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식세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 (토론 | 기여)
잔글 봇:인터위키 링크 39 개가 위키데이터Q184204 항목으로 옮겨짐. 이동 완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대부분의 대식세포는 정착성으로 대표적으로 먼지세포, 미세교세포, 쿠퍼세포, 랑게르한스세포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몸 전체에 분포하며, 이들은 항원이 침입하면 섭식하거나 독소를 분비하여 파괴, 항원을 제거하며 림프구에 항원을 전달,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혈중에 있는 [[단핵구]]는 적이 상처로 침입하면 호중구와 같이 혈관 밖으로 나가 대식세포로 분화되어, [[박테리아]]를 제거한다.
대부분의 대식세포는 정착성으로 대표적으로 먼지세포, 미세교세포, 쿠퍼세포, 랑게르한스세포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몸 전체에 분포하며, 이들은 항원이 침입하면 섭식하거나 독소를 분비하여 파괴, 항원을 제거하며 림프구에 항원을 전달,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혈중에 있는 [[단핵구]]는 적이 상처로 침입하면 호중구와 같이 혈관 밖으로 나가 대식세포로 분화되어, [[박테리아]]를 제거한다.

또한 대식세포는 체내 여러 곳을 이동하며 식작용을 하는 유리형(Free form)과 지정된 장기에 고정되어 식작용을 하는 고착형(Fixed form)으로 구분된다. 고착형 대식세포는 간의 쿠퍼세포(Kupffer cell), 폐포의 대식세포, 결합조직의 구조(Hystocyte), 뇌의 소교세포(Microglia) 등이 있다.


하지만 이들 대식세포는 CD4 단백질이 있어 [[HIV]]에 감염되는 숙주세포이기도 하다. 숙주가 된 대식세포는 몸 전체에 HIV를 운반하게 되며, 이것은 HIV 보균자가 되는 원인중 하나이다. 이들은 HIV를 뿜어내다가 결국 바이러스성 괴사한다.
하지만 이들 대식세포는 CD4 단백질이 있어 [[HIV]]에 감염되는 숙주세포이기도 하다. 숙주가 된 대식세포는 몸 전체에 HIV를 운반하게 되며, 이것은 HIV 보균자가 되는 원인중 하나이다. 이들은 HIV를 뿜어내다가 결국 바이러스성 괴사한다.

2013년 3월 17일 (일) 14:46 판

쥐의 대식세포

대식세포(大食細胞, Macrophage)는 선천 면역을 담당하는 주요한 세포이다. 온 몸에 정착성으로 있는 것이 대부분이나 일부는 혈액 내에서 단핵구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 단핵구수지상 세포대식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

대부분의 대식세포는 정착성으로 대표적으로 먼지세포, 미세교세포, 쿠퍼세포, 랑게르한스세포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몸 전체에 분포하며, 이들은 항원이 침입하면 섭식하거나 독소를 분비하여 파괴, 항원을 제거하며 림프구에 항원을 전달,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혈중에 있는 단핵구는 적이 상처로 침입하면 호중구와 같이 혈관 밖으로 나가 대식세포로 분화되어, 박테리아를 제거한다.

또한 대식세포는 체내 여러 곳을 이동하며 식작용을 하는 유리형(Free form)과 지정된 장기에 고정되어 식작용을 하는 고착형(Fixed form)으로 구분된다. 고착형 대식세포는 간의 쿠퍼세포(Kupffer cell), 폐포의 대식세포, 결합조직의 구조(Hystocyte), 뇌의 소교세포(Microglia) 등이 있다.

하지만 이들 대식세포는 CD4 단백질이 있어 HIV에 감염되는 숙주세포이기도 하다. 숙주가 된 대식세포는 몸 전체에 HIV를 운반하게 되며, 이것은 HIV 보균자가 되는 원인중 하나이다. 이들은 HIV를 뿜어내다가 결국 바이러스성 괴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