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 공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가치 공학(價値工學, 영어: value engineering) 또는 가치 분석(價値分析, 영어: value analysis)은 제네럴 일렉트릭 사의 마일스가 1947년에 개발한 것으로, 필요한 기능을 최저의 총 비용으로 확실히 달성하기 위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의 기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주어진 자원으로 고객이 기대하는 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한다든가 고객이 요구하는 기능을 최소한의 자원으로 발휘하느냐가 그 과제로 그것은 자원의 유효적인 활용 방법을 해명하는 것이 된다. 요컨대 가치 분석은 구매품가격의 관점에서 기술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재료 원가를 인하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구매가 최저 가격으로 이루어지느냐, 그렇지 않느냐, 그 품목의 전체가 필요한가 아닌가, 보다 원가가 싼 재료는 없는가, 혹은 사용하는 것보다 싼 방법은 없는가, 요구된 재료의 설계를 보다 좋은 것으로 개선할 수 없을까 등이 검토된다.

진행방식[편집]

기치분석 또는 가치공학(價値工學)이 하는 일은 최저의 비용으로 적절한 품질과 신뢰성이 있는 상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원료에서부터 최종제품에 이르기까지 생산의 전 국민에 경영기술과 공학적인 기술을 총체화하는 연구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치분석의 주 목적은 조직적이고 정상적인 연구조사를 통하여 불필요한 원가를 절감시키는 데 있다. 특히 오토메이션에 의한 생산관리와 각 분야의 전문화 및 기업의 대형화에 따르는 기업내의 복잡화 등은 각 분야간의 밀접한 협조와 통제를 불가피하게 만든다. 따라서 상호간에 각 분야에서 높은 원가를 차지하는 부분에 대한 공동연구와 조사를 통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것이 가치공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이 진행된다.

(1) 각 부품·자재 또는 공정의 기능에 대한 조사 및 연구를 위한 각 전문적인 기술과 응용의 조정

(2) 현행의 가공·조달방법과 코스트 파악

(3) 자재관리와 다른 기능과의 긴밀한 접촉

이와 같은 가치분석계획은 기업내의 모든 기능부문을 망라할 수 있도록 고위 경영자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두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책임자는 제조 또는 기술부문에서의 상당한 경험자라야 된다.

가치분석의 기능과 범위[편집]

가치분석의 진행방법[편집]

주로 다음과 같은 기본 단계가 어떤 특수한 목적을 위한 가치분석의 진행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① 기존의 사실과 코스트의 파악, ② 기능의 파악, ③ 기존개념의 타파에 의한 창조적 아이디어의 창안, ④ 비교에 의한 평가.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함과 동시에 다음과 같은 실제행동을 시작한다. ① 대체 가능한 자재의 대체, ② 무기능품(無機能品)의 제거, ③ 특별한 디자인을 필요로 할 때 표준방법의 사용을 위한 노력, ④ 생산단계의 제조방법 변경, ⑤ 부품의 여러 설계.

가치분석의 가장 큰 이용은 구입자재비의 절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입자재의 원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가능하다. ① 제품의 설계, 필요한 자재 및 제조 방법에 기본적인 가치를 정확히 분석하고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창안한다. ② 장래의 필요조건 및 계속적인 구입의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조사대상의 부품 및 자재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구매 담당자와 긴밀한 협조를 한다. ③ 각 품목에 대하여 가치측정을 하여 대체품목이 없는가를 확인하여 설계 및 제조방법상 변경의 여지가 없는가를 분석한다.

가치분석의 측정방법[편집]

가치측정이라 함은 다음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① 이 품목은 예상대로의 가치가 있는가? ② 이 품목이 원가는 이용도에 비례할 수 있는가? ③ 이 품목의 부품은 낮은 원가로 제조 가능한가? ④ 이 품목의 필요할 때 적시에 구입가능한가? ⑤ 필요량을 생산할 때 적절한 공구로 생산 가능한가?

이와 같은 가치측정은 가치분석의 기본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만일 부품 및 자재가 이와 같은 가치측정에 미달된다면 이것은 가치분석 그룹에서 연구조사해야 될 대상인 것이다.

가치분석과 가치공학[편집]

이들 양자의 개념은 동의어로서 사용되고 있으나, 구태여 구별한다면 가치분석은 이미 사용되고 있는 품목의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반면 가치공학은 장차 설계 또는 생산하여야 될 신제품에 대하여 사용하는 일이 많다. 다시 말하면 가치분석에서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품목의 기능 파악 및 가치측정이 주요 연구대상이고, 가치공학의 경우는 앞으로 사용하게 될 품목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가치분석 또는 가치공학에서의 관심사는 기능가치 및 코스트와의 관계에서 코스트와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공통의 인자를 창안하여 그 차를 최대가 되게 하며, 기능의 수준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치를 측정하는 공통인자를 발견한다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다시 말하면 가치에는 기능과 동등하게 생각할 수 있는 사용가치 이외에 무형의 가치, 즉 교환가치·희소가치·비용가치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무형의 가치는 제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원가절감이라는 측면에서의 가치 분석을 체계적으로 개발시키는데 있어서는 많은 난점이 있으며, 경제학에서의 효용의 개념을 도입하여 가치의 측정수단을 확립시켜야 될 것이다.

같이 보기[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