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세광: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시들해봇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국립극장 - 국립극장 (대한민국) 문서로 링크 바꿈
15번째 줄: 15번째 줄:
[[1951년]] [[12월 26일]] [[일본]]에서 출생 세이끼 상업고등학교 중퇴하고, 부인 강성숙과 결혼했다. [[1974년]] 당시 대한민국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영향력을 뻗치고 있던 일본의 해외동포단체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의 지령을 받았다"고 하며 다른 쪽에서는 [[공산주의]]를 믿는 단순한 공산주의자라고도 한다.
[[1951년]] [[12월 26일]] [[일본]]에서 출생 세이끼 상업고등학교 중퇴하고, 부인 강성숙과 결혼했다. [[1974년]] 당시 대한민국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영향력을 뻗치고 있던 일본의 해외동포단체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의 지령을 받았다"고 하며 다른 쪽에서는 [[공산주의]]를 믿는 단순한 공산주의자라고도 한다.


일본 경찰 요시이 미키코(吉井美喜子)가 소유하고 있던 권총을 가지고 대한민국에 입국한 뒤 [[1974년]] [[8월 15일]] [[광복절]] 경축행사가 열린 [[국립극장]]에서 당시 대통령 [[박정희]]를 살해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 [[육영수]]를 실수로 암살했다. 육영수 암살 사건이 터진 지 4개월이 지난 [[12월 20일]] 사형을 선고받았다.
일본 경찰 요시이 미키코(吉井美喜子)가 소유하고 있던 권총을 가지고 대한민국에 입국한 뒤 [[1974년]] [[8월 15일]] [[광복절]] 경축행사가 열린 [[국립극장 (대한민국)|국립극장]]에서 당시 대통령 [[박정희]]를 살해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 [[육영수]]를 실수로 암살했다. 육영수 암살 사건이 터진 지 4개월이 지난 [[12월 20일]] 사형을 선고받았다.


== 의혹 ==
== 의혹 ==

2013년 2월 23일 (토) 11:01 판

문세광
출생1951년 12월 26일
일본의 기 일본
사망1974년 12월 20일(1974-12-20)(22세)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사인사형
성별남성
부모문병태 (부), 육말란 (모)
배우자강성숙

문세광(文世光, 1951년 12월 26일 ~ 1974년 12월 20일)은 재일 한국인 으로, 일본식 통명은 난조 세이코(틀:Ja-y)였다.

생애

1951년 12월 26일 일본에서 출생 세이끼 상업고등학교 중퇴하고, 부인 강성숙과 결혼했다. 1974년 당시 대한민국 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영향력을 뻗치고 있던 일본의 해외동포단체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의 지령을 받았다"고 하며 다른 쪽에서는 공산주의를 믿는 단순한 공산주의자라고도 한다.

일본 경찰 요시이 미키코(吉井美喜子)가 소유하고 있던 권총을 가지고 대한민국에 입국한 뒤 1974년 8월 15일 광복절 경축행사가 열린 국립극장에서 당시 대통령 박정희를 살해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 육영수를 실수로 암살했다. 육영수 암살 사건이 터진 지 4개월이 지난 12월 20일 사형을 선고받았다.

의혹

정경모의 주장

하지만 여러 인사들이 문세광이 육영수를 실제로 맞혔는지와 왜 암살을 시도했는지 그 의도에 대해 의혹을 제기하였다.

정경모는 이와 관련해 육영수가 총을 맞은 사입구(射入口)와 사출구(射出口) 방향이 흔히 알려진 것과는 정반대 방향이라는 주장을 발굴, 과연 진짜 흉탄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의심을 암시했으며 문세광이 서울에서 보인 행적에 (대한민국 정부 발표와는 어긋나는) 뭔가 수상쩍은 요소가 있고 문제의 그날 행사장에서 문세광의 뒤를 봐준 청와대 경호원이 있었다는 신문기사 발굴, 문세광이 한때 "김대중 구출을 위해 주일(駐日) 한국 공관을 점거하는 투쟁을 벌이자"고 누군가에게 편지를 썼는데 그 편지가 당시 한국 중앙정보부에 흘러들어갔을 가능성 - 즉 한국정부가 일찍부터 문세광의 존재를 알고 쭉 감시해왔을 가능성 등을 시사했다.[1]

하지만 이런 주장에 대해 경호원들과 문세광의 총소리와 발견된 총탄의 수 일치, 그리고 사입구, 사출구의 정반대 논리의 부정확성, 그리고 그 당시 그것을 본 증인들의 존재여부를 보면 위의 주장은 단순한 주장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있다.

김형욱의 주장

전직 중앙정보부장 김형욱은 회고록에서 "그(문세광)는 한때 1973년 김대중 납치사건과 관련, 〈김대중 구명 운동 단체〉의 회원이었다"고 하여 일명 "김대중 사건 관련 복수설"을 암시했다. 그러나 김대중과 문세광이 직접적으로 연관되었다고 하지는 않았다.[2]

한편 대한민국 정부는 1974년 8월 14일, 즉 이른바 문세광 사건이 터지기 하루 전에 일본 정부 측에 "더 이상 김대중 납치 사건 관련 수사를 하지 않겠다"고 통보한 바 있다. 정경모에 따르면, "만일 이 통보가 다음날 조간 신문에 알려졌으면 대한민국의 민주화 세력이 크게 항의했을 것"이라고 했으나 문세광 사건의 여파로 수사중지 통보는 유야무야되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해 일본 측의 수사본부 역시 8월 7일 공식 철수했고 대통령 박정희도 잭 앤더슨과의 인터뷰에서 김대중 납치에 관련, "나는 이 더러운 일에 전혀 관계되지 않았다. (중략) 정보부의 소행으로 생각된다."라고 밝혔다.

일본 경찰은 당시 이 사건에 대해 이웃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6~7명의 복수범이 계획하고 있었고 조사결과로는 조총련과 일부 일본인들의 연관도 부정할 수 없다고 보았다. 계획은 1년 전부터 시작되었으며 계획에 대한 논의는 철저히 일본어로만 이루어졌다고 일본 경찰은 밝혔다. 그리고 일본 경찰은 문세광의 가택 등을 비롯한 현장을 조사한 결과, "죽음이냐 승리냐는 총구가 보증한다. 8월 1일 문세광"이라는 메모도 발견했다고 한다.

가족

  • 아버지 : 문병태 (1918년 ~ ?)
  • 어머니 : 육말란 (1917년 ~ ?)
  • 부인 : 강성숙

문세광을 연기한 배우

같이 보기

주석

  1. 정경모, 〈박정희; 권력부상에서 비극적 종말까지〉, 《역사비평》13호, 1991
  2. 김경재, 《혁명과 우상-김형욱 회고록》, 전예원,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