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Ca2+ ATP가수분해효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Ca2+ ATP가수분해효소
Ca2+ ATP가수분해효소[1]
식별자
EC 번호7.2.2.10
데이터베이스
IntEnzIntEnz view
BRENDABRENDA entry
ExPASyNiceZyme view
KEGGKEGG entry
MetaCycmetabolic pathway
PRIAMprofile
PDB 구조RCSB PDB PDBj PDBe PDBsum

Ca2+ ATP가수분해효소(영어: Ca2+ ATPase) 또는 칼슘 ATP가수분해효소(영어: Calcium ATPase)는 근육이 수축한 후에 칼슘을 전달하는 P형 ATP가수분해효소의 한 형태이다.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종류의 Ca2+ ATP가수분해효소가 존재한다.[2]

  •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영어: plasma membrane Ca2+ ATPase, PMCA)
  • 근소포체 Ca2+ ATP가수분해효소(영어: sarcoplasmic reticulum Ca2+ ATPase, SERCA)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 (PMCA)

[편집]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PMCA)는 세포에서 칼슘(Ca2+)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세포원형질막수송 단백질이다.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세포 내 Ca2+의 양을 조절하는 데 중요하다.[3] 실제로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모든 진핵세포에서 Ca2+을 제거하는 데 관여한다.[4] 세포 내로 이온의 유입을 유도하는 Ca2+의 막횡당 전기화학적 기울기가 매우 크지만 적절한 세포 신호전달을 위해 세포가 낮은 농도의 Ca2+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세포가 Ca2+을 제거하기 위해 이온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5]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와 나트륨-칼슘 교환체(NCX)는 함께 세포 내 Ca2+ 농도의 주요 조절자이다.[4] Ca2+을 세포 외 공간으로 수송하기 때문에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또한 세포 외 공간에서 칼슘 농도의 중요한 조절자이다.[6]

파일:Calcium atpase.png
Ca2+ ATP가수분해효소의 렌더링된 이미지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아스파르틸 인산 중간생성물을 형성하는 P형 1차 이온 수송 ATP가수분해효소 계열에 속한다.[4]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를 비롯한 다양한 조직에서 발견된다.[7]

근소포체 Ca2+ ATP가수분해효소 (SERCA)

[편집]

근육세포에서 Ca2+은 일반적으로 근소포체(SR)이라고 하는 특수한 형태의 소포체(ER)로 격리된다. 근소포체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근육 이완 동안 ATP를 가수분해하면서 세포세포질로부터 근소포체 내강으로 Ca2+을 운반하는 Ca2+ ATP가수분해효소이다. 골격근에서 근소포체 막의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원형질막의 유사한 Ca2+ ATP가수분해효소와 조화를 이루어 작동한다. 이것은 휴식 상태의 근육에서 유리 칼슘의 세포질 농도가 0.1µM 미만이 되도록 한다. 근소포체 Ca2+ ATP가수분해효소와 소포체 Ca2+ ATP가수분해효소는 구조와 메커니즘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둘 다 종양촉진제인 탑시가르긴에 의해 저해되어 원형질막 Ca2+ ATP가수분해효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틀:PDB Molecule of the Month
  2. nlm.nih.gov
  3. Jensen TP, Buckby LE, Empson RM (September 2004). “Expression of plasma membrane Ca2+ ATPase family members and associated synaptic proteins in acute and cultured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s from rat”. 《Brain Research. Developmental Brain Research》 152 (2): 129–36. doi:10.1016/j.devbrainres.2004.06.004. PMID 15351500. 
  4. Strehler EE, Zacharias DA (January 2001). “Role of alternative splicing in generating isoform diversity among plasma membrane calcium pumps”. 《Physiological Reviews》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81 (1): 21–50. doi:10.1152/physrev.2001.81.1.21. PMID 11152753.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Carafoli E (January 1991). “Calcium pump of the plasma membrane”. 《Physiological Reviews》 71 (1): 129–53. doi:10.1152/physrev.1991.71.1.129. PMID 1986387.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6. Talarico EF, Kennedy BG, Marfurt CF, Loeffler KU, Mangini NJ (March 2005). “Expression and immunolocalization of plasma membrane calcium ATPase isoforms in human corneal epithelium”. 《Molecular Vision》 11: 169–78. PMID 15765049. 
  7. Jensen TP, Filoteo AG, Knopfel T, Empson RM (February 2007). “Presynaptic plasma membrane Ca2+ ATPase isoform 2a regulates excitatory synaptic transmission in rat hippocampal CA3”. 《The Journal of Physiology》 579 (Pt 1): 85–99. doi:10.1113/jphysiol.2006.123901. PMC 2075377. PMID 17170045. 17170045. 200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