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018년
2022년 6월 1일
2026년 →

선출의석: 광역단체장 17명, 광역의원 872명
기초단체장 226명, 기초의원 2,988명
교육감 17명, 교육의원 5명
투표율 50.9% (감소 9.3%p)
  제1당 제2당
 
지도자 이준석
대표
윤호중, 박지현
비상대책위원장
정당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이전 선거 결과 광역단체장 2석
기초단체장 53석
광역의원 137석
기초의원 1009석
[1]
광역단체장 14석
기초단체장 151석
광역의원 652석
기초의원 1639석
선거 후 의석수 광역단체장 12석
기초단체장 145석
광역의원 540석
기초의원 1435석
광역단체장 5석
기초단체장 63석
광역의원 322석
기초의원 1384석
의석 증감 광역단체장 증가10석
기초단체장 증가92석
광역의원 증가403석
기초의원 증가426석
광역단체장 감소9석
기초단체장 감소88석
광역의원 감소330석
기초의원 감소255석

  제3당 제4당
 
지도자 김재연
대표
여영국
대표
정당 진보당 정의당
이전 선거 결과 광역단체장 0석
기초단체장 0석
광역의원 0석
기초의원 11석
광역단체장 0석
기초단체장 0석
광역의원 11석
기초의원 26석
선거 후 의석수 광역단체장 0석
기초단체장 1석
광역의원 3석
기초의원 17석
광역단체장 0석
기초단체장 0석
광역의원 2석
기초의원 7석
의석 증감 광역단체장 보합0석
기초단체장 증가1석
광역의원 증가3석
기초의원 증가6석
광역단체장 보합0석
기초단체장 보합0석
광역의원 감소9석
기초의원 감소19석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6월 1일 수요일에 대한민국 전역에서 실시된 선거로,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 교육감을 선출하였다. 7개 국회의원 선거구에서는 재보궐선거도 함께 실시하였다. 선거 사전 투표는 각각 5월 27일과 5월 28일 실시되었다.

2022년 3월 치러진 제20대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고, 5월 10일 대통령에 취임함에 따라 여야가 바뀌었다. 그러나 여야가 바뀐 것과 상관없이 공직선거법[A]에 따라 양대 정당인 더불어민주당(1번)과 국민의힘(2번) 및 정의당(3번)은 제20대 대선 때와 같은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호를 부여받았다.

사전투표율은 20.62%를 기록,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 대비 0.48%p 오르며, 지방선거 사전투표율로는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B] 전국 최종 투표율은 50.9%로 집계되었다.

선거 개요[편집]

이번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2022년 5월 10일에 출범한 윤석열 정부의 첫번째 관문이자 시험대로서, 민선 7기의 시도지사 및 시군구청장과 광역 및 기초단체 의회의 의원들의 후임자 및 연임자를 뽑는 선거이다. 본 선거의 당선자는 민선 8기의 광역단체장 및 기초단체장, 광역 및 기초단체 의회의 의원이 된다. 또한 국회의원 7명을 뽑는 6월 1일 재보궐선거와 동시에 치른다.[C]

선거권과 피선거권[편집]

선거일 기준 만 18세 이상, 곧 2004년 6월 2일 이전 출생 대한민국 국민은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있다.

선거구 획정[편집]

헌법재판소에서 지방의회의 인구 편차를 3:1 (선거구 평균 상하 50%)로 하라고 판결하였다. 이를 따를 경우 2석을 받은 많은 시군이 1석으로 줄게 되며, 일부 시군은 1석을 배정해도 하한선에 미달한다. 다만 섬 지역인 경북 울릉군인천 옹진군은 기존 인구편차 4:1 (선거구 평균 상하 60%)에서도 하한선에 미달한다.

1석의 부여 여부에 대해서는 자치권을 위해 1석을 보장하자는 주장과 인구 범위를 지켜야 한다는 주장이 있고, 농어촌에 가급적 2석을 보장할지에 대해서도 지역대표를 위해 필요하다는 주장과 인구의 평등이 우선이라는 주장이 있다.

국회는 이를 무시하고 오히려 기존에 1석이었던 지역이 아니면 원칙적으로 인구 5만명 이상 기초자치단체별 광역의원을 최소 2석으로 유지하는 공직선거법을 통과시켰다. 대구 중구의 경우 농어촌이 아닌 도심 또한 하한선을 무시하고 2석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전국 18개 광역의회 선거구가 선거구 평균인구 상하 50%에 벗어났다.[2][3] 국회에서 결정하는 선거구중 17개 선거구, 제주도의회에서 결정하는 단층제인 제주에서 1개 선거구가 해당된다.

2022년 4월 14일, 여야 합의를 통해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선거구가 획정되고, 4월 15일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었다. 이를 통해 전국 11개 지역에 기초의회 중대선거구가 도입이 되었으며 세종과 제주를 제외한 지역구 시·도의원이 기존보다 39명, 기초의원 총인원이 기존보다 51명 더 증원되었다.[4] 또한 세종과 제주도 다른 법률로 시도의원이 늘어났다. 기초의회 중대선거구가 도입되는 지역은 국회의원 지역구를 기준으로 서울 서초구 갑, 동대문구 을, 성북구 갑, 강서구 을, 경기 용인시 정, 남양주시 병, 구리시, 인천 동구·미추홀구 갑, 대구 수성구 을, 광주 광산구 을, 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이며, 이 지역에서는 기초의회 지역구당 의원정수가 보통의 2~4인이 아닌 3~5인이다.

2022년 8월 30일 정치개혁공동행동 소속의 여러 유권자들은 국회에서 공직선거법에 담아 의결한 17개 선거구에 대한 헌법소원을 제기하였다.(2022헌마1247)

후보자[편집]

국민의힘[편집]

더불어민주당[편집]

정의당[편집]

참여 정당[편집]

기호 정당 비고
1 더불어민주당 5명 이상의 지역구 국회의원이 있거나 직전 선거(대통령, 비례대표 국회의원 또는 비례대표 광역의회 선거)에서 전국 유효투표 총수의 100분의 3 이상을 득표한 정당은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호를 먼저 가지며, 그 기호는 후보를 공천하지 않아도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쓸 수 없는 고정 기호이다.
2 국민의힘
3 정의당
변동기호 기본소득당 기본소득당과 시대전환은 국회의원을 1명씩 보유하고 있으므로 원외정당보다 우선하며 원외정당은 가나다 순서로 채워진다. 무소속은 정당 후순으로 배정되며, 복수의 무소속 후보는 추첨에 따라 배정된다.
시대전환
가나코리아
국민대통합당
기독당
깨어있는시민연대당
남북통일당
노동당
녹색당
대한당
독도한국당
미래당
민생당
신한반도평화체제당
우리공화당
자유통일당
진보당
충청의미래당
통일한국당
한류연합당
혁명21

선거 과정[편집]

투표율[편집]

시간대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율[D]
구분 일자 7시 8시 9시 10시 11시 12시 13시 14시 15시 16시 17시 18시 19시 20시
사전 투표 5월 27일 0.48% 0.93% 1.59% 2.56% 3.59% 4.49% 5.32% 6.26% 7.25% 8.22% 9.20% 10.18% 미실시
5월 28일 10.66% 11.16% 11.81% 12.67% 13.65% 14.61% 15.44% 16.37% 17.38% 18.39% 19.44% 20.52% 20.61% 20.62%
본 투표 6월 1일 1.7% 3.8% 6.0% 8.7% 12.0% 15.0% 38.3%[E] 40.7% 43.1% 45.4% 47.6% 50.0% 50.9% 미실시
지역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전 투표율
구분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사전 투표 20.62% 21.20% 18.59% 14.80% 20.08% 17.28% 19.74% 19.65% 22.39% 19.06% 25.20% 21.29% 20.25% 24.41% 31.04% 23.19% 21.59% 21.38%
역대 지방 선거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지역별 투표율 비교
구분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제8회 50.9% 53.2% 49.1% 43.2% 48.9% 37.7% 49.7% 52.3% 51.2% 50.6% 57.8% 50.6% 49.8% 48.7% 58.5% 52.7% 53.4% 53.1%
제7회 60.2% 59.9% 58.8% 57.3% 55.3% 59.2% 58.0% 64.8% 61.7% 57.8% 63.2% 59.3% 58.1% 65.3% 69.3% 64.7% 65.8% 65.9%
제6회 56.8% 58.6% 55.6% 52.3% 53.7% 57.1% 54.0% 56.1% 62.7% 53.3% 62.2% 58.8% 55.7% 59.9% 65.6% 59.5% 59.8% 62.8%
제5회 54.5% 53.9% 49.5% 45.9% 50.9% 49.8% 52.9% 55.1% 미실시 51.8% 62.3% 58.8% 56.5% 59.3% 64.3% 59.4% 61.8% 65.1%
제4회 51.6% 49.8% 48.5% 48.5% 44.3% 46.3% 49.4% 52.8% 미실시 46.7% 58.7% 54.7% 55.8% 57.9% 64.3% 61.5% 57.8% 67.3%
제3회 48.9% 45.8% 41.8% 41.4% 39.3% 42.3% 42.3% 52.3% 미실시 44.6% 59.4% 55.8% 56.2% 55.0% 65.6% 60.4% 56.5% 68.9%
제2회 52.7% 47.1% 46.7% 46.8% 43.2% 45.1% 44.4% 57.6% 미실시 50.0% 64.3% 60.9% 59.5% 57.8% 68.2% 64.9% 61.1% 73.7%
제1회 68.4% 66.2% 66.2% 64.0% 62.0% 64.8% 66.9% 미실시 미실시 63.2% 74.8% 72.7% 73.8% 73.7% 76.1% 76.7% 73.1% 80.5%

출구조사[편집]

지역 예측 1위 예측 2위
서울특별시장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오세훈 송영길
58.7% 40.2%
부산광역시장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박형준 변성완
66.9% 32.2%
대구광역시장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홍준표 서재헌
79.4% 18.4%
인천광역시장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유정복 박남춘
51.2% 45.7%
광주광역시장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강기정 주기환
77.4% 15.4%
대전광역시장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이장우 허태정
50.4% 49.6%
울산광역시장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김두겸 송철호
60.8% 39.2%
세종특별자치시장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최민호 이춘희
50.6% 49.4%
경기도지사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김은혜 김동연
49.4% 48.8%
강원도지사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김진태 이광재
54.9% 45.1%
충청북도지사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김영환 노영민
56.5% 43.5%
충청남도지사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김태흠 양승조
54.1% 45.9%
전라북도지사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김관영 조배숙
82.4% 17.6%
전라남도지사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김영록 이정현
79.1% 16.3%
경상북도지사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이철우 임미애
79.0% 21.0%
경상남도지사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박완수 양문석
65.3% 30.2%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오영훈 허향진
56.5% 39.1%
지역 예측 1위 예측 2위
서울특별시교육감 진보 보수
조희연 조전혁
38.6% 26.3%
부산광역시교육감 보수 진보
하윤수 김석준
52.3% 47.7%
대구광역시교육감 보수 진보
강은희 엄창옥
63.1% 36.9%
인천광역시교육감 진보 보수
도성훈 최계운
41.2% 40.9%
광주광역시교육감 중도 진보
이정선 박혜자
35.9% 22.8%
대전광역시교육감 보수 진보
설동호 성광진
43.0% 29.9%
울산광역시교육감 진보 보수
노옥희 김주홍
52.8% 47.2%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진보 보수
최교진 강미애
33.5% 19.9%
경기도교육감 보수 진보
임태희 성기선
54.3% 45.7%
강원도교육감 보수 보수
신경호 유대균
28.9% 22.7%
충청북도교육감 보수 진보
윤건영 김병우
57.0% 43.0%
충청남도교육감 진보 보수
김지철 이병학
34.6% 27.9%
전라북도교육감 중도 진보
서거석 천호성
42.8% 40.3%
전라남도교육감 진보 진보
김대중 장석웅
43.5% 39.9%
경상북도교육감 보수 보수
임종식 마숙자
51.6% 27.3%
경상남도교육감 진보 보수
박종훈 김상권
50.8% 49.2%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보수 진보
김광수 이석문
57.0% 43.0%

선거 결과[편집]

광역자치단체장[편집]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승리한 정당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지역 후보자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서울특별시장 2 오세훈 국민의힘 2,608,277표 59.05% 4선
부산광역시장 2 박형준 국민의힘 938,601표 66.36% 재선
대구광역시장 2 홍준표 국민의힘 685,159표 78.75%
인천광역시장 2 유정복 국민의힘 634,250표 51.76% 재선
광주광역시장 1 강기정 더불어민주당 334,699표 74.91%
대전광역시장 2 이장우 국민의힘 310,035표 51.19%
울산광역시장 2 김두겸 국민의힘 290,563표 59.78%
세종특별자치시장 2 최민호 국민의힘 78,415표 52.83%
경기도지사 1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2,827,593표 49.06%
강원도지사 2 김진태 국민의힘 409,461표 54.07%
충청북도지사 2 김영환 국민의힘 395,517표 58.19%
충청남도지사 2 김태흠 국민의힘 468,658표 53.87%
전라북도지사 1 김관영 더불어민주당 591,510표 82.11%
전라남도지사 1 김영록 더불어민주당 672,433표 75.74% 재선
경상북도지사 2 이철우 국민의힘 904,675표 77.95% 재선
경상남도지사 2 박완수 국민의힘 963,473표 65.70%
제주특별자치도지사 1 오영훈 더불어민주당 163,116표 55.14%

기초자치단체장[편집]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승리한 정당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무소속
지역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진보당 무소속 합계
서울 8 17 - - 25
부산 - 16 - - 16
대구 - 8 - - 8
인천 2 7 - 1 10
광주 5 - - - 5
대전 1 4 - - 5
울산 - 4 1 - 5
경기 9 22 - - 31
강원 4 14 - - 18
충북 4 7 - - 11
충남 3 12 - - 15
전북 11 - - 3 14
전남 15 - - 7 22
경북 - 20 - 3 23
경남 1 14 - 3 18
전국 63 145 1 17 226

광역의원[편집]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총 당선자 수
더불어민주당 280 42 322
국민의힘 491 49 540
정의당 0 2 2
진보당 3 0 3
무소속 5 0 5
합계 779 93 872
지역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진보당 무소속 합계
서울 36 76 - - - 112
부산 2 45 - - - 47
대구 1 31 - - - 32
인천 14 26 - - - 40
광주 22 1 - - - 23
대전 4 18 - - - 22
울산 1 21 - - - 22
세종 13 7 - - - 20
경기 78 78 - - - 156
강원 6 43 - - - 49
충북 7 28 - - - 35
충남 12 36 - - - 48
전북 37 1 1 1 - 40
전남 56 1 1 2 1 61
경북 2 56 - - 3 61
경남 4 60 - - - 64
제주 27 12 - - 1 40
전국 322 540 2 3 5 872

광역의원 비례대표선거 정당별 득표수

지역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기본소득당 녹색당 진보당 기타[F] 합계
서울 1,809,636 2,384,401 177,399 9,027 14,706 13,258 7,242 4,415,669
부산 470,361 887,707 36,975 4,217 8,246 1,511 1,409,017
대구 166,928 666,510 25,147 3,398 2,768 3,056 867,807
인천 533,371 622,054 52,315 4,058 5,477 1,217,275
광주 304,798 62,669 42,020 2,667 31,924 444,078
대전 255,321 318,824 22,585 1,875 2,205 4,189 604,999
울산 166,997 279,753 19,628 2,401 14,367 483,146
세종 67,727 71,729 7,373 1,053 147,882
경기 2,605,942 2,875,636 206,703 13,487 13,158 22,029 5,736,955
강원 287,704 425,403 26,123 3,694 5,258 748,182
충북 264,590 377,109 25,397 3,594 4,324 675,014
충남 349,856 486,150 29,287 2,961 2,350 4,958 875,562
전북 518,461 118,548 61,511 8,532 11,711 2,451 721,214
전남 652,738 104,822 65,634 13,755 48,585 885,534
경북 225,204 871,581 37,475 10,933 10,164 1,155,357
경남 461,473 913,845 62,803 7,517 7,374 12,309 1,465,321
제주 133,677 130,701 18,053 1,160 8,381 3,444 300,105
전국 9,274,784
(41.87%)
11,597,439
(52.36%)
917,428
(4.14%)
94,329
(0.43%)
50,942
(0.23%)
203,299
(0.92%)
11,204
(0.05%)
22,149,425

기초의원[편집]

정당 지역구 비례대표 총 당선자 수
더불어민주당 1218 166 1384
국민의힘 1216 219 1435
정의당 6 1 7
진보당 17 0 17
무소속 144 0 144
합계 2601 386 2987
지역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진보당 무소속 합계
서울 212 213 - 1 1 427
부산 77 104 - - 1 182
대구 28 92 - - 1 121
인천 62 59 1 - 1 123
광주 57 - 1 6 5 69
대전 31 32 - - - 63
울산 18 30 - 2 - 50
경기 232 229 - 1 1 463
강원 66 101 1 - 6 174
충북 55 79 - 1 1 136
충남 80 95 - - 2 177
전북 168 3 1 1 24 198
전남 193 1 3 5 45 247
경북 25 225 - - 38 288
경남 80 172 - - 18 270
전국 1,384 1,435 7 17 144 2,988

교육감[편집]

지역 후보 성향 득표수 득표율 비고
서울특별시교육감 조희연 진보 1,614,564표 38.10% 3선
부산광역시교육감 하윤수 보수 706,152표 50.82%
대구광역시교육감 강은희 보수 530,235표 61.61% 재선
인천광역시교육감 도성훈 진보 494,366표 41.46% 재선
광주광역시교육감 이정선 중도 154,068표 34.91%
대전광역시교육감 설동호 보수 247,077표 41.50% 3선
울산광역시교육감 노옥희 진보 266,647표 55.03% 재선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최교진 진보 44,905표 30.83% 3선
경기도교육감 임태희 보수 3,081,100표 54.79%
강원도교육감 신경호 보수 210,523표 29.51%
충청북도교육감 윤건영 보수 375,295표 55.95%
충청남도교육감 김지철 진보 287,639표 33.79% 3선
전라북도교육감 서거석 중도 310,247표 43.52%
전라남도교육감 김대중 진보 393,462표 45.08%
경상북도교육감 임종식 보수 561,389표 49.77% 재선
경상남도교육감 박종훈 진보 388,078표 50.23% 3선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 김광수 보수 168,019표 57.47%

정당별 결과[편집]

국민의힘[편집]

국민의힘은 서울, 인천과 강원, 충청권, 영남권을 수성하면서 대승리를 거두었다. 이전 선거에서 TK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광역단체장을 빼앗아오는데 실패하는 등 큰 어려움을 겪었으나 정권 유지론에 힘을 입어 과거의 오명을 씻어내고 압승에 성공했다.[5]

더불어민주당[편집]

더불어민주당은 호남과 제주, 경기를 제외한 전 지역의 광역단체장을 잃음으로서 정권 유지론에 대참패를 겪었다.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도 반토막이 났고 그나마 이재명 도정 이후 민주당 강세 지역으로 바뀌었던 경기도를 지키긴 했으나 상대 후보와 퍼센트차도 0.15%차밖에 나지 않는 등 승부에서 아슬아슬한 승리를 쟁취했다. 결국 6월 2일 새벽 민주당 지도부는 비공개 회의를 열고 지도부 총사퇴를 결정했다.[6]

진보당[편집]

진보당은 원외정당 중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울산 동구청장 선거에서 김종훈 후보를 구청장으로 당선시키는데 성공해 기초단체장 1석을 획득했다.[7] 이 외에도 광역의원을 배출해내고 기초의원도 6석이나 끌어올리는 등 진보 4당[G] 중에서 가장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의당[편집]

정의당은 광역단체장 뿐만 아닌 기초단체장도 1석도 얻지 못했다. 그리고 광역의원은 9석, 기초의원은 19석이나 줄어드는 등 낮은 지지율에 원외정당인 진보당에도 밀리는 대참패를 겪었다.[8] 6월 2일 정의당 지도부는 회의를 열고 선거 결과와 관련하여 여영국 당대표 포함 대표단 총사퇴를 결정하였다.[9][10]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내용
  1. 공직선거법 제150조(투표용지의 정당ㆍ후보자의 게재순위 등)
  2. 대한민국의 선거 중 가장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한 선거는, 2022년 3월 치러진 제20대 대통령 선거(36.93%)이다.
  3. 경기 성남 분당 갑, 인천 계양 을, 경남 창원 의창, 대구 수성 을, 충남 보령·서천, 강원 원주 갑, 제주 제주 을
  4. 코로나19 확진자는 사전 투표는 18시 30분부터 20시까지, 본 투표는 18시 30분부터 19시 30분까지 투표가 가능하다.
  5. 본 투표율에 사전투표, 거소투표 수 합산 시작.
  6. 독도당, 통일한국당, 한류연합당의 득표를 표시한다.
  7. 노동당, 녹색당, 정의당, 진보당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