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h
《《Gish》》 | ||||
---|---|---|---|---|
![]() | ||||
스매싱 펌킨스의 정규 음반 | ||||
발매일 | 1991년 5월 28일 | |||
녹음일 | 1990년 12월~1991년 3월 | |||
장르 | 얼터너티브 록, 하드 록, 사이키델릭 록, 드림 팝, 스토너 록, 아트 록, 칼리지 록 | |||
길이 | 45:45 | |||
언어 | 영어 | |||
레이블 | 캐롤라인, 헛 | |||
프로듀서 | 부치 비그, 빌리 코건 | |||
스매싱 펌킨스 연표 | ||||
|
《Gish》는 미국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스매싱 펌킨스의 데뷔 스튜디오 음반으로, 1991년 5월 28일, 캐롤라인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 이 음반은 부치 비그와 프론트맨 빌리 코건이 프로듀싱했으며, 후자는 《Gish》를 "매우 영적인 음반"이자 "영적인 승천에 관한 음반"이라고 묘사했다.[11]
발매 당시 빌보드 200 차트에서 195위에 그쳤지만, 《Gish》는 비평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으며 특히 밴드 특유의 사이키델릭 사운드에 대한 찬사를 받았다. 이 음반은 결국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플래티넘 인증 (미국 내 최소 100만 장 출하)을 받아 당시 가장 많이 팔린 독립 음반 중 하나가 되었다.[12] 이후 여러 출판사에서 1990년대 최고의 록 음반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피치포크》는 "《Gish》가 없었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Nevermind》는 아마 없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13][12]
음악 및 구성
[편집]음악적으로, 《Gish》는 얼터너티브 록[14], 하드 록[15], 사이키델릭 록[16], 그런지[17], 드림 팝[18], 스토너 록[19], 칼리지 록[20], 사이키델릭[20], 아트 록[21], 헤비 메탈[20]을 특징으로 한다고 묘사되어 왔다. 작가로서 빌리 코건은 블랙 사바스와 레드 제플린 같은 헤비 리프를 연주하는 밴드의 클래식 록과 더 큐어, 수지 앤 더 밴시스, 마이 블러디 발렌타인 같은 얼터너티브 밴드의 감각과 우아함 사이의 균형을 찾고자 했다.[22] "우리에게는 멍청한 리프 록처럼 느껴졌던 것과 영국에서 나오는 것들 사이의 균형점이 되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런 다음 비틀즈와 함께 그 곡들을 중간 어딘가에 모았습니다." 〈Rhinoceros〉와 같은 곡은 그 균형과 "우리는 아름답고, 예쁘고, 사이키델릭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스위치를 뒤집어 무겁고 리드를 찢을 수 있는" 목표를 반영했다.[22] 곡을 작곡할 때, 코건은 사이키델릭한 느낌을 받기 위해 LSD를 사용하는 실험을 하고 있었다. "LSD는 일종의 이상한 줄타기 와이어 액션에서 이런 것들을 시도해볼 자신감을 주었습니다."[22]
제목
[편집]이 음반은 무성 영화의 아이콘인 릴리언 기시(영어: Lillian Gish)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인터뷰에서 코건은 "할머니가 릴리언 기시가 기차를 타고 마을을 지나갈 때 가장 큰 일 중 하나가 어디에도 없는 곳에 살았기 때문에 큰 일이었다고 말씀하셨어요..."라고 말했다.[11] 나중에 코건은 이 음반의 원래 이름이 "Fish"였지만 잼 밴드 피시(영어: Phish)와의 비교를 피하기 위해 "Gish"로 변경되었다.[23]
곡 목록
[편집]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빌리 코건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I Am One | 코건, 제임스 이하 | 4:07 |
2. | Siva | 4:20 | |
3. | Rhinoceros | 6:32 | |
4. | Bury Me | 4:48 | |
5. | Crush | 3:34 | |
6. | Suffer | 5:10 | |
7. | Snail | 5:10 | |
8. | Tristessa | 3:33 | |
9. | Window Paine | 5:51 | |
10. | Daydream | 3:08 |
인증
[편집]국가 | 인증 | 판매량/출하량 |
---|---|---|
영국 (BPI)[24] | 실버 | 60,000^ |
미국 (RIAA)[25] | 플래티넘 | 1,000,000^ |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
각주
[편집]- ↑ Erlewine, Stephen Thomas. “Gish – The Smashing Pumpkins”. AllMusic. 2011년 2월 10일에 확인함.
- ↑ Hyden, Steven (2011년 12월 6일). “The Smashing Pumpkins: Gish / Siamese Dream”. 《The A.V. Club》. 2024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Kot, Greg (1991년 5월 30일). “Smashing Pumpkins: Gish (Caroline)”. 《Chicago Tribune》. 2024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Adams, Jason (2011년 11월 25일). “'Gish' and 'Siamese Dream' Deluxe Reissues review – The Smashing Pumpkins”. 《Entertainment Weekly》. 2013년 1월 11일에 확인함.
- ↑ Gold, Jonathan (1991년 7월 14일). “Smashing Pumpkins 'Gish' Caroline”. 《Los Angeles Times》. 2012년 9월 3일에 확인함.
- ↑ Fadele, Dele (1991년 6월 29일). “Smashing Pumpkins: Gish”. 《NME》. 26쪽.
- ↑ Raggett, Ned (2011년 11월 28일). “The Smashing Pumpkins: Gish [Deluxe Edition] / Siamese Dream [Deluxe Edition]”. 《Pitchfork》. 2012년 9월 3일에 확인함.
- ↑ Aston, Martin (November 1991). “Smashing Pumpkins: Gish”. 《Q》. 62호.
- ↑ Sanneh, Kelefa (2004). 〈Smashing Pumpkins〉. Brackett, Nathan; Hoard, Christian.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4판. Simon & Schuster. 747–748쪽. ISBN 0-7432-0169-8.
- ↑ Hunter, James (1995). 〈Smashing Pumpkins〉. Weisbard, Eric; Marks, Craig.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 Vintage Books. 362쪽. ISBN 0-679-75574-8.
- ↑ 가 나 Caro, Mark (1990년 12월 28일). “Smashing Pumpkins finds a home at Caroline Records”. 《Chicago Tribune》. 2024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Berman, Stuart; Larson, Jeremy D. (2022년 10월 6일). “The 25 Best Grunge Albums of the '90s”. 《Pitchfork》. 2023년 12월 7일에 확인함.
- ↑ Browne, David; Exposito, Suzy; Grant, Sarah; Greene, Andy; Grow, Kory; Hudak, Joseph; Kreps, Daniel; Martoccio, Angie; Newman, Jason; Shteamer, Hank; Spanos, Brittany; Vozick-Levinson, Simon (2019년 4월 1일). “50 Greatest Grunge Albums”. 《Rolling Stone》. 2019년 4월 3일에 확인함.
- ↑ Long, April (2007년 7월 4일). “Smashing Pumpkins – Zeitgeist”. 《Uncut》. 2008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24일에 확인함.
- ↑ Kot, Greg (2011년 11월 27일). “Smashing Pumpkins revisit breakthrough albums”. 《Chicago Tribune》. 2016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3일에 확인함.
- ↑ Leahey, Andrew (2012년 7월 10일). “Smashing Pumpkins: Oceania”. 《American Songwriter》. 201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Burnsilver, Glenn (2015년 7월 9일). “Why Smashing Pumpkins Should Play Gish In Concert”. 《Phoenix New Times》. 2015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Erlewine, Stephen Thomas. “The Smashing Pumpkins Biography, Songs, & Albums”. AllMusic. 2021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Every Smashing Pumpkins Song, Ranked”. 《Spin》. 2015년 10월 30일. 7쪽. 2023년 2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Smashing Pumpkins”. 《Loudwire》 (영어). 2023년 8월 1일에 확인함.
- ↑ “Robert Christgau: CG: Smashing Pumpkins”.
- ↑ 가 나 다 Greene, Andy (2021년 5월 28일). “Billy Corgan Reflects on the 30th Anniversary of 'Gish' and Looks Ahead”. 《Rolling Stone》. 2021년 5월 29일에 확인함.
- ↑ Corgan, Billy. Caller Q&A. Rockline Radio Show. Broadcast 1998/07/13
- ↑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The Smashing Pumpkins – Gish” (영어). 영국 축음기 협회.
- ↑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Smashing Pumpkins – Gish”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