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는 영어에서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으로, 동음이의어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 복잡한 예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문장은 뉴욕 주립 대학교 버팔로의 부교수인 윌리엄 J. 래퍼포트가 1972년부터 쓰기 시작하였다[1]. 1992년에는 라파포트가 링귀스트 리스트에 언급하기도 했으며[2], 1994년에 스티븐 핑커가 자신의 저서인 《언어 본능》에 언급하기도 했다.[3]
"버팔로지역의 아메리카들소들이 두렵게 만드는 버팔로지역의 아메리카들소들은 버팔로지역의 아메리카들소들을 두렵게 만든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문장 구조
[편집]이 문장에서는 'buffalo'라는 단어가 서로 다른 세 가지 품사로 사용되었다.
- Buffalo: 수. 뉴욕주 버펄로 시를 가리키는 고유명사로, 이 문장에서는 'buffalo' 명사를 꾸미는 또 다른 명사 수식어로 사용된다.
- buffalo: 명. 아메리카들소, 혹은 '버팔로'라고 부른다. 이 문장에서는 명사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복수형으로 사용되었다(복수형의 경우 buffaloes나 buffalos로 표기하는 것도 가능하다).
- buffalo: 동. 이 문장에서는 동사로 사용되었으며, 의미는 괴롭히다(bully), 혼란시키다(confuse), 속이다(deceive), 위협하다(intimidate)등이 있다.
이와 같은 품사를 사용하면, 원래의 문장은 다음과 같이 해석이 가능하다.
- Buffaloa buffalon Buffaloa buffalon buffalov buffalov Buffaloa buffalon.
즉, 첫 번째의 Buffaloa buffalon는 전체 문장의 주어, 그 다음의 Buffaloa buffalon buffalov는 주어를 꾸미는 명사구, 그 다음의 buffalov는 동사, 그리고 마지막 두 Buffaloa buffalon는 명사구 목적어가 된다. 또한, 명사구 부분의 Buffaloa buffalon buffalov는 앞의 두 단어(Buffaloa buffalon)가 주어, 그 다음의 buffalov가 동사, 그리고 원래 전체 문장의 주어가 목적어가 되는 구조를 가진다.
- [Those] Buffalo buffalo / [whom] Buffalo buffalo buffalo / buffalo Buffalo buffalo.
- 버팔로지역의 아메리카들소들이 두렵게 만드는 버팔로지역의 아메리카들소들은 버팔로지역의 아메리카들소들을 두렵게 만든다.
- Those A whom B buffalo buffalo C.
- B가 두렵게 하는 A는, C를 두렵게 한다.(B가 괴롭히는 A는 C를 괴롭힌다.)
정리하면, 버팔로 지역에 아메리카들소의 무리가 셋(A, B, C) 있고, 그 무리들 간의 관계를 서술한 것이다.
해석의 모호성
[편집]원래 문장에서 대소문자를 무시하는 경우, 이 문장을 해석하는 방법은 유일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해석이 가능하다.
- Buffaloa buffalon buffalov Buffaloa buffalon Buffaloa buffalon buffalov.
해석의 난해성
[편집]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1년 2월) |
이 문구는 동음이의어를 사용했기 뿐만이 아니라, 구조적으로도 해석하기 어려운 원인을 몇 가지 더 가지고 있다.
- 'buffalo'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동사로 사용하지 않으며, 동사로도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 'buffalo'를 명사로 사용할 때 복수형으로 'buffaloes'나 'buffalos' 대신 'buffalo'를 사용하여, 다른 단어와 구별하는 것이 어렵다.
- 'buffalo'를 동사로 사용한 부분에서 주어가 복수형이 되도록 하여, 다른 단어와 같은 모양을 가지도록 하였다.
- 문장을 해석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가 누락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단수/복수에 대한 정보가 없으며, 또한 'that'이나 'whom' 같은 관계대명사도 생략되었다.
- 쉼표가 누락되어 있다.
- 문장을 읽으면서 앞부분을 다시 살펴보지 않으면 해석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 두 명사절이 서로 같은 종류에 속하는 대상을 가리키고 있다. 이들은 같을 수도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 대소문자를 무시할 경우 해석하는 방식은 유일하지 않다.
- 명사를 수식하는 절이 해석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다. (중앙내포형, 혹은 중앙 삽입형 문장이라고 부른다.)
- 'that'과 같은 보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문장의 확장
[편집]이 문장에서 'buffalo'가 8번 쓰인 것에는 어떠한 문법적인 이유도 없으며, 임의의 개수를 사용하여도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buffalo를 한 개만 사용할 경우는 "Buffalo!"가 가능하며, 이것은 "저기에 buffalo가 있다"라는 감탄 문장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단어로도 비슷한 문장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police'는 명사와 동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명사로 사용될 때 단수와 복수의 형태가 같다. 이를 이용하여 "Police police police police police."과 같은 문장을 만들 수 있다.[4] 비슷한 단어로 'fish', 'smelt', 'char', 'people', 'bream'과 같은 단어가 있다.
비슷한 예제로 "James while John had had had had had had had had had had had a better effect on the teacher."가 있으며, 이 문장은 had를 반복적으로 사용했다.
같이 보기
[편집]- James while John had had had had had had had had had had had a better effect on the teacher
- That that is is that that is not is not is that it it is
- 시씨식사사 - 서로 다른 성조의 shi(스)로만 읽히는 한시.
- Eats, Shoots & Leaves
각주
[편집]- ↑ Rapaport, William J. 22 September 2006. "A History of the Sentence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2010년 7월 2일 확인 (archived copy)
- ↑ "Message 1: Re: 3.154 Parsing Challenges Archived 2009년 10월 19일 - 웨이백 머신". 2010년 7월 2일 확인
- ↑ Pinker, Steven. The Language Instinct: How the Mind Creates Language. William Morrow and Company, Inc., New York, 1994. p. 210
- ↑ “A History of the Sentence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buffalo."”. 2010년 7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영어 윅셔너리의 buffalo 항목
- 2005년 1월 20일, Language Log,, "Buffaloing buffalo"
- Easdown, David. Teaching mathematics: the gulf between semantics (meaning) and syntax (form)
- The Emory Wheel, Andrew Swerlick What a Herd of Confused Bison from Upstate New York Can Teach Us About Our Difficulties With the English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