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9번째 줄: 9번째 줄:
계탁분별의 정의인 '생각하고 사유하고 구별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 그 자체에는 본래 부정적인 의미가 없지만, [[정 (마음작용)|선정]][定]에 의해 나타나는 바른 [[지혜 (불교)|지혜]], 즉 [[무루혜]]가 아니라는 점에서 불교 일반에서는 [[계탁분별]]이라는 용어를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변계'''(遍計)라는 낱말의 문맥에서의 [[계탁분별]], 즉 계(計){{.cw}}계탁{{.cw}}분별{{.cw}}헤아림은 항상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계탁분별의 정의인 '생각하고 사유하고 구별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 그 자체에는 본래 부정적인 의미가 없지만, [[정 (마음작용)|선정]][定]에 의해 나타나는 바른 [[지혜 (불교)|지혜]], 즉 [[무루혜]]가 아니라는 점에서 불교 일반에서는 [[계탁분별]]이라는 용어를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변계'''(遍計)라는 낱말의 문맥에서의 [[계탁분별]], 즉 계(計){{.cw}}계탁{{.cw}}분별{{.cw}}헤아림은 항상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변계'''(遍計)라는 낱말의 문맥에서의 [[계탁분별]]은 [[미혹]]한 상태의 [[제6식]], 즉 깨닫지 못한 상태의 [[제6의식]], 즉 아직 [[전의]](轉依: 識이 智로 바뀌는 질적 변형)를 획득하지 못한 [[제6의식]]을 토대로 [[무상]]한 존재인 [[사람 (불교)|사람]][人: 즉 5온의 가화합]과 [[법 (불교)|법]](法)에 대해 [[실아]](實我)가 존재하고 [[실법]](實法)이 존재한다라고 두루[遍] 헤아리는 것, 즉 보편적으로 언제나 그렇게 생각하고 믿으며 또한 이러한 생각과 믿음을 바탕으로 대상을 구별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뜻에서 계(計){{.cw}}계탁{{.cw}}계탁분별{{.cw}}분별{{.cw}}헤아림을 보통 불교 일반에서는 '''허망한 분별''' 또는 '''그릇된 분별'''이라고 한다.
'''변계'''(遍計)라는 낱말의 문맥에서의 [[계탁분별]]은 [[미혹]]한 상태의 [[제6식]], 즉 깨닫지 못한 상태의 [[제6의식]], 즉 아직 [[전의]](轉依: 識이 智로 바뀌는 질적 변형)를 획득하지 못한 [[제6의식]]을 토대로 [[무상]]한 존재인 [[사람 (불교)|사람]][人: 즉 5온의 가화합]과 [[법 (불교)|법]](法)에 대해 [[실아]](實我)가 존재하고 [[실법]](實法)이 존재한다라고 두루[遍] 헤아리는 것, 즉 보편적으로 언제나 그렇게 생각하고 믿으며 또한 이러한 생각과 믿음을 바탕으로 대상을 구별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뜻에서 계(計){{.cw}}계탁{{.cw}}계탁분별{{.cw}}분별{{.cw}}헤아림을 보통 불교 일반에서는 '''허망한 분별''' 또는 '''그릇된 분별'''이라고 한다.


==참고 문헌==
==참고 문헌==

2013년 3월 2일 (토) 09:21 판

변계(遍計)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두루 ~라고 헤아린다', '널리 ~라고 헤아린다', '일반적으로 또는 보편적으로 ~라고 헤아린다'이다. '헤아린다'라는 뜻의 한자어 (計)는 전통적인 용어인 계탁(計度) 또는 계탁분별(計度分別)의 줄임말이다. 계탁분별을 줄여서 그냥 분별(分別)이라고도 한다. 계 · 계탁 · 계탁분별 · 분별을 순한글로는 일반적으로 헤아림이라고 한다.

계 · 계탁 · 계탁분별 · 분별 · 헤아림은 특히 제6의식의 작용을 말하는 것으로, 사물에 대해 생각[量]하고 사유(思惟: 특히 심사숙고)하고 구별[分別]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계 · 계탁 · 계탁분별 · 분별 · 헤아림'을 가리키는 낱말로서 '계탁분별'을 사용한다.)

아비달마구사론》 제2권에 따르면 계탁분별본질적 성질본질제6의식상응하는 산혜(散慧) 즉 산란된 지혜이다. 그리고 산란된 지혜[慧]는 선정[定]에 의해 나타나는 '바른 지혜'가 아닌 다른 형태의 지혜를 말한다. 즉 무루혜가 아닌 유루지혜문혜 · 사혜 · 수혜3혜 또는 여기에 생득혜를 더한 4혜를 말한다.

계탁분별의 정의인 '생각하고 사유하고 구별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 그 자체에는 본래 부정적인 의미가 없지만, 선정[定]에 의해 나타나는 바른 지혜, 즉 무루혜가 아니라는 점에서 불교 일반에서는 계탁분별이라는 용어를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변계(遍計)라는 낱말의 문맥에서의 계탁분별, 즉 계(計) · 계탁 · 분별 · 헤아림은 항상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변계(遍計)라는 낱말의 문맥에서의 계탁분별미혹한 상태의 제6식, 즉 깨닫지 못한 상태의 제6의식, 즉 아직 전의(轉依: 識이 智로 바뀌는 질적 변형)를 획득하지 못한 제6의식을 토대로 무상한 존재인 사람[人: 즉 5온의 가화합]과 (法)에 대해 실아(實我)가 존재하고 실법(實法)이 존재한다라고 두루[遍] 헤아리는 것, 즉 보편적으로 언제나 그렇게 생각하고 믿으며 또한 이러한 생각과 믿음을 바탕으로 대상을 구별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뜻에서 계(計) · 계탁 · 계탁분별 · 분별 · 헤아림을 보통 불교 일반에서는 허망한 분별 또는 그릇된 분별이라고 한다.

참고 문헌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