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반 헤일런의 노래)
〈Jump〉 | ||||||||
---|---|---|---|---|---|---|---|---|
반 헤일런의 싱글 | ||||||||
《1984》의 싱글 | ||||||||
B면 | 〈House of Pain〉 | |||||||
출시일 | 1983년 12월 21일 | |||||||
포맷 | 7인치, CD | |||||||
녹음 | 1983년 | |||||||
장르 | 글램 메탈, 신스 록, 팝 록, 하드 록 | |||||||
길이 | 4:02 | |||||||
레이블 | 워너 브라더스 | |||||||
작사·작곡 | 에디 반 헤일런, 알렉스 반 헤일런, 데이비드 리 로스 | |||||||
프로듀서 | 테드 템플먼 | |||||||
반 헤일런 싱글 연표 | ||||||||
| ||||||||
|
〈Jump〉는 미국의 록 밴드 반 헤일런의 노래이다. 1983년 12월 21일, 그들의 음반 《1984》의 리드 싱글로 발매되었다. 이 곡은 반 헤일런의 가장 성공적인 싱글로, 미국 빌보드 핫 100에서 1위에 올랐다.[1] 이 곡은 비록 기타 솔로가 포함되어 있지만 키보드 라인에 의해 구동된다는 점에서 이전의 반 헤일런 노래와는 다르다. 데이비드 리 로스는 이 곡을 자신이 학생이었던 무술가 베니 "더 제트" 우르퀴데즈에게 바쳤다.[2] 2021년 《롤링 스톤》은 〈Jump〉를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500곡 중 177위로 선정했다.[3]
작사, 작곡 및 구성
[편집]신시사이저 라인은 1981년경 에디 반 헤일런에 의해 작곡되었지만 밴드의 다른 멤버들에 의해 거부되었다. 1983년, 프로듀서 테드 템플먼은 로스에게 사용되지 않은 노래 아이디어를 들어달라고 요청했다. 1951년, 머큐리 뒤에서 밴드 로드리 호슬러가 운전하는 동안 로스는 반복적으로 이 곡을 들었다. 가사를 생각해내기 위해, 그는 전날 밤 자살 점퍼에 대한 TV 뉴스 보도를 본 것을 기억했다. 로스는 그러한 행사의 구경꾼들 중 한 명이 불가피하게 "go ahead and jump(계속해서 뛰어)"라고 외칠 것이라고 생각했다. 로스는 이 제안을 호슬러에게 물리쳤지만, 자살 가능성에 대한 설명 대신 행동, 삶, 사랑에 대한 존재론적 초대장으로 쓰였다. 로스는 나중에 《뮤지션》 잡지에 호슬러가 "아마도 이 음반이 어떻게 나왔는지에 가장 큰 책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4] 이 곡은 C 장조의 키로, 기타 솔로는 B♭ 마이너로 되어 있다. 〈Jump〉는 분당 129박자의 보통 시간 템포를 가지고 있다.[5]
테드 템플먼은 〈Jump〉가 에디 반 헤일런의 새로 지은 홈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고 회상한다. "엔지니어 돈 랜디와 에디는 한밤중에 홀로 트랙을 내려놓았습니다. 음파적인 이유로 한 번에 재촬영합니다. 데이비드는 그날 오후 머큐리 컨버터블 뒷좌석에서 가사를 썼습니다. 그날 오후에 모든 보컬을 끝내고 그날 저녁에 믹스했어요."[6]
키보드 부분은 오버하임 OB-Xa에서 연주되었다.[7][8] 라이브 공연은 에디의 신시사이저 솔로 《1984》로 시작되었다. 로스와의 재결합 투어 동안, 두 곡은 밴드의 앙코르에 사용되었다.
홀 & 오츠의 데릴 홀에 따르면, "에디 반 헤일런은 그가 〈Kiss on My List〉에서 신시사이저 파트를 복사해서 〈Jump〉에 사용했다고 말했습니다. 저는 그것에 전혀 문제가 없어요."[9]
음악적으로 이 곡은 밴드의 원래 스타일에서 벗어나 대중적이고[10] 라디오 친화적인 사운드를 더 많이 수용했다. 〈Jump〉는 하드 록과 팝의 조합으로[11], 1980년대의 팝 록의 예로서 "신스 로커"로 묘사되어 왔고[12], 베이스 음이 반복되고 표준적인 록 기악이 있는 클래식 록 기반 위에 세워졌으며[13], "진정한 록 걸작"으로 묘사되어 왔다.[14] 이 노래는 또한 글램 메탈의 국가로 묘사되었다.[15][16][17][18][19]
뮤직 비디오
[편집]〈Jump〉의 뮤직 비디오는 피트 엔젤러스와 데이비드 리 로스가 감독을 맡았다. 이것은 간단한 퍼포먼스 클립이다. 이 곡은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 세 차례 후보로 올랐고, 이 비디오로 "베스트 스테이지 퍼포먼스"를 수상했다. 비디오 버전의 곡의 오디오 믹스에는 마지막 코러스 전에 로스가 "아 오 오!"라고 외치는 소리가 추가로 들어있다.
반응
[편집]〈Jump〉는 VH1의 1980년대 100대 명곡에서 15위에 올랐다. 이 곡은 로큰롤 명예의 전당과 박물관에 의해 "로큰롤을 형성한 500곡" 중 하나로 등재되었다.[20] Vulture.com의 척 클로스터먼은 이 곡을 "최고의 순서로 배열된 6개의 기본적인 키보드 코드의 순수한 기쁨의 표현과 전례 없는 힘"이라고 말하며, 이 곡을 16번째로 최고의 반 헤일런 곡으로 평가했다.[16] 2012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이 노래는 PRS 포 뮤직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투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 국가로 선정되었다.[21]
인증
[편집]국가 | 인증 | 판매량/출하량 |
---|---|---|
이탈리아 (FIMI)[22] | 플래티넘 | 50,000 |
일본 (RIAJ)[23] | 골드 | 100,000* |
영국 (BPI)[24] | 플래티넘 | 600,000 |
미국 (RIAA)[25] | 골드 | 1,000,000^ |
*판매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판매량+스트리밍을 기반으로 한 인증 |
각주
[편집]- ↑ Whitburn, Joel. The Billboard Book of Top 40 Hits, 6th ed, Billboard Publications, Inc. 1996. ISBN 0-8230-7632-6
- ↑ Christe, Ian (2009). 《Everybody Wants Some: The Van Halen Saga》. John Wiley & Sons. 97쪽. ISBN 978-0-470-53618-6.
- ↑ “Jump ranked #177 on Rolling Stone 500 Greatest Songs List”. 《Rolling Stone》. 2021년 9월 15일. 2021년 9월 25일에 확인함.
- ↑ Crouse, Richard (2012). 《Who Wrote The Book Of Love?》. Doubleday Canada. 144쪽. ISBN 9780385674423.
- ↑ 《Van Halen Guitar Anthology》. Van Nuys, California: Alfred. 2006. 148–53쪽. ISBN 9780897246729. OCLC 605214049.
- ↑ Van Halen: A visual history: 1978-1984, Neil Zlozower, 2008
- ↑ Beato, Rick (2019년 4월 28일). “What Makes This Song Great? Ep.61 VAN HALEN (#2)”. YouTube. 2021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24일에 확인함.
- ↑ “Hear David Lee Roth and Dutch DJ Armin Van Buuren's EDM Version of Van Halen's "Jump"”. 《Guitar World》. 2019년 4월 1일. 2019년 6월 24일에 확인함.
- ↑ "Classic Tracks: Hall & Oates "I Can't Go For That (No Can Do)" 보관됨 2006-08-30 - 웨이백 머신". mixonline.com, 2006.
- ↑ Prown, Pete; Newquist, Harvey P. (1997). 《Legends of Rock Guitar: The Essential Reference of Rock's Greatest Guitarists》. Hal Leonard. 165쪽. ISBN 9780793540426.
- ↑ Cramer, Alfred William (2009). 《Musicians and Composers of the 20th Century》. Salem Press. 1540쪽. ISBN 9781587655173.
In 1984 the song 'Jump' reached number one on the Billboard charts. The radio-friendly song combined hard rock with synthesizer-driven pop music.
- ↑ Jackson, Josh (2012년 2월 1일). “The 80 Best Albums of the 1980s”. 《Paste》. 2012년 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Campbell, Michael (2008). 《Popular Music in America: And The Beat Goes On》 3판. Cengage Learning. 305쪽. ISBN 9780495505303.
- ↑ Sumrall, Harry (1994). 《Pioneers of Rock and Roll: 100 artists who changed the face of rock》. Billboard Books. 274쪽. ISBN 9780823076284.
- ↑ Popoff, Martin (2014). 《The Big Book of Hair Metal》. Voyageur Press. 58쪽. ISBN 9781627883757.
- ↑ 가 나 Klosterman, Chuck (2020년 10월 6일). “All 131 Van Halen Songs, Ranked From Worst to Best”. 《Vulture》. 2021년 4월 11일에 확인함.
- ↑ Zaleski, Annie (2020년 10월 7일). “Eddie Van Halen: 10 of his best songs”. 《The Guardian》. 2021년 4월 11일에 확인함.
- ↑ Begrand, Adrien (2017년 4월 5일). “36 Essential '80s Pop Metal Tracks”. 《Stereogum》. 2021년 4월 11일에 확인함.
- ↑ Comaratta, Len (2012년 1월 7일). “Dusting 'Em Off: Van Halen - 1984”. 《Consequence》. 2021년 4월 11일에 확인함.
- ↑ "500 Songs that Shaped Rock and Roll 보관됨 5월 2, 2007 - 웨이백 머신." The Rock and Roll Hall of Fame and Museum, 2007.
- ↑ Cooper, Leonie (2012년 7월 26일). “Van Halen's 'Jump' voted most popular sporting song”. 《NME》. 2020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Italian single certifications – Van Halen – Jump” (이탈리아어). 이탈리아 음악 산업 협회. "Anno" 목록 상자 메뉴에서 "2019"를 선택하세요. "Filtra" 필드에서 "Jump"(을)를 선택하세요. "Sezione" 아래 "Singoli"를 선택하세요.
- ↑ “Japanese single certifications – Van Halen – Jump” (일본어).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Japan. 목록 상자 메뉴에서 "2014年1月"을 선택하세요
- ↑ “British single certifications – Van Halen – Jump” (영어). 영국 축음기 협회.
- ↑ “American single certifications – Van Halen – Jump”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