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덕수 이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덕수 이씨
德水李氏
관향개성시 판문구역 덕수리
시조이돈수(李敦守)
원시조이허겸(李許謙)
중시조이양준(李陽俊)
집성촌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삼산리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용산리
황해도 신천군
평안남도 용강군 금곡면 담부리
주요 인물이기, 이거, 이행, 이정, 이이, 이광, 이우, 이순신, 이완, 이단하, 이여, 이은, 이병모, 이규갑 이기영, 이주열, 이창용, 이재준, 이승현
인구(2015년)58,513명
비고덕수이씨 대종회

덕수 이씨(德水李氏)는 개성시 판문구역 덕수리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연원

[편집]

충무공가전(忠武公家傳)에 따르면 이양준(李陽俊)이 신라 사람 이허겸(李許謙)의 후예라고 하고 있으나 그 중간의 세계(世系)가 실전되어 율곡선생 가전세계(家傳世系)를 따라 이돈수(李敦守)을 시조로 정했다.

충무공의 종손 이지정(李之貞)의 가첩(家牒)에 의하면 이허겸(李許謙)은 대광보국(大匡輔國)으로 신라 사람이며 그 3,4대손 이양준(李陽俊)이 보승장군(保勝將軍)이 되어 몽고(蒙古)에 사신으로 갔다라고 한다.

역사

[편집]

시조 이돈수(李敦守)는 고려 때 신호위중랑장(神虎衛中郞將)을 지냈으며, 1218년 거란이 고려에 침입했을 때 거란을 방어하는 공을 세웠다. 고려사 조충전에 따르면 1217년 고려와 거란의 전쟁 때 조충(趙沖)이 서북면 원수가 되어 지방의 군사를 기다릴 때 경상도 안찰사 이적(李勣)이 군사를 이끌고 오다가 적을 만나 고립되자 이돈수(李敦守)와 김계봉(金季鳳)을 파견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돈수의 아들 이양준(李陽俊)은 고려의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로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어사대부(御史大夫) 이부상서(吏部尙書) 등에 추증되었다.

처음 덕수 이씨는 이순신의 충무공가승(忠武公家乘)이라는 문헌에서 추밀공(樞密公) 이양준(李陽俊)을 시조로 하고 있었지만, 이율곡의 율곡가전 세계(栗谷家傳世系)에서는 시조가 이돈수(李敦守)라고 언급되었으며, 그 후에는 이돈수와 이양준 부자 관계로 확립되어 기술되었다. 이양준(李陽俊)과 이추밀(李樞密)은 동일 인물로 알려져 있는데, 이양준은 고려사에 등장하는 실존 인물이며, 추밀(樞密)이라는 이름은 별칭인지 시호인지 확실하지 않다.

실제 중시조는 이양준(李陽俊)의 아들로 알려진 인물은 이소(李召)로서, 고려 고종 때 통의대부(通議大夫)로 전법판서(典法判書)와 지삼사사(知三司事) 세자내직랑(世子內直郞) 등을 역임하고, 그 후손들이 누대로 세거해온 고려 개성의 지역이었던 덕수를 본관으로 삼았다고 한다. 덕수 이씨는 본관이 개성에 있고, 고려 시대 주요 벼슬에 등용되어 공을 세운 가문으로 정치적으로 친 고려적인 가문으로 알려져 있다.

덕수 이씨는 거란을 격파했던 시조 신호위중랑장 이돈수 무렵에는 무인 가문이었지만, 조선 중기에 문인파계가 생겨져 무인파계 집안과 문인파계 집안 둘로 나눠졌다는 것이 특색이며, 조선 중종부터 영조대에 이르는 약 300년간 성세를 보였다.

문성공파는 조선시대 문묘종묘에 동시에 종사된 율곡 이이를 배출했고, 문과 급제자 102명, 상신 7명, 대제학 5명, 공신 4명, 청백리 2명이 나왔다.

충무공파는 무과 급제자 267명, 삼도수군통제사 13명을 배출하였다. 충무공 이순신은 12세손이다.

분파

[편집]
  • 감사공파(監司公派): 이경용(李景容)
  • 군수공파(郡守公派): 이양신(李良晨)
  • 문정공파(文靖公派): 이식(李植)
  • 문혜공파(文惠公派) : 이안눌(李安訥)
  • 병사공파(兵使公派) : 이권(李菤)
  • 부장공파(部長公派) : 이원순(李元諄)
  • 북계공파(北溪公派) : 이목(李穆)
  • 사의공파(司議公派) : 이원복(李元福)
  • 사직공파(司直公派) : 이정철(李廷喆)
  • 생원공파(生員公派) : 이의연(李宜衍)
  • 승지공파(承旨公派) : 이의영(李宜榮)
  • 어모공파(禦侮公派) : 이용(李溶)
  • 옥산공파(玉山公派) : 이우(李瑀)
  • 용재공파(容齋公派) : 이행(李荇)
  • 우계공파(雨溪公派) : 이광(李洸)
  • 문성공파(文成公派) : 이이(李珥)
  • 율리공파(栗里公派) : 이요신(李曜臣)
  • 의정공파(議政公派) : 이경민(李景閔)
  • 장령공파(掌令公派) : 이인궤(李仁軌)
  • 적성공파(積城公派) : 이자하(李自夏)
  • 정재공파(定齋公派) : 이번(李璠)
  • 주부공파(主簿公派): 이찬
  • 죽곡공파(竹谷公派) : 이선(李璿)
  • 직장공파(直長公派) : 이원겸(李元謙)
  • 집의공파(執義公派) : 이포(李謩)
  • 참판공파(參判公派) : 이희신(李羲臣)
  • 첨정공파(僉正公派) : 이총(李叢)
  • 충무공파(忠武公派): 이순신(李舜臣)
  • 판서공파(判書公派) : 이경헌(李景憲)
  • 하원군파(河源君派): 이심
  • 학생공파(學生公派) : 이오(李薁)
  • 함종공파(咸從公派) : 이백복(李百福)
  • 해풍군파(海豊君派) : 이함(李菡)
  • 현감공파(縣監公派) : 이아(李莪)
  • 호군공파(護軍公派) : 이명(李蓂)
  • 효정공파(孝貞公派) : 이경증(李景曾)

항렬자

[편집]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노(魯)
희(熙)
口규(奎)
口신(信)
민(敏) 口영(永) 종(種) 口희(熙)
口열(烈)
口환(煥)
재(載) 口용(鏞) 호(浩) 口상(相) 우(愚) 口균(均) 석(錫) 口승(承) 인(寅) 口훈(勳) 시(時) 口현(鉉) 태(泰)

인구

[편집]
  • 1985년 10,580가구 43,505명
  • 2000년 15,711가구 50,486명
  • 2015년 58,513명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