유(大梵天有)를 제외한 나머지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즉, 색계 초선천(初禪天)의 범중천(梵衆天) · 범보천(梵輔天) · 대범천(大梵天)의 3천에서 이 3천의 왕인 대범천(大梵天)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2. (2) 대범천유(大梵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색계 초선천(初禪天)의 범중천(梵衆天) · 범보천(梵輔天) · 대범천(大梵天)의 3천의 왕인 대범천(大梵天)을 말한다.
  2. 2선천(二禪天)[21]
    1. (3) 2선유(二禪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제2정려(第二靜慮) 즉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의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즉, 소광천(少光天) · 무량광천(無量光天) · 광음천(光音天)의 3천의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3. 3선천(三禪天)[22][23]
    1. (4) 3선유(三禪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제3정려(第三靜慮) 즉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의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즉, 소정천(少淨天) · 무량정천(無量淨天) · 변정천(遍淨天)의 3천의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4. 4선천(四禪天)[17]
    1. (5) 4선유(四禪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제4정려(第四靜慮) 즉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에서 무상천5정거천을 제외한 나머지 하늘[天]들의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즉, 4선천에 속한 천중들 중 무상유정거아나함유를 제외한 천중들을 말한다.
    2. (6) 무상유(無想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무상정을 닦은 외도범부가 태어나 받는 삶으로, 색계 4선천(四禪天)의 무운천(無雲天) · 복생천(福生天) · 광과천(廣果天) · 무상천(無想天) · 무번천(無煩天) · 무열천(無熱天) · 선견천(善見天) · 선현천(善現天) · 색구경천(色究竟天)의 9천 가운데 제4천인 무상천천중(天衆)들을 말한다.[7][24][25][26]
    3. (7) 정거아나함유(淨居阿那含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정거천(淨居天) 또는 5정거천(五淨居天)의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성문4과 중 제3과인 아나함과(불환과)를 증득성인이 태어나 받는 삶이다. 즉, 색계 4선천(四禪天)을 이루는 무운천(無雲天) · 복생천(福生天) · 광과천(廣果天) · 무상천(無想天) · 무번천(無煩天) · 무열천(無熱天) · 선견천(善見天) · 선현천(善現天) · 색구경천(色究竟天)의 9천 가운데 무번천 · 무열천 · 선견천 · 선현천 · 색구경천의 5천의 천중(天衆)들을 말한다.[27][28][29]

무색계 4유

25유 가운데 다음의 총 4유가 무색계(無色界)에 속한다.[30][31][32][33]

  1. 무색계 제1천(無色界 第一天)
    1. (1) 공처유(空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공무변처정(空無邊處定) 즉 공무변처지(空無邊處地)의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2. 무색계 제2천(無色界 第二天)
    1. (2) 식처유(識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식무변처정(識無邊處定) 즉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의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3. 무색계 제3천(無色界 第三天)
    1. (3) 불용처유(不用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 즉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의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4. 무색계 제4천(無色界 第四天)
    1. (4) 비상비비상처유(非想非非想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 즉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의 천중(天衆)들을 말한다.

25유 표

대승불교 경전인 《북본열반경》 제14권과 대승불교천태종의 논서인 《천태사교의》에 의거하여, 25유(二十五有)의 각각에 해당하는 3계 · 6도 · 선정 · 처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순서 25유
(二十五有)
3계
(三界)
6도
(六道)
선정
(禪定)
처소
(處所)
1 지옥유(地獄有) 욕계 지옥도 욕계산지(欲界散地)
2 축생유(畜生有) 욕계 축생도 욕계산지(欲界散地)
  • 축생처(畜生處)
    • 땅 · 물 · 하늘 등 각 처소에 편재함
3 아귀유(餓鬼有) 욕계 아귀도 욕계산지(欲界散地)
  • 아귀처(餓鬼處)
    • 유복덕자(有福德者): 산림(山林) · 무덤[塚] · 사당[廟神]
    • 무복덕자(無福德者): 부정처(不淨處)에 거처
4 아수라유(阿修羅有) 욕계 아수라도 욕계산지(欲界散地)
  • 아수라처(阿修羅處)
    • 해안(海岸)
    • 해저궁전(海底宮殿)
5 불바제유(弗婆提有) 욕계 인간도 욕계산지(欲界散地)

4주(四洲) 중

6 구야니유(瞿耶尼有) 욕계 인간도 욕계산지(欲界散地) 4주(四洲) 중
7 울단월유(鬱單越有) 욕계 인간도 욕계산지(欲界散地) 4주(四洲) 중
8 염부제유(閻浮提有) 욕계 인간도 욕계산지(欲界散地) 4주(四洲) 중
9 4천처유(四天處有) 욕계 천상도 욕계산지(欲界散地)

6욕천(六欲天) 중

10 33천처유
(三十三天處有)
욕계 천상도 욕계산지(欲界散地)

6욕천(六欲天) 중

11 염마천유(炎摩天有) 욕계 천상도 욕계산지(欲界散地)

6욕천(六欲天) 중

12 도솔천유(兜率天有) 욕계 천상도 욕계산지(欲界散地)

6욕천(六欲天) 중

13 화락천유(化樂天有) 욕계 천상도 욕계산지(欲界散地)

6욕천(六欲天) 중

14 타화자재천유
(他化自在天有)
욕계 천상도 욕계산지(欲界散地)

6욕천(六欲天) 중

15 초선유(初禪有) 색계 천상도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초선3천(初禪三天) 중

16 대범천유(大梵天有) 색계 천상도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초선3천(初禪三天) 중

17 2선유(二禪有) 색계 천상도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2선3천(二禪三天)

18 3선유(三禪有) 색계 천상도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3선3천(三禪三天)

19 4선유(四禪有) 색계 천상도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4선9천(四禪九天) 중

20 무상유(無想有) 색계 천상도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4선(四禪) 즉 제4정려(第四靜慮)에 속한

4선9천(四禪九天) 중

21 정거아나함유
(淨居阿那含有)
색계 천상도 4선(四禪) 즉 4정려(四靜慮) 중
4선(四禪) 즉 제4정려(第四靜慮)에 속한

4선9천(四禪九天) 중 5정거천(五淨居天)

22 공처유(空處有) 무색계 천상도 4무색정(四無色定) 중[44][45][46]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중[47][48][49][50][51][52][53]

23 식처유(識處有) 무색계 천상도 4무색정(四無色定) 중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중

24 불용처유(不用處有) 무색계 천상도 4무색정(四無色定) 중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중

25 비상비비상처유
(非想非非想處有)
무색계 천상도 4무색정(四無色定) 중

무색계 4천(無色界四天) 중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주석

  1. 운허, "二十五有(이십오유)". 2013년 6월 6일에 확인.
  2. 곽철환 2003, "이십오유(二十五有)". 2013년 6월 6일에 확인.
  3. 星雲, "二十五有". 2013년 6월 6일에 확인.
  4. 佛門網, "二十五有". 2013년 6월 6일에 확인.
  5. DDB, "二十五有".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6. 星雲, "".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7. 제관 록 & T.1931, p. T46n1931_p0776a05 - T46n1931_p0776b21. 고제와 25유.
  8. 운허, "依正二報(의정이보)". 2013년 6월 6일에 확인.
  9. 운허, "二報(이보)". 2013년 6월 6일에 확인.
  10. 佛門網, "依正二報". 2013년 6월 6일에 확인.
  11. 담무참 한역 & T.374, 제14권. p. T12n0374_p0448a20 - T12n0374_p0448c23. 25유(二十五有).
  12. 담무참 한역, 번역자 미상 & K.105, T.374, 제14권. pp. 333-335 / 954. 25유(二十五有).
  13. 운허, "四惡趣(사악취)". 2013년 6월 6일에 확인.
  14. 운허, "四洲(사주)". 2013년 6월 6일에 확인.
  15. 星雲, "四洲". 2013년 6월 12일에 확인.
  16. 운허, "六欲天(육욕천)". 2013년 6월 6일에 확인.
  17. 佛門網, "四禪天". 2013년 6월 6일에 확인.
  18. 운허, "十八天(십팔천)". 2013년 1월 9일에 확인.
  19. 星雲, "色界十八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
  20. 운허, "初禪天(초선천)". 2013년 6월 6일에 확인.
  21. 운허, "二禪天(이선천)". 2013년 6월 6일에 확인.
  22. 佛門網, "三禪天". 2013년 6월 6일에 확인.
  2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한국고전용어사전》 "삼선삼천(三禪三天)", 네이버 지식백과. 2013년 6월 6일에 확인.
    "삼선삼천(三禪三天):
    색계(色界) 삼선천(三禪天)의 삼천(三天). 곧 소정천(少淨天) · 무량정천(無量淨天) · 편정천(徧淨天). [참고어] 삼선천(三禪天)."
  24. 고려대장경연구소, "무상천 無想天". 2013년 2월 2일에 확인.
  25. 星雲, "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
  26. 곽철환 2003, "무상천(無想天)". 2013년 1월 9일에 확인.
  27. 운허, "淨居天(정거천)". 2013년 6월 6일에 확인.
  28. 운허, "五淨居天(오정거천)". 2013년 6월 6일에 확인.
  29. 佛門網, "淨居天". 2013년 6월 6일에 확인.
  30. 佛門網, "無色界四天". 2013년 6월 6일에 확인.
  31. 佛門網, "四無色定". 2013년 6월 6일에 확인.
  32. 佛門網, "四空定". 2013년 6월 6일에 확인.
  33. 佛門網, "四空定(四無色定)". 2013년 6월 6일에 확인.
  34. 운허, "善現天(선현천)".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35. 星雲, "善現天".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36. 운허, "善見天(선견천)".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37. 星雲, "善見天".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38. 佛門網, "善見天".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39. 운허, "色究竟天(색구경천)".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40. 星雲, "色究竟天".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41. 佛門網, "色究竟天".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42. 佛門網, "色究竟天 (色頂)".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43. 星雲, "阿迦尼吒天". 2013년 6월 11일에 확인.
  44. 운허, "四空定(사공정)". 2013년 6월 12일에 확인.
  45. 星雲, "四無色定". 2013년 6월 12일에 확인.
  46. 星雲, "無色界定". 2013년 6월 12일에 확인.
  47. 운허, "無色界(무색계)".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48. 星雲, "無色界".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49. 佛門網, "無色界".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50. 佛門網, "無色界四天".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51. 佛門網, "無色界中唯有二種作意".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52. 佛門網, "無色界中有三勝生".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53. 佛門網, "無色界受".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54. 운허, "空無邊處(공무변처)".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55. 운허, "空無邊處天(공무변처천)".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56. 星雲, "空無邊處".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57. 星雲, "空無邊處定".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58. 佛門網, "空無邊處".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59. 佛門網, "空無邊處地".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60. 佛門網, "空無邊處定".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61. 佛門網, "空無邊處解脫".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62. 운허, "識無邊處地(식무변처지)".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63. 星雲, "識無邊處天".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64. 佛門網, "識無邊處".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65. 佛門網, "識無邊處地".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66. 佛門網, "識無邊處天".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67. 佛門網, "識無邊處定建立".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68. 佛門網, "識無邊處無間".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69. 佛門網, "識無邊處解脫".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70. 佛門網, "識無邊處近分及根本".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71. 佛門網, "識無處邊".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72. 운허, "無所有處天(무소유처천)".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73. 운허, "無所有處地(무소유처지)".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74. 星雲, "無所有處".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75. 佛門網, "無所有處".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76. 佛門網, "無所有處地".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77. 佛門網, "無所有處天".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78. 佛門網, ""無所有處天定".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79. 佛門網, "無所有處天識住".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80. 佛門網, "無所有處定".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81. 佛門網, "無所有處定建立".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82. 佛門網, "無所有處次第定".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83. 佛門網, "無所有處背捨".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84. 佛門網, "無所有處解脫".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85. 佛門網, "無所有處近分及根本".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86. 佛門網, "無所有行".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87. 佛門網, "無所有觀地相".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88. 佛門網, "無所有想".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89. 운허, "非想非非想處定(비상비비상처정)".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90. 운허, "非想非非想處(비상비비상처)".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91. 운허, "非想非非想天(비상비비상천)".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92. 星雲, "非想非非想處天".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93. 佛門網, "非想非非想處". 2013년 6월 13일에 확인.
  94. 佛門網, "[1]". 2013년 6월 13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