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라 바트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Tsuchiya Hikaru 사용자가 사라 바트만 문서를 세라 바트먼 문서로 옮겼습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 정보
{{인물 정보
|이름 = 사라 바트만
|이름 = 세라 바트먼
|그림 = Baartman.jpg
|그림 = Baartman.jpg
|크기 = 200px
|크기 = 200px
23번째 줄: 23번째 줄:
|순자산 =
|순자산 =
}}
}}
'''사르지에 '사라' 바트만'''(Saartjie "Sarah" Baartman, [[1789년]] ~ [[1815년]] [[12월 29일]])은 19세기 [[인종차별]]의 상징으로 프랑스 등 유럽을 돌면서 구경거리가 되었던 인물이다. '''사키 바트만''' 또는 '''사라 바트만'''으로 불리기도 하며, 유럽에서 코이코이족을 비하하는 단어로 쓰이는 호텐토트족인 점을 따 ''''호텐토트 비너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사르지에 '세라' 바트먼'''(Saartjie "Sarah" Baartman, [[1789년]] ~ [[1815년]] [[12월 29일]])은 19세기 [[인종차별]]의 상징으로 프랑스 등 유럽을 돌면서 구경거리가 되었던 인물이다. '''사키 바트먼''' 또는 '''세라 바트먼'''으로 불리기도 하며, 유럽에서 코이코이족을 비하하는 단어로 쓰이는 호텐토트족인 점을 따 ''''호텐토트 비너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 일생 ==
== 일생 ==
19세기 사라 바트만이 살고있던 남아공은 백인들에 의해 공격을 받았고 대부분이 죽었다. 그러나 사라 바트만은 살아 남아 유럽으로 팔려 나갔다. 그러나 사라 바트만의 큰 엉덩이와 가슴 등의 특이한 외형 때문에 호기심을 갖게 된 영국인 윌리암(william dunlop)은 이를 돈벌이에 이용 할 목적으로 사라 바트만을 '구입'한다. 그 이후 사라 바트만은 유럽을 다니며 인간 전시물이 되어 큰 인기를 끌게 되며 윌리암은 큰 돈을 벌게 된다. 사라 바트만은 동물 상인에게 팔려다니는 등 동물로 다루어졌다. 당시 유럽인들은 코이코이족을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았으며 '우수한 유인원' 정도로 생각했고, 코이코이족을 비하하는 단어인 호텐토트를 따 '호텐토트 비너스'라고 불렀다. 사라 바트만은 광장, 대학, 서커스 등에서 나체로 사람들의 구경거리가 되었다. 이후 사람들의 관심이 사그라들자 알콜중독에 빠지고 매춘부가 되어 불행한 삶을 살았다. 사라 바트만은 외모와 인종 때문에 이런 차별을 겪게 되었고 훗날 여성 학대, 식민 통치의 잔혹성, 인종차별의 상징이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화려한 문화재 뒤에 숨은 탐욕의 유럽역사|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2&aid=0002030648|출판사 = 세계일보|저자 = 박태해 기자|쪽 = |작성일자 = 2009-03-20|확인일자 = 2010-01-31}}</ref>
19세기 세라 바트먼이 살고있던 남아공은 백인들에 의해 공격을 받았고 대부분이 죽었다. 그러나 세라 바트먼은 살아 남아 유럽으로 팔려 나갔다. 그러나 세라 바트먼의 큰 엉덩이와 가슴 등의 특이한 외형 때문에 호기심을 갖게 된 영국인 윌리암(william dunlop)은 이를 돈벌이에 이용 할 목적으로 세라 바트먼을 '구입'한다. 그 이후 세라 바트먼은 유럽을 다니며 인간 전시물이 되어 큰 인기를 끌게 되며 윌리암은 큰 돈을 벌게 된다. 세라 바트먼은 동물 상인에게 팔려다니는 등 동물로 다루어졌다. 당시 유럽인들은 코이코이족을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았으며 '우수한 유인원' 정도로 생각했고, 코이코이족을 비하하는 단어인 호텐토트를 따 '호텐토트 비너스'라고 불렀다. 세라 바트먼은 광장, 대학, 서커스 등에서 나체로 사람들의 구경거리가 되었다. 이후 사람들의 관심이 사그라들자 알콜중독에 빠지고 매춘부가 되어 불행한 삶을 살았다. 세라 바트먼은 외모와 인종 때문에 이런 차별을 겪게 되었고 훗날 여성 학대, 식민 통치의 잔혹성, 인종차별의 상징이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 = 화려한 문화재 뒤에 숨은 탐욕의 유럽역사|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2&aid=0002030648|출판사 = 세계일보|저자 = 박태해 기자|쪽 = |작성일자 = 2009-03-20|확인일자 = 2010-01-31}}</ref>


== 사망 이후 ==
== 사망 이후 ==
[[파일:South Africa-Hankey-Signboard at Sarah Baartmans grave.jpg|250px|thumb|right|페러스가 쓴 시가 있는 사라 바트만의 비석]]
[[파일:South Africa-Hankey-Signboard at Sarah Baartmans grave.jpg|250px|thumb|right|페러스가 쓴 시가 있는 세라 바트먼의 비석]]
사망 이후에도 그의 유해는 정상적으로 반환되지 않고 프랑스에 귀속되었으며, 사람이 아니라 동물이라는 인종차별적 주장도 여전했다. 이러한 주장을 근거로 바트만의 유해는 뼈와 성기, 뇌 등의 내장이 들어내져 연구 대상이 되거나, 박제로 만들어져 1974년까지 박물관에 전시되었다.<ref name=autogenerated1>{{뉴스 인용|제목 = '호텐토트 비너스' 200년 만에 고향땅에 안장|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0218775|출판사 = 연합뉴스|저자 = |쪽 = |작성일자 = 2002-08-08|확인일자 = 2010-01-31}}</ref> 그러나 바트만의 유해에서 추출한 유전자를 감식한 결과 완전한 인간이라는 결과가 나와 동물 논쟁은 끝을 맺었다.
사망 이후에도 그의 유해는 정상적으로 반환되지 않고 프랑스에 귀속되었으며, 사람이 아니라 동물이라는 인종차별적 주장도 여전했다. 이러한 주장을 근거로 바트만의 유해는 뼈와 성기, 뇌 등의 내장이 들어내져 연구 대상이 되거나, 박제로 만들어져 1974년까지 박물관에 전시되었다.<ref name=autogenerated1>{{뉴스 인용|제목 = '호텐토트 비너스' 200년 만에 고향땅에 안장|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0218775|출판사 = 연합뉴스|저자 = |쪽 = |작성일자 = 2002-08-08|확인일자 = 2010-01-31}}</ref> 그러나 바트만의 유해에서 추출한 유전자를 감식한 결과 완전한 인간이라는 결과가 나와 동물 논쟁은 끝을 맺었다.


이후에 인권단체들을 중심으로 유해 반환 시위가 일어났으나 프랑스는 사라 바트만의 박제에 대해 '타국에서 유입된 유물은 프랑스 소유'라는 관련 법규를 들어 남아공으로의 반환을 반대하였다. 그러나 인권단체들은 '사람의 신체는 누구의 소유도 될 수 없다'는 다른 법 규정을 들어 프랑스 정부를 비난하였다. 결국 [[2002년 5월]] 프랑스는 악화되는 여론을 이기지 못하고 사라 바트만의 유해를 200년 만에 본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 케이프주에 되돌려주게 되었다.<ref name=autogenerated1 />그의 매장식에는 [[타보 음베키]] 남아공 대통령과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을 비롯, 8천여명이 참석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상징물 '호텐토트 비너스' 200년만 귀향|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38&aid=0000147809|출판사 = 한국일보|저자 = 김범수 기자|쪽 = |작성일자 = 2002-08-09|확인일자 = 2010-01-31}}</ref>
이후에 인권단체들을 중심으로 유해 반환 시위가 일어났으나 프랑스는 세라 바트먼의 박제에 대해 '타국에서 유입된 유물은 프랑스 소유'라는 관련 법규를 들어 남아공으로의 반환을 반대하였다. 그러나 인권단체들은 '사람의 신체는 누구의 소유도 될 수 없다'는 다른 법 규정을 들어 프랑스 정부를 비난하였다. 결국 [[2002년 5월]] 프랑스는 악화되는 여론을 이기지 못하고 세라 바트먼의 유해를 200년 만에 본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 케이프주에 되돌려주게 되었다.<ref name=autogenerated1 />그의 매장식에는 [[타보 음베키]] 남아공 대통령과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을 비롯, 8천여명이 참석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 = 상징물 '호텐토트 비너스' 200년만 귀향|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38&aid=0000147809|출판사 = 한국일보|저자 = 김범수 기자|쪽 = |작성일자 = 2002-08-09|확인일자 = 2010-01-31}}</ref>


== 미디어 ==
== 미디어 ==
44번째 줄: 44번째 줄:
* [http://www.youtube.com/watch?v=GjUFlI8dedE 지식채널e - 이상한 쇼]
* [http://www.youtube.com/watch?v=GjUFlI8dedE 지식채널e - 이상한 쇼]


{{기본정렬:바트먼, 세라}}
[[분류:1789년 태어남]]
[[분류:1789년 태어남]]
[[분류:1815년 죽음]]
[[분류:1815년 죽음]]

2013년 1월 17일 (목) 10:20 판

세라 바트먼
19세기 초반에 그려진 풍자 만화
출생1789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케이프 주
사망1815년 12월 29일(1815-12-29) (향년 26세)
프랑스, 파리
성별여성
국적남아프리카공화국
별칭호텐토트 비너스

사르지에 '세라' 바트먼(Saartjie "Sarah" Baartman, 1789년 ~ 1815년 12월 29일)은 19세기 인종차별의 상징으로 프랑스 등 유럽을 돌면서 구경거리가 되었던 인물이다. 사키 바트먼 또는 세라 바트먼으로 불리기도 하며, 유럽에서 코이코이족을 비하하는 단어로 쓰이는 호텐토트족인 점을 따 '호텐토트 비너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일생

19세기 세라 바트먼이 살고있던 남아공은 백인들에 의해 공격을 받았고 대부분이 죽었다. 그러나 세라 바트먼은 살아 남아 유럽으로 팔려 나갔다. 그러나 세라 바트먼의 큰 엉덩이와 가슴 등의 특이한 외형 때문에 호기심을 갖게 된 영국인 윌리암(william dunlop)은 이를 돈벌이에 이용 할 목적으로 세라 바트먼을 '구입'한다. 그 이후 세라 바트먼은 유럽을 다니며 인간 전시물이 되어 큰 인기를 끌게 되며 윌리암은 큰 돈을 벌게 된다. 세라 바트먼은 동물 상인에게 팔려다니는 등 동물로 다루어졌다. 당시 유럽인들은 코이코이족을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았으며 '우수한 유인원' 정도로 생각했고, 코이코이족을 비하하는 단어인 호텐토트를 따 '호텐토트 비너스'라고 불렀다. 세라 바트먼은 광장, 대학, 서커스 등에서 나체로 사람들의 구경거리가 되었다. 이후 사람들의 관심이 사그라들자 알콜중독에 빠지고 매춘부가 되어 불행한 삶을 살았다. 세라 바트먼은 외모와 인종 때문에 이런 차별을 겪게 되었고 훗날 여성 학대, 식민 통치의 잔혹성, 인종차별의 상징이 되었다.[1]

사망 이후

파일:South Africa-Hankey-Signboard at Sarah Baartmans grave.jpg
페러스가 쓴 시가 있는 세라 바트먼의 비석

사망 이후에도 그의 유해는 정상적으로 반환되지 않고 프랑스에 귀속되었으며, 사람이 아니라 동물이라는 인종차별적 주장도 여전했다. 이러한 주장을 근거로 바트만의 유해는 뼈와 성기, 뇌 등의 내장이 들어내져 연구 대상이 되거나, 박제로 만들어져 1974년까지 박물관에 전시되었다.[2] 그러나 바트만의 유해에서 추출한 유전자를 감식한 결과 완전한 인간이라는 결과가 나와 동물 논쟁은 끝을 맺었다.

이후에 인권단체들을 중심으로 유해 반환 시위가 일어났으나 프랑스는 세라 바트먼의 박제에 대해 '타국에서 유입된 유물은 프랑스 소유'라는 관련 법규를 들어 남아공으로의 반환을 반대하였다. 그러나 인권단체들은 '사람의 신체는 누구의 소유도 될 수 없다'는 다른 법 규정을 들어 프랑스 정부를 비난하였다. 결국 2002년 5월 프랑스는 악화되는 여론을 이기지 못하고 세라 바트먼의 유해를 200년 만에 본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턴 케이프주에 되돌려주게 되었다.[2]그의 매장식에는 타보 음베키 남아공 대통령과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을 비롯, 8천여명이 참석하였다.[3]

미디어

주석

  1. 박태해 기자. “화려한 문화재 뒤에 숨은 탐욕의 유럽역사”. 세계일보. 2010년 1월 31일에 확인함. 
  2. '호텐토트 비너스' 200년 만에 고향땅에 안장”. 연합뉴스. 2010년 1월 31일에 확인함. 
  3. 김범수 기자. “상징물 '호텐토트 비너스' 200년만 귀향”. 한국일보. 2010년 1월 31일에 확인함. 

바깥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