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RS-CoV-2 베타 변이
SARS-CoV-2 베타 변이(Beta variant), B.1.351 계통, 501Y.V2 또는 20H/501Y.V2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넬슨만델라베이 지역에서 최초로 발생한 SARS-CoV-2의 변종이다. 이 변종은 2020년 10월 유전자 분석을 통해 최초로 확인되었다. 12월부터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기 시작했다.
유전자[편집]
스파이크 단백질에 초점을 둔 SARS-CoV-2 유전자 지도에 그려진 SARS-CoV-2 베타 변이의 아미노산 돌연변이.[1]
유전자 | 뉴클레오타이드 | 아미노산 |
---|---|---|
ORF1ab | C1059T | T265I |
G5230T | K1655N | |
C8660T | H2799Y | |
C8964T | S2900L | |
A10323G | K3353R | |
G13843T | D4527Y | |
C14408T1 | P4715L | |
C17999T | T5912I | |
스파이크 | C21614T | L18F |
A21801C | D80A | |
A22206G | D215G | |
G22299T | R246I | |
G22813T | K417N | |
G23012A | E484K | |
A23063T | N501Y | |
A23403G1 | D614G | |
G23664T | A701V | |
ORF3a | G25563T | Q57H |
C25904T | S171L | |
E | C26456T | P71L |
N | C28887T | T205I |
참고: 1Presented in parent lineage B.1. 출처: Tegally 등. (2020), supplementary Fig S8 |
통계[편집]
국가별 사례 (2021년 7월 21일 기준 업데이트) GISAID[2] | ||
---|---|---|
국가 | 확진자 수 | 수집일 |
![]() |
401 | 2021년 4월 22일 |
![]() |
1 | 2021년 4월 24일 |
![]() |
4 | 2021년 4월 10일 |
![]() |
73 | 2021년 6월 28일 |
![]() |
260 | 2021년 6월 8일 |
![]() |
1 | 2021년 4월 9일 |
![]() |
56 | 2021년 6월 16일 |
![]() |
1,075 | 2021년 6월 14일 |
![]() |
1 | 2021년 2월 11일 |
![]() |
342 | 2021년 6월 27일 |
![]() |
6 | 2021년 4월 5일 |
![]() |
1 | 2021년 1월 20일 |
![]() |
2 | 2021년 6월 9일 |
![]() |
1 | 2021년 5월 31일 |
![]() |
9 | 2021년 3월 1일 |
![]() |
860 | 2021년 6월 21일 |
![]() |
4 | 2021년 5월 22일 |
![]() |
89 | 2021년 6월 4일 |
![]() |
1 | 2021년 4월 13일 |
![]() |
12 | 2021년 5월 4일 |
![]() |
1 | 2021년 3월 6일 |
![]() |
41 | |
![]() |
71 | 2021년 6월 10일 |
![]() |
30 | 2021년 4월 20일 |
![]() |
121 | 2021년 6월 29일 |
![]() |
22 | 2021년 4월 9일 |
![]() |
43 | 2021년 4월 1일 |
![]() |
37 | 2021년 4월 23일 |
![]() |
26 | 2021년 3월 23일 |
![]() |
1,123 | 2021년 5월 21일 |
![]() |
2,149 | 2021년 6월 23일 |
![]() |
2 | 2021년 4월 7일 |
![]() |
4 | 2021년 2월 21일 |
![]() |
1 | 2021년 5월 23일 |
![]() |
2,231 | 2021년 6월 19일 |
![]() |
17 | 2021년 4월 8일 |
![]() |
19 | 2021년 4월 29일 |
![]() |
4 | 2021년 5월 25일 |
![]() |
3 | 2021년 4월 28일 |
![]() |
1 | 2021년 2월 1일 |
![]() |
208 | 2021년 6월 14일 |
![]() |
10 | 2021년 6월 2일 |
![]() |
2 | 2021년 4월 3일 |
![]() |
1 | 2021년 2월 26일 |
![]() |
69 | 2021년 4월 19일 |
![]() |
240 | 2021년 5월 28일 |
![]() |
69 | 2021년 6월 1일 |
![]() |
89 | 2021년 6월 13일 |
![]() |
2 | 2021년 4월 18일 |
![]() |
178 | 2021년 5월 31일 |
![]() |
1 | 2021년 6월 21일 |
![]() |
9 | 2021년 5월 13일 |
![]() |
14 | 2021년 1월 18일 |
![]() |
11 | 2021년 4월 9일 |
![]() |
744 | 2021년 5월 22일 |
![]() |
312 | 2021년 4월 16일 |
![]() |
161 | 2021년 6월 10일 |
![]() |
3 | 2021년 6월 1일 |
![]() |
2 | 2021년 4월 28일 |
![]() |
7 | 2021년 3월 12일 |
![]() |
32 | 2021년 1월 31일 |
![]() |
20 | 2021년 5월 16일 |
![]() |
328 | 2021년 4월 22일 |
![]() |
9 | |
![]() |
693 | 2021년 5월 27일 |
![]() |
31 | 2021년 6월 25일 |
![]() |
1 | 2021년 3월 10일 |
![]() |
362 | 2021년 6월 11일 |
![]() |
35 | 2021년 6월 5일 |
![]() |
2 | 2021년 1월 12일 |
![]() |
1,213 | 2021년 4월 8일 |
![]() |
45 | 2021년 6월 7일 |
![]() |
99 | 2021년 6월 2일 |
![]() |
650 | 2021년 5월 18일 |
![]() |
400 | 2021년 6월 19일 |
![]() |
7 | 2021년 5월 26일 |
![]() |
23 | 2021년 6월 12일 |
![]() |
39 | 2021년 6월 15일 |
![]() |
3 | 2021년 4월 15일 |
![]() |
100 | 2021년 6월 25일 |
![]() |
1 | 2021년 3월 24일 |
![]() |
31 | 2021년 5월 27일 |
![]() |
31 | 2021년 4월 6일 |
![]() |
1 | |
![]() |
6,154 | 2021년 6월 21일 |
![]() |
19 | 2021년 4월 17일 |
![]() |
3 | 2021년 4월 24일 |
![]() |
588 | 2021년 6월 18일 |
![]() |
4 | 2021년 3월 26일 |
![]() |
5 | 2021년 3월 31일 |
![]() |
2,322 | 2021년 6월 17일 |
![]() |
225 | 2021년 6월 22일 |
![]() |
3 | 2021년 4월 26일 |
![]() |
40 | 2021년 5월 25일 |
![]() |
2 | 2021년 2월 5일 |
![]() |
1 | 2021년 4월 24일 |
![]() |
912 | 2021년 5월 24일 |
![]() |
13 | 2021년 4월 2일 |
![]() |
6 | 2021년 4월 27일 |
![]() |
812 | 2021년 6월 24일 |
![]() |
2,454 | 2021년 6월 28일 |
![]() |
161 | 2021년 4월 28일 |
![]() |
331 | 2021년 2월 26일 |
전 세계 (103개국) | 총합: 28,380 | 2021년 7월 21일 기준 |
백신 회피[편집]
존슨앤존슨[편집]
1월 JNJ-78436735 백신의 임상 결과 발표에서 미국 임상에서는 72%였으나 남아공 임상에서는 57% 효능에 그쳤다.[3]
화이자-바이오엔테크[편집]
2021년 4월 1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진행한 소규모 임상에서 이 백신은 100%의 효과를 보였다.[4]
모더나[편집]
2021년 2월 모더나는 남아공 변이에 대한 항체가 일반 코로나19에 비해 6분의 1로 감소한다고 발표했다. 모더나는 남아공 변이에 대한 새로운 백신 개발에 착수했다.[5]
각주[편집]
- ↑ Spike Variants: Beta variant, aka B.1.351, 501Y.V2, 20C/501Y.V2, and South African COVID-19 variant 24 June 2021, covdb.stanford.edu, accessed 1 July 2021
- ↑ “GISAID - hCov19 Variants”. 《www.gisaid.org》. 2021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Johnson & Johnson Announces Single-Shot Janssen COVID-19 Vaccine Candidate Met Primary Endpoints in Interim Analysis of its Phase 3 ENSEMBLE Trial”. jnj.com. 2021년 1월 29일. 2021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Pfizer and BioNTech Confirm High Efficacy and No Serious Safety Concerns Through Up to Six Months Following Second Dose in Updated Topline Analysis of Landmark COVID-19 Vaccine Study”. Pfizer. 2021년 4월 1일. 2021년 4월 2일에 확인함.
- ↑ Kuchler, Hannah (2021년 1월 25일). “Moderna develops new vaccine to tackle mutant Covid strain”. 《Financial Times》. 2021년 1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