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댓값: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9번째 줄: 9번째 줄:
:<math>|a| := \begin{cases} a, & \mbox{if } a \ge 0 \\ -a, & \mbox{if } a < 0. \end{cases} </math>
:<math>|a| := \begin{cases} a, & \mbox{if } a \ge 0 \\ -a, & \mbox{if } a < 0. \end{cases} </math>


정의에 따라, 이 값은 거리이므로 항상 [[0]] 이상이다. 따라서 절대값이 가장 작은 수는 [[0]]이다. 그리고 다음의 정리들이 성립한다.
정의에 따라, 이 값은 거리이므로 항상 [[0]] [[이상]]이다. 따라서 절대값이 가장 작은 수는 [[0]]이다. 그리고 다음의 정리들이 성립한다.


:<math>|a| = \sqrt{a^2}</math>
:<math>|a| = \sqrt{a^2}</math>

2013년 2월 21일 (목) 09:25 판

수학에서 절댓값이란, 어떤 실수에서 부호를 제거한 값을 말한다. 예를 들어, 3과 -3의 절댓값은 둘 다 3이 된다.

또한, 복소수, 사원수, 벡터 등에 대해서도 절댓값을 일반화시킬 수 있다.

실수

절대값 함수

어떠한 실수 a의 절대값은 로 표기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정의에 따라, 이 값은 거리이므로 항상 0 이상이다. 따라서 절대값이 가장 작은 수는 0이다. 그리고 다음의 정리들이 성립한다.

(대칭성)
(삼각부등식)

또한, 다음 식은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 식을 이용하면 절대값이 들어간 부등식을 쉽게 풀 수 있다.

복소수

복소수에서는 값들의 크기 비교가 불가능하기 때문에[1], 실수에서의 정의를 쓸 수 없다. 대신, 앞에서의 성질 중 하나인

를 이용할 수 있다.

임의의 복소수

에 대해, 절댓값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렇게 정의하면, 앞의 절대값의 성질이 모두 성립하며, 특히 이 정의는 z가 실수일 때에도 성립하게 된다.

이때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따라 절대값은 원점과 복소수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게 된다. 더 일반적으로, 두 복소수 사이의 거리는 복소수의 차의 절대값이 된다.

주석

  1. 복소수에도 임의의 순서를 줄 순 있지만, 그렇게 정의한 절대값은 직관적으로 말하는 크기와 대부분 상반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