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 | ||||
---|---|---|---|---|
![]() | ||||
OCA 코드 | KOR | |||
NOC | 대한체육회 공식 웹사이트 | |||
2018년 아시안 게임 선수단 | ||||
참가 선수 | 809[1]명 | |||
참가 종목 | 39개 종목 | |||
임원 | 181명 | |||
메달 집계 종합 3위 |
![]() 49 |
![]() 58 |
![]() 70 |
![]() 177 |
역대 선수단 | ||||
아시안 게임 | ||||
1954 · 1958 · 1962 · 1966 · 1970 · 1974 · 1978 · 1982 ·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 2010 · 2014 · 2018 | ||||
동계 아시안 게임 | ||||
1986 · 1990 · 1996 · 1999 · 2003 · 2007 · 2011 · 2017 | ||||
실내 무술 아시안 게임 | ||||
2005 · 2007 · 2009(무술) · 2009(실내) · 2013 | ||||
해변 아시안 게임 | ||||
2008 · 2010 · 2012 · 2014 | ||||
청소년 아시안 게임 | ||||
2009 · 2013 | ||||
장애인 아시안 게임 | ||||
2010 · 2014 | ||||
관련 참가국 | ||||
![]() |
2018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선수단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와 팔렘방에서 열리는 제18회 아시안 게임에 참가한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단이다.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출전은 이번이 통산 18번째이다.
대한민국은 아시안 게임의 주요 강국 중 하나로서 최근 대회에서는 5대회 연속 종합순위 2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아시안게임 최고 성적은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의 기록으로 금 96, 은 80, 동 84개를 기록하였다. 지난 대회인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의 성적은 금 79, 은 71, 동 84로 종합순위 2위를 차지하였다.
이번 대회에 대한민국은 브리지 종목을 제외한 39개 전 종목에 총 809명의 선수를 파견하였다.[2][1] 대한체육회는 지난 대회보다는 적은 금메달 65개를 따내어 6대회 연속 종합순위 2위를 노린다는 방침을 세웠다.[3] 그러나 본 대회에서는 육상과 수영 등 기초종목 저조, 양궁과 태권도 등 '효자 종목'이 극도로 부진한 모습을 보여 금 49개로 일본에게 밀려 종합순위 3위로 대회를 마치게 되었다. 대한민국의 종합순위 3위 기록은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이후 24년 만이다.[4]
한편으로 여자 농구, 카누 용선, 조정 외 3개 종목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과 단일팀을 이루어 코리아란 국명으로 참가하였으며,[2] 개막식과 폐막식에는 두 선수단이 한반도기를 앞세워 함께 입장하였다.
메달리스트[편집]
다음은 이번 대회의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목록이다. 31일까지의 결과를 반영하였다.
|
|
참가 선수[편집]
다음은 각 종목별 참가 선수 현황이다. 대회 공식홈페이지 자료를 참고로 한 것으로, 남북 단일팀으로 참가하는 선수는 포함되지 않았다.
종목 | 남자 | 여자 | 합계 |
---|---|---|---|
공수도 | 4 | 4 | 8 |
골프 | 4 | 3 | 7 |
근대5종 | 2 | 2 | 4 |
농구 | 14 | 0 | 14 |
3x3 농구 | 4 | 4 | 8 |
다이빙 | 3 | 5 | 8 |
럭비 | 7 | 8 | 15 |
레슬링 | 12 | 6 | 18 |
유술 | 1 | 1 | 2 |
우슈 | 12 | 2 | 14 |
배구 | 0 | 14 | 33 |
복싱 | 0 | 0 | 0 |
볼링 | 0 | 0 | 0 |
배드민턴 | 0 | 0 | 0 |
비치발리볼 | 0 | 0 | 0 |
사격 | 0 | 0 | 0 |
사이클 | 0 | 0 | 0 |
세팍타크로 | 0 | 0 | 0 |
소프트볼 | 0 | 0 | 0 |
수구 | 0 | 0 | 0 |
수상스키 | 0 | 0 | 0 |
수영 | 0 | 0 | 0 |
스케이트보드 | 0 | 0 | 0 |
스포츠클라이밍 | 0 | 0 | 0 |
스쿼시 | 0 | 0 | 0 |
승마 | 0 | 0 | 0 |
싱크로나이즈 | 0 | 10 | 10 |
야구 | 0 | 0 | 0 |
양궁 | 9 | 8 | 17 |
역도 | 0 | 0 | 0 |
요트 | 0 | 0 | 0 |
유도 | 0 | 0 | 0 |
육상 | 22 | 18 | 40 |
롤러스포츠 | 0 | 0 | 0 |
정구 | 0 | 0 | 0 |
조정 | 0 | 0 | 0 |
체조 | 5 | 9 | 14 |
축구 | 0 | 0 | 0 |
카누 | 0 | 0 | 0 |
카바디 | 0 | 0 | 0 |
탁구 | 0 | 0 | 0 |
태권도 | 0 | 0 | 0 |
테니스 | 0 | 0 | 0 |
트라이애슬론 | 0 | 0 | 0 |
패러글라이딩 | 0 | 0 | 0 |
펜싱 | 0 | 0 | 0 |
하키 | 0 | 0 | 0 |
핸드볼 | 0 | 0 | 0 |
합계 |
근대5종[편집]
남녀 2명씩 총 4명이 출전하였다.
- 남자
- 여자
골프[편집]
남자 4명, 여자 3명으로 총 7명의 선수가 선발됐다.[5]
- 남자부
- 김동민
- 오승택
- 장승보
- 최호영
- 여자부
- 임희정
- 정윤지
- 유해란
공수도[편집]
남녀 4명씩 총 8명이 출전한다.
- 남자
- 여자
농구[편집]
남자[편집]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 |
3 | 3 | 0 | 329 | 215 | +114 | 6 | 8강 진출 |
2 | ![]() |
3 | 1 | 2 | 232 | 264 | -32 | 4 | |
3 | ![]() |
3 | 1 | 2 | 233 | 264 | -31 | 4 | |
4 | ![]() |
3 | 1 | 1 | 250 | 301 | -51 | 4 |
3경기 완승으로 예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한민국 이외에 인도네시아, 몽골, 태국은 포인트가 4점으로 모두 동일했다. 이에 각 팀당 맞대결 결과로 순위를 정하였으며 인도네시아가 2위로 예선에 진출하였다.
여자[편집]
남북 단일팀 종목으로 출전하게 되었다. 자세한 서술은 2018년 아시안 게임 코리아 선수단 문서를 참고.
다이빙[편집]
남녀 두명씩 총 네 명이 출전하며, 두 명의 후보선수가 있다 (이재경, 권하림).[6]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김영남 | 1m 스프링보드 | ||||
3m 스프링보드 | |||||
10m 플랫폼 | |||||
우하람 | 1m 스프링보드 | ||||
3m 스프링보드 | |||||
10m 플랫폼 | |||||
김영남 우하람 |
싱크로나이즈 3m 스프링보드 | ||||
싱크로나이즈 10m 플랫폼 |
여자
선수 | 세부 종목 | 결선 | |
기록 | 순위 | ||
김수지 | 1m 스프링보드 | ||
3m 스프링보드 | |||
10m 플랫폼 | |||
김나미 | 1m 스프링보드 | ||
3m 스프링보드 | |||
10m 플랫폼 | |||
문나윤 조은비 |
싱크로나이즈 3m 스프링보드 | ||
싱크로나이즈 10m 플랫폼 |
럭비[편집]
레슬링[편집]
남자[편집]
여자[편집]
배구[편집]
배구[편집]
남자[편집]
여자[편집]
- 예선
8강 진출 |
경기 | 승점 | 세트 | 점수 | |||||||
---|---|---|---|---|---|---|---|---|---|---|
순위 | 팀 | 승 | 패 | 득 | 실 | 득실률 | 득 | 실 | 득실률 | |
1 | ![]() |
5 | 0 | 15 | 15 | 0 | 최대 | 375 | 216 | 1.736 |
2 | ![]() |
4 | 1 | 12 | 12 | 4 | 3.000 | 382 | 299 | 1.278 |
3 | ![]() |
2 | 3 | 7 | 9 | 10 | 0.900 | 386 | 406 | 0.951 |
4 | ![]() |
2 | 3 | 6 | 8 | 11 | 0.727 | 369 | 406 | 0.909 |
5 | ![]() |
2 | 3 | 4 | 7 | 13 | 0.538 | 370 | 441 | 0.839 |
6 | ![]() |
0 | 5 | 1 | 2 | 15 | 0.133 | 292 | 406 | 0.719 |
출처: [1]
- 선수 명단
2018년 아시안 게임 배구에 출전한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14명 명단이다.[7]
감독: 차해원
번호 | 이름 | 출생일 | 키 | 몸무게 | 2018년 소속팀 |
---|---|---|---|---|---|
1 | 박은진 | 1999년 12월 15일 | 184 cm | 75 kg | ![]() |
2 | 이주아 | 2000년 8월 21일 | 185 cm | 70 kg | ![]() |
3 | 정호영 | 2001년 8월 23일 | 189 cm | 66 kg | ![]() |
4 | 황민경 | 1990년 6월 2일 | 174 cm | 63 kg | ![]() |
5 | 이효희 | 1980년 9월 9일 | 173 cm | 58 kg | ![]() |
8 | 임명옥 | 1986년 5월 5일 | 175 cm | 60 kg | ![]() |
10 | 김연경 (c) | 1988년 2월 26일 | 192 cm | 73 kg | ![]() |
11 | 김수지 | 1987년 7월 11일 | 187 cm | 68 kg | ![]() |
13 | 박정아 | 1993년 3월 26일 | 187 cm | 75 kg | ![]() |
14 | 양효진 | 1989년 12월 14일 | 190 cm | 72 kg | ![]() |
15 | 강소휘 | 1997년 7월 18일 | 180 cm | 68 kg | ![]() |
17 | 이재영 | 1996년 10월 15일 | 179 cm | 64 kg | ![]() |
19 | 이다영 | 1996년 10월 15일 | 179 cm | 62 kg | ![]() |
20 | 나현정 | 1990년 3월 10일 | 163 cm | 54 kg | ![]() |
비치발리볼[편집]
배드민턴[편집]
복싱[편집]
볼링[편집]
남자[편집]
여자[편집]
- 이나영
- 이연지
- 백승자
- 류서연
- 한별
- 김현미
사이클[편집]
도로 경기[편집]
MTB 사이클[편집]
사격[편집]
남자[편집]
여자[편집]
세팍타크로[편집]
소프트볼[편집]
수구[편집]
남자부에만 출전한다.[6]
남자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아래 엔트리는 가나다순 성씨에 의한 단순 나열이다. 등번호와 주장이 확정되면 수정 바람.
수상스키[편집]
수영[편집]
남자 14명, 여자 13명으로 총 27명이 출전한다.[6]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서민석 | 자유형 50m | ||||
박선관 | 자유형 100m | ||||
이호준 | 자유형 200m | ||||
자유형 400m | |||||
자유형 800m | |||||
자유형 1500m | |||||
강지석 | 배형 50m | ||||
이주호 | 배형 100m | ||||
배형 100m | |||||
김재윤 | 평형 50m | ||||
문재권 | 평형 100m | ||||
조성재 | 평형 200m | ||||
장규철 | 접영 50m | ||||
접영 100m | |||||
박정훈 | 접영 200m | ||||
김민석 | 개인혼영 200m | ||||
주재구 | 개인혼영 400m | ||||
박선관 양재훈 장동혁 이호준 |
계주 4x100m | ||||
이호준 장동혁 양재훈 김민석 |
계주 4x200m | ||||
이주호 문재권 장규철 박선관 |
혼합계주 4x100m |
여자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김민주 | 자유형 50m | ||||
고미소 | 자유형 100m | ||||
최정민 | 자유형 200m | ||||
자유형 400m | |||||
김진하 | 자유형 800m | ||||
한다경 | 자유형 1500m | ||||
박한별 | 배형 50m | ||||
신영연 | 배형 100m | ||||
임다솔 | 배형 100m | ||||
김혜진 | 평형 50m | ||||
평형 100m | |||||
백수연 | 평형 200m | ||||
박예린 | 접영 50m | ||||
안세현 | 접영 100m | ||||
접영 200m | |||||
김서영 | 개인혼영 200m | ||||
개인혼영 400m | |||||
고미소 김민주 김서영 최정민 |
계주 4x100m | ||||
최정민 김진하 김서영 한다경 |
계주 4x200m | ||||
신영연 김혜진 안세현 고미소 |
혼합계주 4x100m |
혼성
선수 | 세부 종목 | 예선 | 결선 | ||
기록 | 순위 | 기록 | 순위 | ||
이주호 문재권 안세현 고미소 |
혼합계주 4x100m |
스쿼시[편집]
스포츠클라이밍[편집]
이번 대회부터 아시안게임 사상 첫 정식 종목이 된 스포츠클라이밍에는 총 20명이 출전한다. 스피드와 컴바인 종목에서는 남녀 각각 두명씩 총 4명이, 스피드릴레이 종목에서는 남녀 각각 여덟명씩 총 16명이 선발되었다.[8] 국가대표 강화훈련 과정에서 불참이나 부상 등으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대체 선발되는 후보도 총 12명이 선정되었다.
스피드[편집]
- 남자부
- 이용수
- 이승범
- 여자부
- 박서연
- 사솔
컴바인[편집]
- 남자부
- 김한울
- 천종원
- 여자부
- 사솔
- 김자인
스피드릴레이[편집]
- 남자부
- 이용수
- 이승범
- 손민
- 손종석
- 채성준
- 최승빈
- 신은철
- 장동현
- 여자부
- 박서연
- 사솔
- 차유진
- 고정란
- 최나우
- 손승아
- 피예나
- 한다경
승마[편집]
싱크로나이즈[편집]
듀엣과 팀 종목에 모두 출전한다. 아래 명단은 후보명단으로 최종 선발선수는 대회 경기에 앞서 결정될 예정이다.[6]
- 듀엣
- 엄지완
- 이리영
- 최정연
- 팀
- 구예모
- 김소진
- 김준희
- 백서연
- 엄지완
- 이리영
- 이유진
- 이재현
- 정영희
- 최정연
야구[편집]
B조 예선
팀 | 경기 | 승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
![]() |
|||||||
![]() |
|||||||
![]() |
양궁[편집]
리커브[편집]
컴파운드[편집]
역도[편집]
- 남자
선수 | 세부 종목 | 인상 | 용상 | 합계 |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1차 시기 | 2차 시기 | 3차 시기 | 기록 | 순위 | ||
원정식 | 69kg급 | 145 | - | - | |||||
김우재 | 77kg급 | 155 | 160 | 187 | 347 | ![]() | |||
유재식 | 145 | 150 | 180 | 330 | 4 | ||||
장연학 | 77kg급 | 160 | 163 | 165 | 191 | 195 | 360 | ![]() | |
임영철 | 155 | 345 | 5 | ||||||
한정훈 | 94kg급 | 160 | 207 | 367 | 4 | ||||
정기삼 | 105kg급 | 175 | 180 | 215 | 395 | 4 | |||
서희엽 | 174 | 220 | 394 | 5 |
요트[편집]
무술[편집]
이번 대회에서 '우슈' 종목이 무술 종목으로 확대개편되어 유술, 쿠라시, 펜착실랏, 삼보, 우슈의 5개 종목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대표팀은 유술과 우슈 종목에만 출전하며, 나머지 세 종목은 관련 협회가 대한체육회 정회원 자격을 얻지 못해 국가대표 출전이 무산됐다.[9]
유술[편집]
우슈[편집]
유도[편집]
육상[편집]
남자[편집]
여자[편집]
정구[편집]
조정[편집]
4개 세부종목에 한해 남북 단일팀을 구성하였다. 자세한 서술은 2018년 아시안 게임 남북 단일 선수단 항목을 참고.
체조[편집]
기계체조[편집]
남자[편집]
여자[편집]
리듬체조[편집]
축구[편집]
남자 축구[편집]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E조에 배정되었고, E조 2위를 기록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16강전에서
이란을, 8강전에서
우즈베키스탄을, 4강전에서
베트남을, 결승전에서
일본을 꺾고 아시안 게임 축구의 남자 축구 종목 사상 5번째 금메달을 차지했다.
- 조별 리그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 |
6 | 3 | 2 | 0 | 1 | 7 | 5 | +2 |
2 | ![]() |
6 | 3 | 2 | 0 | 1 | 8 | 2 | +6 |
3 | ![]() |
4 | 3 | 1 | 1 | 1 | 5 | 10 | -5 |
4 | ![]() |
1 | 3 | 0 | 1 | 2 | 3 | 6 | -3 |
- | ![]() |
C조로 재편성 |
- 결선 토너먼트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8월 23일 - 브카시 | ||||||||||||||
![]() | 0 | |||||||||||||
8월 27일 - 브카시 | ||||||||||||||
![]() | 1 | |||||||||||||
![]() | 0 | |||||||||||||
8월 23일 - 브카시 | ||||||||||||||
![]() | 1 | |||||||||||||
![]() | 1 | |||||||||||||
8월 29일 - 치비농 | ||||||||||||||
![]() | 0 | |||||||||||||
![]() | 1 | |||||||||||||
8월 23일 - 치카랑 | ||||||||||||||
![]() | 3 | |||||||||||||
![]() | 3 | |||||||||||||
8월 27일 - 브카시 | ||||||||||||||
![]() | 0 | |||||||||||||
![]() | 3 | |||||||||||||
8월 23일 - 치카랑 | ||||||||||||||
![]() | 4 | |||||||||||||
![]() | 0 | |||||||||||||
9월 1일 - 치비농 | ||||||||||||||
![]() | 2 | |||||||||||||
![]() | 2 | |||||||||||||
8월 24일 - 브카시 | ||||||||||||||
![]() | 1 | |||||||||||||
![]() | 3 | |||||||||||||
8월 27일 - 치비농 | ||||||||||||||
![]() | 4 | |||||||||||||
![]() | 1 | |||||||||||||
8월 24일 - 브카시 | ||||||||||||||
![]() | 2 | |||||||||||||
![]() | 0 | |||||||||||||
8월 29일 - 치비농 | ||||||||||||||
![]() | 1 | |||||||||||||
![]() | 1 | |||||||||||||
8월 24일 - 치카랑 | ||||||||||||||
![]() | 0 | 3위 결정전 | ||||||||||||
![]() | 2 (3) | |||||||||||||
8월 27일 - 치비농 | 9월 1일 - 치비농 | |||||||||||||
![]() | 2 (4) | |||||||||||||
![]() | 1 (5) | ![]() | 1 (3) | |||||||||||
8월 24일 - 치카랑 | ||||||||||||||
![]() | 1 (3) | ![]() | 1 (4) | |||||||||||
![]() | 1 | |||||||||||||
![]() | 3 | |||||||||||||
여자 축구[편집]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A조에 배정되었고, A조 1위를 기록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8강전에서
홍콩을 만나 승리했지만, 4강전에서
일본을 만나 패배하여 동메달전에 진출했다. 동메달전에서
중화 타이베이을 꺾고 아시안 게임 축구의 여자 축구 종목 사상 3번째 동메달을 차지했다.
- 조별 리그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 |
9 | 3 | 3 | 0 | 0 | 22 | 1 | +21 |
2 | ![]() |
6 | 3 | 2 | 0 | 1 | 12 | 2 | +10 |
3 | ![]() |
3 | 3 | 1 | 0 | 2 | 6 | 16 | -10 |
4 | ![]() |
0 | 3 | 0 | 0 | 3 | 0 | 21 | -21 |
- 결선 토너먼트
8강 | 준결승 | 결승 | ||||||||
8월 24일 - 팔렘방 | ||||||||||
![]() | 5 | |||||||||
8월 28일 - 팔렘방 | ||||||||||
![]() | 0 | |||||||||
![]() | 1 | |||||||||
8월 25일 - 팔렘방 | ||||||||||
![]() | 2 | |||||||||
![]() | 2 | |||||||||
8월 31일 - 팔렘방 | ||||||||||
![]() | 1 | |||||||||
![]() | 1 | |||||||||
8월 24일 - 팔렘방 | ||||||||||
![]() | 0 | |||||||||
![]() | 0 (4) | |||||||||
8월 28일 - 팔렘방 | ||||||||||
![]() | 0 (3) | |||||||||
![]() | 0 | |||||||||
8월 25일 - 팔렘방 | ||||||||||
![]() | 1 | |||||||||
![]() | 5 | |||||||||
![]() | 0 | |||||||||
카누[편집]
스프린트[편집]
슬라럼[편집]
용선[편집]
남북 단일팀 종목으로 출전하게 되었다. 자세한 서술은 2018년 아시안 게임 코리아 선수단 문서를 참고.
카바디[편집]
탁구[편집]
태권도[편집]
겨루기[편집]
남자
선수 | 종목 | 32강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순위 | ||
김태훈 | −58kg | 경기 없음 | ![]() 승 40-2 |
![]() 승 11-9 |
![]() 승 24-11 |
![]() 승 24-6 |
![]() |
조강민 | −63kg | 경기 없음 | ![]() 승 22-10 |
![]() 승 36-25 |
![]() 패 29-37 |
진출 실패 | ![]() |
이대훈 | −68kg | 경기 없음 | ![]() 승 26-5 |
![]() 승 26-5 |
![]() 승 32-10 |
![]() 승 12-17 |
![]() |
이화준 | −80kg | ![]() 승 36-2[10] |
![]() 승 24-22 |
![]() 승 18-27 |
![]() 승 17-16 |
![]() 패 18-12 |
![]() |
이승환 | +80kg | 경기 없음 | ![]() 패 3-7 |
진출 실패 |
여자
선수 | 종목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순위 | ||
강보라 | −49kg | ![]() 승 45-2 |
![]() 패 8-27 |
진출 실패 | ||
하민아 | −53kg | ![]() 승 28-12 |
![]() 승 10-4 |
![]() 승 12-1 |
![]() 패 10-29 |
![]() |
이아름 | −57kg | ![]() 승 14-8 |
![]() 승 17-8 |
![]() 승 12-10 |
![]() 패 5-6 |
![]() |
김잔디 | −67kg | ![]() 승 35-9 |
![]() 승 29-0 |
![]() 승 14-4 |
![]() 패 5-1 |
![]() |
이다빈 | +67kg | 경기 없음 | ![]() 승 24-0 |
![]() 승 25-8 |
![]() 승 27-21 |
![]() |
품새[편집]
선수 | 종목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상대 선수 결과 |
순위 | ||
강민성 | 남자 개인 | ![]() 승 8.24 - 7.65 |
![]() 승 8.35 - 8.20 |
![]() 승 8.70 - 8.49 |
![]() 승 8.81 - 8.73 |
![]() |
윤지혜 | 여자 개인 | ![]() 승 8.31 - 7.70 |
![]() 승 8.52 - 8.30 |
![]() 패 8.40 - 8.52 |
진출 실패 | ![]() |
한영훈 김선호 강완진 |
남자 단체 | 경기 없음 | ![]() 승 8.68 - 8.39 |
![]() 승 8.42 - 8.32 |
![]() 승 8.48 - 8.02 |
![]() |
곽여원 최동아 박재은 |
여자 단체 | ![]() 승 7.95 - 8.12 |
![]() 승 8.13 - 8.24 |
![]() 승 7.11 - 8.02 |
![]() 패 8.20 - 8.21 |
![]() |
테니스[편집]
이번 대회에는 남자와 여자부에서 각각 6명씩 총 12명의 선수가 출전한다. 대회 포상금은 금 3500만원, 은 2300만원, 동 1500만원이다. 정현 선수는 발목부상으로 인해 출전을 포기했다.[11]
남자[편집]
- 이덕희
- 권순우
- 홍성찬
- 임용규
- 이재문
- 김영석
여자[편집]
- 한나래
- 최지희
- 이소라
- 김나리
- 정수남
- 강서경
트라이애슬론[편집]
펜싱[편집]
패러글라이딩[편집]
하키[편집]
남자[편집]
여자[편집]
핸드볼[편집]
남자[편집]
여자[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Athletes - Asian Games 2018”.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공식홈페이지》. 2018년 8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금메달 65개·종합 2위 목표'…태극전사, 아시안게임 발진 - 연합뉴스
- ↑ "금메달 목표는 65개" 아시안게임 앞둔 한국, 목표 낮게 잡은 이유는? - 중앙일보
- ↑ “잘하던 종목도 휘청…한국, 점점 더 어려워질 수 있다”. 뉴스원. 2018년 9월 2일. 2018년 9월 2일에 확인함.
-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07/2018070700030.html
- ↑ 가 나 다 라 “2018 아시아경기대회 수영국가대표선수 선발 명단”. 대한수영협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한국 여자국가대표팀 최종엔트리(14명)_2018 아시안게임”. 《대한민국배구협회》. 2018년 7월 18일. 2018년 8월 18일에 확인함.
- ↑ “보관된 사본”. 2018년 7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1일에 확인함.
- ↑ 싸워보지도 못하는 무도 종목들 - 한겨레
- ↑ 심판의 경기 중단으로 승리
- ↑ '정현 제외' 아시안게임 테니스 국가대표 확정…金 포상금 3500만원 -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