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리클레 급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mausBot (토론 | 기여)
Chobot (토론 | 기여)
잔글 봇:인터위키 링크 19 개가 위키데이터Q620595 항목으로 옮겨짐. 이동 완료.
47번째 줄: 47번째 줄:
[[분류:급수]]
[[분류:급수]]
[[분류:수론]]
[[분류:수론]]

[[ar:متسلسلة دركليه]]
[[bs:Dirichletov red]]
[[ca:Sèrie de Dirichlet]]
[[de:Dirichletreihe]]
[[en:Dirichlet series]]
[[es:Serie de Dirichlet]]
[[fi:Dirichlet'n sarja]]
[[fr:Série de Dirichlet]]
[[he:טור דיריכלה]]
[[is:Dirichlet-röð]]
[[it:Serie di Dirichlet]]
[[ja:ディリクレ級数]]
[[nl:Dirichletreeks]]
[[pt:Série de Dirichlet]]
[[ru:Ряд Дирихле]]
[[ta:டிரிழ்ச்லெட் தொடர்]]
[[tr:Dirichlet serisi]]
[[uk:Ряд Діріхле]]
[[zh:狄利克雷级数]]

2013년 3월 16일 (토) 03:05 판

디리클레 급수(Dirichlet series)는 복소수 , 복소 수열 에 대하여

로 정의되는 급수이다. 디리클레 급수는 해석적 수론(analytic number theory)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많은 중요한 함수가 디리클레 급수의 형태로 정의되어 있다.

리만 제타 함수는 디리클레 급수의 한 예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리만 제타 함수의 역수는 다음의 디리클레 급수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뫼비우스 함수이다. 또한, 제타함수의 로그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망골트 함수(Mangoldt function)이다. 또한, 제타함수의 로그도함수(Logarithmic derivative)를 디리클레 급수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미분

다음과 같이 주어진 디리클레 급수가 있다고 하자.

이 경우 디리클레 급수의 미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 결과를 리만 제타 함수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실수부가 1보다 클 때, 리만 제타 함수의 정의는 디리클레 급수로 표현된다. 따라서 그 미분을 디리클레 급수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제타함수의 로그도함수를 계산하기 위해서 산술의 기본정리에 의해 즉시 도출되는 다음 등식을 활용한다.

물론 여기서 은 망골트 함수이다. 결국 두 급수를 곱해주면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이 식은 소수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쓰인다.[1]

관련 항목

주석

  1. Apostol, Tom. 《Introduction to Analytic Number Theory》. Springer. 236쪽. ISBN 978-0-387-901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