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2018년 북핵 위기
2017-2018년 북핵 위기 | |||||
---|---|---|---|---|---|
![]() | |||||
| |||||
분쟁국 | |||||
![]() |
![]() ![]() ![]() ![]() | ||||
지휘관 | |||||
![]() |
![]() ![]() ![]() ![]() |
사건
같이 보기 |
201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빠르게 핵 무기 역량을 강화하여 미국과 그 동맹국들에 대한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켰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여러 차례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발사에 성공하였고, 일본 상공으로 대륙간 탄도 미사일 발사 및 미국과 대한민국 영토에 대한 공격 위협을 하였다. 이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위협에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외교적 해법을 선호 하지만, 군사적 해법이 준비되어 장전되었다고 언급하였다.[3]
전 유엔 주재 미국 대사 존 볼턴과 전 미국 국방장관 리언 패네타, 월리엄 코언 등은 2017년 북핵으로 인한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치는 과거 쿠바 미사일 위기보다도 더 심각한 핵 위기라고 분석하였다.[4][5]
배경[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량살상무기 개발[편집]
2017년 1월 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정은 조선로동당 위원장은 신년사를 통해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가 마감 단계"라고 밝혔다.[6]
2017년 8월 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미 본토에 닿을 수 있는 미사일에 장착 가능한 핵 탄두의 소형화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 국방정보국(DIA)이 분석하였다.[7]
전개[편집]
201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여파[편집]
2017년 9월 19일 도널드 트럼프는 그의 첫번째 유엔 총회 기조 연설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미국과 그 동맹국들을 위협한다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완전히 파괴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8][9]
그에 대해 맞대응으로 북한은 리용호 외무상을 내세워 개짖는소리라고 반박하며 북한 공화국에 대한 참수나 위협시 미국에 선제 핵공격을 가할 것으로 위협하기도 했다.
2018년 초 미국의 대북 압박[편집]
2018년 1월 국정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잔인한 독재보다 더 잔인하게 자국 시민을 탄압한 정권은 없었다면서, 미국 본토를 위협하는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에 대해 최대의 압박을 가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10][11]
평창 올림픽이 진행되던 2018년 2월에는, 미국이 북한의 핵 시설에 한해서 정밀타격을 하는 이른바 '코피 작전(bloody nose attack)'을 고려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12]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경제 제재 외의 압박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선제공격설을 부인하였으나,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 대행 수잔 손턴(Susan Thornton)은 군사적 옵션은 아직 테이블 위에 있다고 재차 강조하였다.[13][14][15]
2018년 평창 올림픽 남북 대화[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제3~4차 남북정상회담[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북미정상회담[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같이 보기[편집]
- 제1차 북핵 위기
- 제2차 북핵 위기
- 201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
- 201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 2018년 제1차 남북정상회담
- 2018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
- 2018년 제3차 남북정상회담
- 2018년 북미정상회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비핵화
- 코리아 패싱
각주[편집]
- ↑ “North Korea threatens Australia with nuclear strike over US allegiance”. 《News.com.au》. 2017년 4월 24일. 2017년 9월 25일에 확인함.
- ↑ “North Korea threatens Australia with disaster if it continues to support US stance on Pyongyang”. 《ABC News》. 2017년 10월 15일. 2017년 10월 17일에 확인함.
- ↑ “Trump: military solutions 'locked and loaded' against North Korea threat”. 《Reuters》. 2017년 8월 11일. 2017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John Bolton: North Korea standoff comparable to Cuban Missile Crisis”. 《Fox News》. 2017년 8월 11일. 2017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Panetta: North Korea 'most serious crisis' involving nukes since Cuba”. 《CNN》. 2017년 8월 12일. 2017년 8월 12일에 확인함.
- ↑ “北 김정은 신년사…“대륙간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마감 단계”(속보)”. 《서울신문》. 2017년 1월 1일. 2017년 9월 22일에 확인함.
- ↑ Warrick, Joby (2017년 8월 8일). “North Korea now making missile-ready nuclear weapons, U.S. analysts say”. 워싱턴 포스트. 2017년 8월 9일에 확인함.
- ↑ “트럼프 "미국.동맹 방어해야한다면 北완전파괴외 다른선택 없다"(종합3보)”. 《연합뉴스》. 2017년 9월 19일. 2017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Trump Vows to ‘Totally Destroy’ North Korea if It Threatens U.S.”. 《The New York Times》. 2017년 9월 19일. 2017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Beauchamp, Zack (January 31, 2018). “Trump's South Korea ambassador pick opposed attacking the North. So Trump dumped him. "This suggests that the administration is seriously considering ... a strike."”. 《The Vox》. January 31,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February 1, 2018에 확인함.
- ↑ “트럼프 국정연설 "북한 핵무기 美 본토 위협…최고 압박작전 펼쳐"”. 《한국경제》. 2018년 1월 31일.
- ↑ “The US reportedly wants a limited strike on North Korea to give Kim Jong Un a 'bloody nose'”. 《Business Insider》. 2017년 12월 21일.
- ↑ “US denies plan for 'bloody nose' strike on North Korea”. 《Star Tribune》. February 15, 2018. February 16,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February 16, 2018에 확인함.
- ↑ “No 'bloody nose' plan for North Korea: U.S. official, senators”. 《Reuters》. 2018년 2월 15일.
- ↑ “Trump official denies US planning 'bloody nose' strike on North Korea”. 《The Hill》. 2018년 2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