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 탱고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탱고 지휘소 | |
---|---|
Command Post TANGO | |
캠프 탱고의 일부 | |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 |
종류 | 고정형 지휘통제소 폴아웃 벙커 |
건설 | 1970년대 |
건설자 | 주한 미군 |
건설 재질 | 콘크리트 |
사용 | 1970년대 ~ 현재 |
현재 상태 | 사용 중 |
소유자 | 주한 미군 |
공공에 개방 | 아니요 |
통제 | 주한 미군 대한민국 국군 |
CP 탱고(Command Post TANGO), 탱고 지휘소는 1970년대에 건설된 경기도 성남시의 캠프 탱고에 있는 주한 미군과 대한민국 국군의 육해공 전구 작전(영어: Theater Air Naval Ground Operations; TANGO) 지휘통제소이자 폴아웃 쉘터이다. 폴아웃 벙커인 만큼 핵공격에도 견디면서 외부의 지원없이 약 2개월간 생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탱고에는 한국군 고위관계자도 함부로 들어가지 못하는 민감히 구분된 정보 시설 "SCIF"가 있다. SCIF에서는 한반도 상공을 감시하는 첩보위성과 주한미군 U-2 정찰기의 대북감시정보는 물론 미국 본토의 중앙정보국(CIA), 국방정보국(DIA)이 파악한 최신 첩보를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다.[1]
역사[편집]
2005년 3월 19일 오후 5시 35분 전용기 편으로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한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은 UH-60 블랙 호크로 CP 탱고에 오후 6시 10분에 도착했다. 역대 미국 대통령, 국무장관, 국방장관 중에서 CP 탱고를 찾은 것은 라이스 장관이 처음이며, 한미연합사령부도 탱고를 언론에 처음으로 공개했다.[2]
2010년 3월 21일 코리아타임스는 단독 보도를 통해 미국이 탱고를 대한민국에 매각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성사되면 오산 공군기지에 있는 새로운 전시용 지휘소로 시설을 옮기려고 한다.[3]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주한미군
- 대한민국
참고[편집]
인용[편집]
- ↑ 윤상호 (2005년 3월 21일). “라이스 방문계기 베일 벗은 연합사 지휘통제소 ‘탱고’”. 동아일보. 2013년 9월 13일에 확인함.
- ↑ 이장훈 (2005년 3월 21일). “라이스, 탱고기지를 찾아간 속뜻은?”. 업코리아. 2013년 9월 13일에 확인함.
- ↑ 정성기 (2010년 3월 21일). “(Exclusive) USFK Command Bunker on Sale to S. Korea” (영어). 코리아타임스. 2013년 9월 13일에 확인함.
- ↑ 김상식 (2009년 1월 7일). “[밀물 썰물] 청와대 지하벙커”. 부산일보. 2013년 9월 1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박성진 (2008년 11월 1일). “美코콤 ‘핵전쟁 대비’ 건설… 공사비만 1조원 과잉공사 논란”. 경향신문. 2015년 10월 13일에 확인함.
자료[편집]
- “CP TANGO / Command Post TANGO” (영어). globalsecurity.org. 2015년 2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