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의 아시아 지역 예선으로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관한다. 일본은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직행한다. 예선은 4단계에 걸쳐 진행되며 플레이오프 승자가 본선에 진출한다.

진행 방식[편집]

일본은 하계 올림픽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직행한다. 2018년 6월 FIFA 여자 랭킹이 가장 높은 5개 팀인 오스트레일리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중국, 태국은 3차 예선에 직행하며 6위, 7위 팀인 베트남, 우즈베키스탄은 2차 예선에 직행한다. 나머지 팀들은 1차 예선부터 참가한다.

  • 1차 예선: 예선에 참가한 25개 팀들 가운데 FIFA 여자 랭킹이 낮은 18개 팀들이 참가한다. 특정 지역에서 조별 예선 경기를 치르는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2개 조는 5개 팀으로, 2개 조는 4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조 1, 2위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하고 각 조 3위 팀 가운데 성적이 가장 높은 2개 팀이 추가로 2차 예선에 진출한다.
  • 2차 예선: 2차 예선에 직행한 2개 팀들과 1차 예선을 통해 진출한 10개 팀들이 참가한다. 특정 지역에서 조별 예선 경기를 치르는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12개 팀을 3개 조로 나누어 진행한다. 각 조 1위 팀은 3차 예선에 진출한다.
  • 3차 예선: 3차 예선에 직행한 5개 팀들과 2차 예선을 통해 진출한 3개 팀들이 참가한다. 특정 지역에서 조별 예선 경기를 치르는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8개 팀을 2개 조로 나누어 진행한다. 각 조 1, 2위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 플레이오프: 3차 예선을 통해 진출한 4개 팀이 참가한다.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플레이오프의 승자가 올림픽 본선에 진출한다.

참가 팀[편집]

예선에 참가한 25개 팀들은 2018년 6월 FIFA 여자 랭킹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

하계 올림픽 개최국 3차 예선에 직행하는 팀 2차 예선에 직행하는 팀
1차 예선부터 참가하는 팀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포트 5 (순위 없음)

1차 예선[편집]

1차 예선은 2018년 11월 4일부터 11월 13일까지 타지키스탄 히소르(A조)와 태국 촌부리(B조), 미얀마 양곤(C조), 팔레스타인 알람(D조)에서 열렸다. 기권한 아랍에미리트, 자격이 없는 마카오 외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누어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를 치루었고, 각 조의 1, 2위 및 3위 중 상위 2개 팀 이상 10개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1차 예선 추첨은 2018년 8월 2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 1차 예선에 참가한 18개 팀들은 2018년 6월 FIFA 여자 랭킹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

1차 예선에 참가하는 팀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포트 5 (순위 없음)
  • 마카오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회원국이 아니기 때문에 올림픽 참가 자격이 없다.
  • ★ 표시된 국가는 1차 예선 개최국으로 내정된 팀을 의미한다.

A조[편집]

  • 개최지: 타지키스탄
  • 시간: UTC+5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중화 타이베이 4 4 0 0 33 0 +33 12 2차 예선
2 필리핀 4 3 0 1 17 7 +10 9
3 타지키스탄 (H) 4 2 0 2 11 13 −2 6
4 몽골 4 0 1 3 4 20 −16 1
5 싱가포르 4 0 1 3 2 27 −25 1
출처: AFC
(H) 홈경기.
2018년 11월 4일 (2018-11-04)
13:00
싱가포르 0 – 9 필리핀 히소르, 히소르 중앙 경기장
관중: 20명
2018년 11월 4일 (2018-11-04)
16:00
몽골 1 – 4 타지키스탄 히소르, 히소르 중앙 경기장
관중: 50명

2018년 11월 6일 (2018-11-06)
13:00
몽골 2 – 2 싱가포르 히소르, 히소르 중앙 경기장
관중: 50명
2018년 11월 6일 (2018-11-06)
16:00
타지키스탄 0 – 9 중화 타이베이 히소르, 히소르 중앙 경기장
관중: 150명

2018년 11월 8일 (2018-11-08)
13:00
중화 타이베이 9 – 0 몽골 히소르, 히소르 중앙 경기장
관중: 30명
2018년 11월 8일 (2018-11-08)
16:00
필리핀 3 – 1 타지키스탄 히소르, 히소르 중앙 경기장
관중: 70명

2018년 11월 11일 (2018-11-11)
13:00
필리핀 5 – 1 몽골 히소르, 히소르 중앙 경기장
관중: 30명
2018년 11월 11일 (2018-11-11)
16:00
싱가포르 0 – 10 중화 타이베이 히소르, 히소르 중앙 경기장
관중: 30명

2018년 11월 13일 (2018-11-13)
13:00
중화 타이베이 5 – 0 필리핀 히소르, 히소르 중앙 경기장
관중: 30명
2018년 11월 13일 (2018-11-13)
16:00
타지키스탄 6 – 0 싱가포르 히소르, 히소르 중앙 경기장
관중: 50명

B조[편집]

  • 개최지: All matches were held in Thailand (neutral venue host).
  • 시간: UTC+7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이란 2 1 1 0 9 1 +8 4 2차 예선
2 홍콩 2 1 1 0 5 1 +4 4
3 레바논 2 0 0 2 0 12 −12 0
4 아랍에미리트 0 0 0 0 0 0 0 0 기권
5 마카오 0 0 0 0 0 0 0 0
출처: AFC
2018년 11월 8일 (2018-11-08)
15:00
이란 8 – 0 레바논 촌부리, 촌부리 체육대학 캠퍼스 경기장
관중: 30명

2018년 11월 11일 (2018-11-11)
15:00
레바논 0 – 4 홍콩 촌부리, 촌부리 체육대학 캠퍼스 경기장
관중: 104명

2018년 11월 13일 (2018-11-13)
15:00
이란 1 – 1 홍콩 촌부리, 촌부리 체육대학 캠퍼스 경기장
관중: 41명

C조[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미얀마 (H) 3 2 1 0 8 2 +6 7 2차 예선
2 인도 3 1 1 1 9 4 +5 4
3 네팔 3 0 3 0 3 3 0 3
4 방글라데시 3 0 1 2 2 13 −11 1
출처: AFC
(H) 홈경기.
2018년 11월 8일 (2018-11-08)
15:00
인도 1 – 1 네팔 양곤, 투운나 스타디움
관중: 150명
2018년 11월 8일 (2018-11-08)
18:00
미얀마 5 – 0 방글라데시 양곤, 투운나 스타디움
관중: 1,381명

2018년 11월 11일 (2018-11-11)
15:00
방글라데시 1 – 7 인도 양곤, 투운나 스타디움
관중: 100명
2018년 11월 11일 (2018-11-11)
18:00
네팔 1 – 1 미얀마 양곤, 투운나 스타디움
관중: 1,601명

2018년 11월 13일 (2018-11-13)
15:00
네팔 1 – 1 방글라데시 양곤, 투운나 스타디움
관중: 100명
2018년 11월 13일 (2018-11-13)
18:00
미얀마 2 – 1 인도 양곤, 투운나 스타디움
관중: 1,698명

D조[편집]

  • 개최지: 팔레스타인
  • 시간: UTC+2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요르단 3 3 0 0 16 0 +16 9 2차 예선
2 인도네시아 3 1 1 1 4 5 −1 4
3 팔레스타인 (H) 3 1 1 1 3 9 −6 4
4 몰디브 3 0 0 3 2 11 −9 0
출처: AFC
(H) 홈경기.
2018년 11월 8일 (2018-11-08)
14:30
요르단 6 – 0 몰디브 알람, 파이살 알후세이니 국제경기장
관중: 180명
심판: 미얀마 테인 테인 아이
2018년 11월 8일 (2018-11-08)
17:30
인도네시아 1 – 1 팔레스타인 알람, 파이살 알후세이니 국제경기장
관중: 100명

2018년 11월 11일 (2018-11-11)
14:30
몰디브 1 – 3 인도네시아 알람, 파이살 알후세이니 국제경기장
관중: 100명
2018년 11월 11일 (2018-11-11)
17:30
팔레스타인 0 – 7 요르단 알람, 파이살 알후세이니 국제경기장
관중: 190명

2018년 11월 13일 (2018-11-13)
14:30
요르단 3 – 0 인도네시아 알람, 파이살 알후세이니 국제경기장
관중: 110명
심판: 미얀마 테인 테인 아이
2018년 11월 13일 (2018-11-13)
17:30
팔레스타인 2 – 1 몰디브 알람, 파이살 알후세이니 국제경기장
관중: 150명

3위 팀 순위[편집]

원래 5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던 B조는 2개 팀이 기권하여 3개 팀만 경기를 치르게 되었으며 C조·D조는 4개 팀, A조는 5개 팀이 경기를 치렀다. 이에 따라 각 조 3위 팀은 공정성을 위해 각 조 4위·5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한 전적만을 계산한다.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C 네팔 2 0 2 0 2 2 0 2 2차 예선
2 D 팔레스타인 2 0 1 1 1 8 −7 1
3 A 타지키스탄 2 0 0 2 1 12 −11 0
4 B 레바논 2 0 0 2 0 12 −12 0
출처: AFC

2차 예선[편집]

2차 예선은 2019년 4월 3일부터 4월 9일까지 미얀마 만달레이 (A조)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B조), 카타르 도하알와크라 (C조)에서 열렸다. 12개 팀이 3개 조로 나누어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를 치루었고, 각 조의 1위 팀 이상 3개 팀은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2차 예선 추첨은 2019년 2월 13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 2차 예선에 참가한 12개 팀들은 2018년 12월 FIFA 여자 랭킹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 예선 개최국으로 내정된 팀끼리는 서로 다른 조에 편성된다.

2차 예선에 참가하는 팀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 ★ 표시된 국가는 2차 예선 개최국으로 내정된 팀을 의미한다.

A조[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미얀마 (H) 3 2 1 0 12 4 +8 7 3차 예선
2 인도 3 2 1 0 8 4 +4 7
3 네팔 3 1 0 2 4 7 −3 3
4 인도네시아 3 0 0 3 1 10 −9 0
출처: AFC
(H) 홈경기.
2019년 4월 3일 (2019-04-03)
15:00
인도 2 – 0 인도네시아 만달레이, 만달라르티리 경기장
관중: 100명
2019년 4월 3일 (2019-04-03)
18:00
미얀마 3 – 1 네팔 만달레이, 만달라르티리 경기장
관중: 1,582명

2019년 4월 6일 (2019-04-06)
15:00
네팔 1 – 3 인도 만달레이, 만달라르티리 경기장
관중: 356명
2019년 4월 6일 (2019-04-06)
18:00
인도네시아 0 – 6 미얀마 만달레이, 만달라르티리 경기장
관중: 755명

2019년 4월 9일 (2019-04-09)
15:30
미얀마 3 – 3 인도 만달레이, 만달라르티리 경기장
관중: 851명
2019년 4월 9일 (2019-04-09)
15:30
인도네시아 1 – 2 네팔 만달레이, 바투 경기장
관중: 100명

B조[편집]

  • 개최지: 우즈베키스탄.
  • 시간: UTC+5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베트남 3 3 0 0 6 2 +4 9 3차 예선
2 우즈베키스탄 (H) 3 2 0 1 8 3 +5 6
3 요르단 3 0 1 2 0 4 −4 1
4 홍콩 3 0 1 2 2 7 −5 1
출처: AFC
(H) 홈경기.
2019년 4월 3일 (2019-04-03)
15:00
베트남 2 – 1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관중: 306명
심판: 대한민국 오현정
2019년 4월 3일 (2019-04-03)
15:00
요르단 0 – 0 홍콩 타슈켄트, 교통대학 경기장
관중: 50명

2019년 4월 6일 (2019-04-06)
15:00
우즈베키스탄 2 – 0 요르단 타슈켄트,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관중: 220명
2019년 4월 6일 (2019-04-06)
15:00
홍콩 1 – 2 베트남 타슈켄트, 교통대학 경기장
관중: 50명

2019년 4월 9일 (2019-04-09)
15:00
베트남 2 – 0 요르단 타슈켄트, 교통대학 경기장
관중: 30명
심판: 대한민국 오현정
2019년 4월 9일 (2019-04-09)
15:00
홍콩 1 – 5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로코모티프 스타디움
관중: 145명

C조[편집]

경기는 원래 팔레스타인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이란 정부가 이란 국민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방문을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서 중립 지대인 카타르에서 개최되었다.[2][3]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중화 타이베이 3 3 0 0 11 3 +8 9 3차 예선
2 필리핀 3 2 0 1 11 4 +7 6
3 이란 3 1 0 2 10 6 +4 3
4 팔레스타인 3 0 0 3 0 19 −19 0
출처: AFC
2019년 4월 3일 (2019-04-03)
17:00
중화 타이베이 3 – 0 팔레스타인 알와크라, 사우드 빈 압둘라흐만 스타디움
관중: 22명
2019년 4월 3일 (2019-04-03)
20:00
이란 0 – 2 필리핀 도하,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 100명

2019년 4월 6일 (2019-04-06)
17:00
팔레스타인 0 – 9 이란 알와크라, 사우드 빈 압둘라흐만 스타디움
관중: 85명
2019년 4월 6일 (2019-04-06)
20:00
필리핀 2 – 4 중화 타이베이 도하,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 150명

2019년 4월 9일 (2019-04-09)
19:00
중화 타이베이 4 – 1 이란 도하, 그랜드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 100명
2019년 4월 9일 (2019-04-09)
19:00
필리핀 7 – 0 팔레스타인 알와크라, 사우드 빈 압둘라흐만 스타디움
관중: 71명

3차 예선[편집]

3차 예선은 2020년 2월 3일부터 2월 9일까지 진행되었다. A조는 대한민국 서귀포에서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B조는 중국 난징에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인해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로 장소가 변경되었다. 각 조에서 1, 2위를 기록한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3차 예선 추첨은 2019년 10월 18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 3차 예선에 참가한 8개 팀들은 2019년 9월 FIFA 여자 랭킹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 예선 개최국으로 내정된 팀끼리는 서로 다른 조에 편성된다.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 ★ 표시된 국가는 3차 예선 개최국으로 내정된 팀을 의미한다.

A조[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9년 12월에 아무런 이유 없이 기권을 통보했다..[6][7]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대한민국 (H, Q) 2 2 0 0 10 0 +10 6 플레이오프
2 베트남 (Q) 2 1 0 1 1 3 −2 3
3 미얀마 (E) 2 0 0 2 0 8 −8 0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 0 0 0 0 0 0 0 기권
출처: AFC
(E) 탈락; (H) 홈경기; (Q) 표시된 자격으로 예선 통과.
2020년 2월 3일 (2020-02-03)
19:00
미얀마 0 – 7 대한민국 서귀포, 제주월드컵경기장
관중: 484명
지소연 6분, 52분에 득점 6′ (페널티)52′
이소담 37분에 득점 37′
박예은 53분, 71분에 득점 53′71′
여민지 81분, 89분에 득점 81′89′

2020년 2월 6일 (2020-02-06)
19:00
베트남 1 – 0 미얀마 서귀포, 제주월드컵경기장
관중: 158명
응안티반수 62분에 득점 62′

2020년 2월 9일 (2020-02-09)
15:00
대한민국 3 – 0 베트남 서귀포, 제주월드컵경기장
관중: 1,278명
장슬기 22분에 득점 22′
추효주 53분에 득점 53′
지소연 83분에 득점 83′

B조[편집]

  • 3차 예선 B조 경기는 원래 중국 우한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2020년 1월 22일에 2019년 12월부터 중국 우한에서 일어난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를 고려하여 3차 예선 B조 경기 개최 장소를 중국 난징으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코로나19 범유행이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중국 축구 협회는 2020년 1월 26일에 3차 예선 개최권을 반납했다. 이에 따라 아시아 축구 연맹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를 대체 개최지로 선정했다.
  • 2020년 1월 29일, 오스트레일리아 내 개최지와 날짜와 시작 시각이 발표되었다.[8] 오스트레일리아 입국 후, 중국 여자대표팀 선수단과 스태프는 브리즈번 내 호텔 안에서 2|5일까지 검역 대상이었다.[9] 2020년 1월 31일,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협회는 경기 일정을 조정하여 발표하였다.[10]
  • 시간: UTC+11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오스트레일리아 (H, A) 3 2 1 0 14 1 +13 7 플레이오프
2 중화인민공화국 (A) 3 2 1 0 12 2 +10 7
3 중화 타이베이 (E) 3 1 0 2 1 12 −11 3
4 태국 (E) 3 0 0 3 1 13 −12 0
2020년 2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AFC
(A) 다음 라운드 진출; (E) 탈락; (H) 홈경기.
2020년 2월 3일 (2020-02-03)
19:30 UTC+11
태국 0 – 1 중화 타이베이 시드니, 캠벨타운 스타디움
관중: 208명
심판: 일본 야마시티 요시미
딩치 19분에 득점 19′

2020년 2월 7일 (2020-02-07)
16:30 UTC+11
중화인민공화국 6 – 1 태국 시드니, 캠벨타운 스타디움
관중: 616명
심판: 싱가포르 아비라미 나이두
리잉 6분, 66분에 득점 6′66′
장신 11분에 득점 11′
왕산산 41분에 득점 41′
탕자리 45분, 51분에 득점 45′51′
실라완 80분에 득점 80′
2020년 2월 7일 (2020-02-07)
19:30 UTC+11
오스트레일리아 7 – 0 중화 타이베이 시드니, 캠벨타운 스타디움
관중: 1,510명
심판: 대한민국 오현정
포드 10분, 24분, 38분에 득점 10′24′38′
캐틀리 31분에 득점 31′
래소 54분에 득점 54′
64분에 득점 64′
고리 90+2분에 득점 90+2′

2020년 2월 10일 (2020-02-10)
16:30 UTC+11
중화 타이베이 0 – 5 중화인민공화국 시드니, 캠벨타운 스타디움
관중: 505명
탕자리 5분에 득점 5′
우하이옌 25분에 득점 25′
왕산산 26분, 30분에 득점 26′30′
리잉 34분에 득점 34′
2020년 2월 10일 (2020-02-10)
19:30 UTC+11
태국 0 – 6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캠벨타운 스타디움
관중: 2,167명
밴 에그먼드 44분, 45+4분, 70분에 득점 44′45+4′70′
사이먼 66분, 73분에 득점 66′73′
래조 71분에 득점 71′

2020년 2월 13일 (2020-02-13)
19:30 UTC+11
오스트레일리아 1 – 1 중화인민공화국 시드니, Bankwest 스타디움
관중: 5,660명
밴 에그먼드 90+3분에 득점 90+3′ 탕자리 86분에 득점 86′

플레이오프[편집]

플레이오프는 2020년 3월 6일부터 2021년 4월 13일까지 진행된다.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플레이오프의 승자는 올림픽 본선에 진출한다.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오스트레일리아 7–1 베트남 5-0 2-1
대한민국 3–4 중화인민공화국 1-2 2(연)2
2020년 3월 6일 (2020-03-06)
18:30 UTC+11
오스트레일리아 5 – 0 베트남 맥도널드 존스 스타디움, 뉴캐슬
관중: 14,014명
심판: 싱가포르 아비라미 나이두
10분, 80분에 득점 10′80′ (페널티)
로가조 27분에 득점 27′
밴 에그먼드 38분에 득점 38′
폴킹혼 67분에 득점 67′
라이브 리포트
통계 리포트

2020년 3월 11일 (2020-03-11)
18:00 UTC+7
베트남 1 – 2 오스트레일리아 껌파 경기장, 껌파
관중: 54명
심판: 미얀마 테인 테인 아이
후인 누 55분에 득점 55′ 라이브 리포트
통계 리포트
15분에 득점 15′
래소 27분에 득점 27′

오스트레일리아가 합계 7 – 1로 본선 진출.


2021년 4월 8일 (2021-04-08)
16:00 UTC+9
대한민국 1 – 2 중화인민공화국 고양종합운동장, 고양
관중: 1,091명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케이시 레이벨트
강채림 39분에 득점 39′ 라이브 리포트
통계 리포트
장신 33분에 득점 33′
왕솽 73분에 득점 73′ (페널티)

2021년 4월 13일 (2021-04-13)
16:00 UTC+8
중화인민공화국 2 – 2 (연장전) 대한민국 쑤저우올림픽스타디움, 쑤저우
관중: 13,533명
심판: 일본 야마시타 요시미
양만 69분에 득점 69′
왕솽 104분에 득점 104′
라이브 리포트
통계 리포트
강채림 31분에 득점 31′
리멍원 45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45′ (자책골)

중화인민공화국이 합계 4 – 3으로 본선 진출.

각주[편집]

  1. Kyaw Zin Hlaing (2018년 9월 5일). “Myanmar to host women’s Olympic Group C qualifiers”. 《The Myanmar Times》. 2018년 9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9일에 확인함. 
  2. “Host of Women's Olympic Football Qualifiers Changed”. 《Tasnim News Agency》. 2019년 2월 27일. 
  3. “Iranian women footballers hostages of conflict with Israel”. 《persiadigest.com》. 2019년 2월 19일. 2019년 4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4일에 확인함. 
  4. “2020 올림픽 여자축구 최종예선 제주도 개최 확정”. 《KFA.com》. 2019년 9월 3일. 
  5. “Jeju Island to host Olympic women's football qualifying tournament”. 《Yonhap News Agency》. 2019년 9월 3일. 
  6. “北 여자축구, '제주 개최' 올림픽예선 불참?...남북전 무산 위기”. Naver.com. 2019년 12월 25일. 
  7. “韩媒:出于未知原因,朝鲜女足放弃参加奥运会预选赛”. Dongqiudi.com. 2019년 12월 25일. 
  8. “Venues & kick-off times confirmed for Women’s Qualifiers in Sydney”. AFC. 2020년 1월 29일. 
  9. “Coronavirus concerns leave Chinese women's soccer team quarantined in Brisbane hotel”. 오스트레일리아 방송 협회. 2020년 1월 29일. 
  10. “Women’s Olympic Football Tournament Qualifiers to proceed with amended match schedule”.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연맹. 2020년 1월 31일. 2020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