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S (대한민국의 방송사)
![]() TBS 로고 | |
![]() 2016년 7월 4일에 준공된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TBS 사옥 | |
영문표기 | Traffic Broadcasting System |
---|---|
약칭 | TBS |
형태 | 공영방송, 지역방송국, 케이블 |
방송 영역 | 수도권 지역 |
창립일 | 1990년 3월 20일 |
개국일 | 1990년 6월 11일 (라디오) 2005년 3월 3일 (TV) |
주요 주주 | 서울특별시청 |
본사 | ![]() |
사장 | 이강택 |
슬로건 | 시민의 눈으로 한걸음 더 |
웹사이트 | TBS 교통방송 |
TBS 교통방송(交通放送, 영어: Traffic Broadcasting System, TBS) 또는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는 교통 정보는 물론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지역 공영 방송국이다. 1990년 3월 20일 설립되었고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에스플렉스 센터이다.
처음에는 라디오 방송만 송출하다가 15년 후 텔레비전 방송이 개국되었고 텔레비전 방송 개국 3년 후 영어 전문 라디오 방송 채널이 개국되었다. 이 영어 전문 라디오 방송 채널은 대한민국 최초로 개국한 것으로, 시청자들의 높은 호응을 받았다.[1]
1990년 6월 11일에 서울특별시 주변 지역(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일부)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TBS FM(95.1㎒)이 개국되었고, 2005년 3월 3일에 케이블 채널인 TBS TV가 개국되었으며, 2008년 12월 1일에는 “Right here! Right now!”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100% 영어로 진행되는 한국 최초의 종합편성 FM 영어 전문 라디오 채널인 TBS eFM(101.3㎒)이 개국되었다.[2]
교통 관련 방송 이외에도 2011년부터 프로축구 서울 연고 구단인 FC 서울의 스포츠 경기를 중계하는 등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지역에 관련된 여러 가지 방송 프로그램을 내보낸다. 2020년 2월 17일부터 서울시 산하 사업소에서 서울특별시 출연 기관인 미디어재단으로 전환되었다. 서울시 산하 사업소 시절에는 대표는 지방부이사관, 또는 개방형 임기제 공무원으로 보했으나[3], 미디어재단으로 전환한 이후에는 대표와 직원 모두 민간인 신분이 되었다.
TBS가 재단법인과 출범함과 동시에 영문명도 "Seoul Traffic Broadcasting"으로 변경되었다. TBS는 새로운 CI에 대해 "교통, 기상 정보 중심의 TBS 교통방송 (Traffic Broadcasting System)의 좁은 의미에서 벗어나 "시민들에게 더 가까이, 보다 진실되고 정의로운, 미래 혁신 미디어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4]
연혁[편집]
- 1988년 3월 29일: 1988 서울 올림픽 대비 TBS 교통방송 설치 계획 수립(경찰청)
- 1990년 3월 20일: TBS 교통방송 본부 설치조례 공포(서울시)
- 1990년 5월 1일: 시험 방송 실시
- 1990년 6월 11일: 종로구 도렴동에서 9시 51분에 tbs FM 개국(호출부호: HLST, 주파수: 95.1㎒, 출력: 5㎾)
- 1991년 1월 1일: TBS 교통방송 지역방송실 운영 개시(5개 지역)
- 1995년 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5주년
- 1996년 12월 17일: 교통정보 서비스용 TRS (주파수 공용 무선 통신 시스템)운영
- 1997년 5월 17일: 방송국 청사 이전 종로구 도렴동 → 중구 예장동
- 1997년 6월 10일: TBS 교통방송 남산시대 개막
- 1997년 9월 5일: 교통정보 ARS 서비스 개시
- 2000년 4월 14일: ㈜로티스와 교통정보 제휴 협약 체결
- 2000년 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10주년
- 2000년 7월 24일: TBS 교통방송 인터넷 방송 개시(실시간 오디오 서비스)
- 2000년 11월 5일: 송신소를 남산 송신소에서 관악산 송신소로 이전
- 2003년 10월 21일: 인터넷 TBS 교통방송 (iTBS) 개국
- 2004년 3월 25일: ㈜NHN과 업무제휴
- 2004년 3월 31일: KBS 인터넷과 동영상 교통정보 모바일 서비스 제휴
- 2004년 6월 17일: 인터넷 TBS 교통방송 휴대폰 서비스 개시
- 2005년 3월 3일: 유료 방송 채널 tbs TV서울(현 tbs TV) 개국
- 2005년 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15주년
- 2005년 12월 1일: 지상파 DMB 오디오 채널 tbs DMB(tbs V-Radio) 개국
- 2007년 7월 30일: 기관명을 TBS 교통방송본부에서 TBS 교통방송으로 변경
- 2008년 7월 23일: 영어 FM 방송 허가 승인(남산 송신소)
- 2008년 12월 1일: 영어 FM 방송 tbs eFM 개국(호출부호: HLSW, 주파수: 101.3㎒, 출력: 1㎾)
- 2009년 10월 1일: 지상파 DMB Radio tbs DMB(현 TBS World) 비주얼 라디오 방송으로 전환
- 2009년 10월 1일: 지상파 DMB TV(#Love tbs) 개국
- 2010년 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0주년
- 2011년 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1주년
- 2011년 11월 30일: 지상파 DMB 오디오 채널 tbs DMB(TBS World) 방송 종료
- 2012년 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2주년
- 2013년 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3주년
- 2013년 10월 14일 tbs eFM 중국어방송 개시
- 2013년 12월 31일: 지상파 DMB TV(#Love TBS) 종료
- 2014년 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4주년
- 2015년 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5주년
- 2016년 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6주년
- 2016년 7월 4일: 방송사 신청사 이전 중구 예장동 → 마포구 상암동 에스플렉스센터로 이전
- 2017년 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7주년
- 2017년 6월 12일: 라디오 계획 정파 주기 변경(매주 화요일 02시~05시 → 매월 첫째 주 화요일 02시~05시)
- 2018년 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8주년
- 2019년 6월 11일: TBS 교통방송 개국 29주년
- 2020년 2월 17일: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로 재단법인 출범 (tbs 교통방송 →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 2020년 6월 11일: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개국 30주년
- 2021년 2월 17일 :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출범 1주년
사가[편집]
1절
- 마음에도 길이 있네 환한 길 푸른 길
- 웃음을 마주하면 길마다 열리네
- 온누리 빛과 빛 열리는 마음 마음
- 열린 소리 열린 세상 TBS 교통방송
2절
- 가슴으로 여는 길 웃음으로 가는 길
- 나눔을 함께하면 모두마다 열리네
- 나라를 가꾸는 겨레의 소리터
- 밝은 소리 밝은 우리 TBS 교통방송
방송 현황[편집]
TBS FM[편집]
TBS eFM[편집]
TBS TV[편집]
- 채널: 216번(KT 올레TV), 167번(SK B TV), 245번(LG U+ TV), 316번(양천, 북인천: 225번)(LG헬로비전), 216번(SK브로드밴드), 153번(딜라이브), 92-2, 169번(대구: 79-2)(CMB), 347번(현대HCN)
- 가시청 지역: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전 지역, 수도권 외 일부 지역
프로그램[편집]
TBS FM[편집]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매 짝수시 정각에 TBS 뉴스가 방송된다. (평일 오전 7시, 오전 8시 제외) 매시 5분, 20분, 30분, 50분에는 상황실을 연결하여 교통정보를 방송하며, 오전 6시 58분부터 오후 10시 58분까지는 매시 58분에 TBS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새벽 시간대에는 1시간에 2회씩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지역에 호우·재난 발생 시 특별 교통정보와 재난 방송 등을 한다.
평일[편집]
- 05:00,05:31,06:00,06:31《라디오를 켜라 정연주입니다》(진행: 정연주) (1부), (2부), (3부), (4부)
- 07:06,07:31,08:11,08:31《김어준의 뉴스공장》(진행: 김어준) (1부), (2부), (3부), (4부)
- 08:00《TBS 아침종합뉴스》(진행: TBS 아나운서)
- 09:00,09:31《김규리의 퐁당퐁당》(진행: 김규리) (1부), (2부)
- 10:06,10:31,11:00《좋은 사람들 송정애입니다》(진행: 송정애) (1부), (2부), (3부)
- 11:30《자동차의 모든것 으랏차차 김필수입니다》(진행: 김필수)
- 11:56《우리말 고운말》(진행: 아나운서부)
- 12:00《TBS 정오종합뉴스》(진행: 아나운서)
- 12:11,12:31,13:00,13:31《배칠수, 박희진의 9595쇼》(진행: 배칠수, 박희진) (1부), (2부), (3부), (4부)
- 14:06,14:31,15:00,15:31《최일구의 허리케인 라디오》(진행: 최일구) (1부), (2부), (3부), (4부)
- 16:06,16:31,17:00,17:31《이은미와 함께라면》(진행: 이은미) (1부), (2부), (3부), (4부)
- 17:55《TBS게시판》(진행: TBS 아나운서)
- 18:00《TBS 저녁종합뉴스》 (진행: TBS 아나운서)
- 18:11,18:31,19:00,19:31《명랑시사 이승원입니다》(진행: 이승원) (1부), (2부), (3부), (4부)
- 20:06,20:31《아닌 밤중에 주진우입니다》(진행: 주진우) (1부), (2부)
- 21:00,21:21《이가희의 러브레터》(진행: 이가희) (1부), (2부)
- 21:44《우리동네 라디오》
- 22:00,23:00《달콤한 밤, 황진하입니다》(진행: 황진하) (1부), (2부)
- 00:00,01:00《TBS MUSIC ONLY》 (1부), (2부)
- 다음 프로그램은 계획 정파가 있는 매월 첫 째주 화요일에는 방송되지 않는다.
- 익일 02:00《TBS MUSIC ONLY》 (3부)
- 익일 03:00,04:00《지금 우리는 새벽을 달리고》(진행: 황원찬)
주말[편집]
- 05:00,05:31,06:00,06:31《라디오를 켜라 정연주입니다》(토) (진행: 정연주) (1부), (2부), (3부), (4부)
- 05:00,05:31,06:00,06:31《일요클래식》(일) (진행: 김혜지)
- 07:00,07:31《김어준의 뉴스공장 주말특근》(토) (진행: 뉴스공장 고정패널) (1부), (2부)
- 07:00,07:31《함춘호의 포크송》(일) (진행: 함춘호) (1부), (2부)
- 08:06,08:31 《tbs 아고라》(토) (진행 : 송현주) (1부), (2부)
- 08:06,08:31《비바트로트》(일) (진행: 김성환) (1부), (2부)
- 09:00,09:31,10:06,10:31,11:00,11:31《기분좋은 토요일 일요일 조현아입니다》 (진행: 조현아) (1부), (2부), (3부), (4부), (5부), (6부)
- 12:00《TBS 정오종합뉴스》(진행: 아나운서)
- 12:11,12:31,13:00,13:31《배칠수, 박희진의 9595쇼》(진행: 배칠수, 박희진) (1부), (2부), (3부), (4부)
- 14:06,14:31,15:00,15:31《최일구의 허리케인 라디오》(진행: 최일구) (1부), (2부), (3부), (4부)
- 16:06,16:31,17:00,17:31《박성호의 사육의 이십사》(진행: 박성호) (1부), (2부), (3부), (4부)
- 18:00,18:31,19:00,19:31《웅산의 스윗멜로디》(토요일, 일요일) (진행: 웅산) (1부), (2부), (3부), (4부)
- 20:00,20:31,21:00,21:31《나선홍의 주말이 좋다》(토요일, 일요일) (진행: 나선홍) (1부), (2부), (3부), (4부)
- 22:00,23:00《달콤한 밤, 황진하입니다》(진행: 황진하) (1부), (2부)
- 00:00,01:00《TBS MUSIC ONLY》 (1부), (2부)
- 익일 02:00《TBS MUSIC ONLY》 (3부)
- 익일 03:00,04:00《지금 우리는 새벽을 달리고》(진행: 황원찬)
- 일부는 주중 프로그램과 동일하다.
TBS eFM[편집]
TBS TV[편집]
여기서는 현재 생방송(일부 시간대 재방)으로 방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위주로 서술한다.
- 김어준의 뉴스공장 LIVE
- 최일구의 허리케인 라디오 LIVE
- TBS 네트워크 730
- 서울시의회 플러스
- 장윤선의 품격시대
- 뉴스공장 외전 더룸
- TV 민생연구소
- 기적의 TV 상담받고 대학가자!
- 로드다큐 우리동네
- 시민영상 특이점
- 5분다큐 사람
- 지식발전소 도시의 품격
- 눈보라
- 영화속 숨은서울찾기
- 시간여행 서울늬우스
- 안전지대 119
- K리그 클래식 축구
- 인 앤 아웃 서울
- K리그 하이라이트
- 영상기록 '서울,시간을 품다'
- 空間사람
- 내가 뽑은 사람들 106인
- TV책방 북소리
- 홍석천의 oh! 마이로드
- 시티헌터
- 김인권의 GOGO@무비
- 공연에 뜨겁게 미치다
- 숫자로 보는 서울
- 온스티에지t
- 팩트인스타
- 지하철 탐사대 요기조기
- TBS 희망광고
로고송[편집]
- 빠른 정보 밝은 방송 tbs 교통방송~ (1990.06.11 ~ 1999)
- 사랑이 있어요 정보가 있어요 t-b-s 교-통-방-송~ (1999~2000)
- 꿈이 있는 정보세상 tbs 교통방송 (2000 ~ 2002)
- 정보가 가득한 즐거운 방송 tbs 교통방송 (2000 ~ 2002)
- 정보가 가득 희망이 가득 tbs 교통방송 (2000 ~ 2002)
- 생활 속의 라디오 tbs 교통방송 (2002 ~ 2003)
- 교-통-방-송 움직이는 라디오 살아있는 라디오 LIVE FM (내레이션: LIVE FM) (2003 ~ 2011)[5] 하지만, 이후에는 교-통-방-송이라는 앞부분이 없어지고 "움직이는 라디오, 살아있는 라디오, LIVE FM"이라는 로고송으로 수정되기도 했다.
- 음~~ (함께 할 수록) 기분좋은 방송 tbs~ FM (2011 ~ 2015.09.20)[6]
- (함께 할 수록) 기분좋은 방송 tbs~ FM~ (2015.09.21 ~ 2020.02.23)[7]
- 이 순간 내곁에 TBS~ (2020.02.24 ~ 현재)
라디오 시보 (FM/eFM)[편집]
FM 95.1㎒ 시민의 방송 TBS에서 OO시를 알려드립니다. (TBS FM - FM 95.1㎒)
The Time is OO(AM/PM) (TBS eFM - FM 101.3㎒)
주파수[편집]
TBS FM |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관악산 송신소 | FM 95.1㎒ | 5㎾ | HLST-FM | 경기 과천시 중앙동 산12-1 (넥스콘테크) | |
TBS eFM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관악산 송신소 | FM 101.3㎒ | 1㎾ | HLSW-FM | 경기 과천시 중앙동 산12-1 (넥스콘테크) |
아나운서[편집]
기자[편집]
- 김종필 보도국장
- 이종억 편집부장
- 김종민 편집팀장
- 노경민 기자
- 안경원 기자
- 공혜림 기자
- 국윤진 기자
- 이혜경 취재부장
- 장행석 취재1팀장
- 김훈찬 기자
- 이민정 기자
- 김선환 취재2팀장
- 강경지 기자
- 강세영 기자
- 김호정 기자
- 임현철 취재3팀장
- 이은성 기자
- 이동규 기자
- 남인수 영어뉴스부장
- 안미연 기자
- 정혜련 기자
- 손정인 기자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황성운. 개국 100일 영어채널 'tbs eFM' 큰 호응. 노컷뉴스. 2009년 3월 5일.
- ↑ 김종민. 국내 첫 영어전문 라디오방송 오늘 개국. 뉴시스. 2008년 12월 1일.
- ↑ 서울특별시청 (2016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6년 9월 17일에 확인함.
- ↑ “TBS 교통방송 tbs, 미디어재단 TBS로 17일 새출발…새 CI와 슬로건 공개”.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2020년 2월 16일.
- ↑ TBS 교통방송 오전 5시 시보 (2004.3.13) 2004. 3. 13
- ↑ (함께 할 수록) 부분은 시간대에 따라 생략하기도 한다.
- ↑ (함께 할 수록) 부분은 시간대에 따라 생략하기도 한다.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