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
보이기
2018년 동계 올림픽 여자 3000m 계주 쇼트트랙 | ||||||||||
---|---|---|---|---|---|---|---|---|---|---|
| ||||||||||
개최국 | 대한민국 | |||||||||
개최 도시 | 강릉시 | |||||||||
개최 기간 | 2월 10일 (예선) 20일 (결선) | |||||||||
경기장 | 강릉 아이스 아레나 | |||||||||
참가국 | 8개국 | |||||||||
참가 선수 | 40명 | |||||||||
메달리스트 | ||||||||||
| ||||||||||
« 2014 2022 » |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 ||||
---|---|---|---|---|
예선
| ||||
500m | 남자 | 여자 | ||
1000m | 남자 | 여자 | ||
1500m | 남자 | 여자 | ||
3000m 계주 | 여자 | |||
5000m 계주 | 남자 |
2018년 동계 올림픽의 쇼트트랙 여자 3000m 계주는 2018년 2월 10일부터 20일까지 대한민국 강릉시 강릉 아이스 아레나에서 진행된다. 예선은 2월 10일에, 결선은 2월 20일에 치러졌고, 대한민국이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출전권 예선
[편집]2017-18 ISU 쇼트트랙 월드컵 기간 동안의 경기 결과에 따른 세계랭킹에 따라 각국에 일정 쿼터가 배정된다. 한 국가가 받을 수 있는 최대 쿼터수는 그 국가가 계주 경기에 참가하면 남녀당 5쿼터까지, 계주 경기에 참가하지 않으면 3쿼터까지이다. 개최국인 대한민국은 10쿼터를 자동으로 부여받는다.
여자 3000m 계주 종목에는 총 40명 (8팀)분 쿼터가 배정됐다.
결과
[편집]준결승
[편집]준결승은 2월 10일에 진행되었다.
- QA – 파이널 A에 진출
- QB – 파이널 B에 진출
- ADV – 피반칙으로 진출
- PEN – 페널티
순위 | 조 | 국가 | 선수 | 시간 | 비고 |
---|---|---|---|---|---|
1 | 1 | 대한민국 | 심석희 최민정 김예진 김아랑 이유빈 |
4:06.387 | QA, OR |
2 | 1 | 캐나다 | 마리안 생젤레 킴 부탱 제이미 맥도널드 카산드라 브라데트 |
4:07.627 | QA |
3 | 1 | 헝가리 | 페트러 여서퍼티 언드레어 케슬레르 샤러 바치커이 베르너데트 헤이둠 |
4:09.555 | QB |
4 | 1 | 러시아 출신 |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 예카테리나 콘스탄티노바 예카테리나 예프레멘코바 예미나 말라기치 |
4:21.973 | QB |
1 | 2 | 중화인민공화국 | 판커신 한위퉁 취춘위 저우양 |
4:05.315 | QA, OR |
2 | 2 | 이탈리아 | 아리안나 폰타나 루차 페레티 체칠리아 마페이 마르티나 발체피나 |
4:05.918 | QA |
3 | 2 | 네덜란드 | 쉬자너 스휠팅 야라 판 케르크호프 라라 판 라이번 요린 테르 모르스 |
4:05.977 | QB |
4 | 2 | 일본 | 사이토 히토미 기쿠치 스미레 이토 아유코 기쿠치 유키 |
4:12.664 | QB |
결승
[편집]파이널 B
[편집]순위 | 국가 | 선수 | 시간 | 비고 |
---|---|---|---|---|
네덜란드 | 쉬자너 스휠팅 야라 판 케르크호프 라라 판 라이번 요린 테르 모르스 |
4:03.471 | WR | |
4 | 헝가리 | 페트러 여서퍼티 언드레어 케슬레르 샤러 바치커이 베르너데트 헤이둠 |
4:03.603 | |
5 | 러시아 출신 |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 예카테리나 콘스탄티노바 예카테리나 예프레멘코바 예미나 말라기치 |
4:08.838 | |
6 | 일본 | 사이토 히토미 기쿠치 스미레 이토 아유코 기쿠치 유키 |
4:13.072 |
파이널 A
[편집]순위 | 국가 | 선수 | 기록 | 주 |
---|---|---|---|---|
대한민국 | 심석희 최민정 김예진 김아랑 |
4:07.361 | ||
이탈리아 | 아리안나 폰타나 루치아 페레티 체칠리아 마페이 마르티나 발체피나 |
4:15.901 | ||
– | 중화인민공화국 | 판커신 리진위 취춘위 저우양 |
PEN (실격) | |
– | 캐나다 | 마리안 생젤레 킴 부탱 발레리 말테 카산드라 브라데트 |
PEN (실격) |
범례
세계 신기록 | 아프리카 신기록 | Q | 예선 통과 | ||||
올림픽 신기록 | 북아메리카 신기록 | DNS | 경기를 시작하지 않음 | ||||
아시아 신기록 | DNF | 경기를 마치지 않음 | |||||
국가 신기록 | 유럽 신기록 | DSQ | 실격 | ||||
개인 최고 기록 (개인 신기록) | 오세아니아 신기록 | WD | 기권 | ||||
시즌 최고 기록 (시즌 신기록) | 남아메리카 신기록 | NM | 기록 없음 |
쇼트트랙
ADV | 피반칙으로 다음 라운드 진출 | QA | 결승전 A (메달 경쟁) | QB | 결승전 B (메달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