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R-80
보이기
![]() | |
종류 | 병력수송장갑차(APC) |
---|---|
용도 및 목적 | 전투병력의 수송 |
개발국가 | 러시아 |
배치년도 | 1986년 - 현재 |
역사 | |
개발년도 | 1986년 |
생산기간 | 1984년 - 현재 |
생산 대수 | 5000대 이상 |
일반 제원 | |
승무원 | 3명 +7명 |
길이 | 7.7 m (25.3 ft) |
높이 | 2.41 m (7.9 ft) |
폭 | 2.9 m (9.5 ft) |
중량 | 13.6 tonnes (15.0 tons) |
공격력 | |
주무장 | 14.5 mm KPVT 기관포 또는 30mm 2A72 자동포 |
부무장 | PKT 7.62mm 기관총 |
기동력 | |
엔진 | 디젤 KamAZ-7403 |
마력 | 260 hp (190 kW) |
출력/중량 | 19 hp/tonne |
노상 속도 | 80-90 km/h (49.7–55.9 m/h) |
기동 가능 거리 | 600 km (372.8 mi) |
도하 | 10 km/h (6.2 m/h) |
방어력 |
BTR-80은 러시아 육군의 8륜구동 차륜형 장갑차이다.

역사
[편집]1986년 소련 육군에 실전배치되어, 현재도 사용중이다. 무게 15톤에, 7명의 보병이 탑승한다. 1960년대 BTR-60, 1970년대 BTR-70 8륜구동 차륜형 장갑차가 1980년대 BTR-80 8륜구동 차륜형 장갑차로 교체되었다. 1990년대 BTR-90이 개발되어, 소련의 붕괴 등으로 실전배치가 지연되다가, 2004년부터 러시아 육군에 BTR-90이 배치되었다.
사용국가
[편집]
아프가니스탄
알제리
앙골라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방글라데시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콜롬비아
지부티
에스토니아
조지아
헝가리
인도
인도네시아
이라크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케냐
북마케도니아
몰도바
몽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2대 BTR-80A
대한민국 - 적성화기 연구용으로 BTR-80A를 도입[1]
파키스탄
루마니아
러시아
스리랑카
수단
시리아
타지키스탄
튀르키예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베네수엘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같이 보기
[편집]- 스트라이커 장갑차 - 미국의 8륜구동 차륜형 장갑차
- K806/808 장갑차 - 대한민국의 6륜 및 8륜 구동 차륜형 장갑차
- M-2010 준마 - 북한의 BTR-80 카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