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AFC U-23 챔피언십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 |
---|---|
원어 명칭 | بطولة آسيا تحت 23 سنة لكرة القدم 2016 |
개최국 | ![]() |
개최기간 | 1월 12일 ~ 1월 30일 |
경기장 | 4개개 (1개 도시) |
참가국 | 16개국개국 (1개 대륙) |
결과 | |
우승 | (1번째 우승) |
3위 | ![]() |
4위 |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총 경기 | 32경기 |
총 득점 | 103골 (경기당 3.22골) |
총 관중 | 92,447명 (경기당 수식 오류: 알 수 없는 "," 구두점 문자입니다.명) |
« 2013 2018 » |
2016년 AFC U-23 챔피언십은 2016년 1월 12일부터 1월 30일까지 카타르에서 개최된 2번째 AFC U-23 챔피언십이다.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이 폐지되면서 이번 대회부터 처음으로 2016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 부문 예선전을 겸하여 치러진다. 1, 2, 3위가 올림픽 본선에 진출한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토너먼트는 모두 도하에 위치한 4곳의 경기장에서 개최된다.
도하 | |||
---|---|---|---|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레크위야 SC 홈 구장) |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알아라비 SC 홈 구장) |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알사드 SC 홈 구장) |
카타르 SC 경기장 (카타르 SC 홈 구장) |
수용인원: 12,000 | 수용인원: 18,000 | 수용인원: 15,000 | 수용인원: 15,000 |
![]() |
예선[편집]
본선 진출팀[편집]
국가 | 진출 자격 | 진출 확정 날짜 | 과거 본선 진출 횟수와 연도1 |
---|---|---|---|
![]() |
개최국 | 2014년 11월 28일 | 첫 출전 |
![]() |
지역 예선 A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 |
지역 예선 B조 1위 | 2015년 5월 20일 | 1회 (2013) |
![]() |
지역 예선 C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 |
지역 예선 D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 |
지역 예선 E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 |
지역 예선 F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 |
지역 예선 G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 |
지역 예선 H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 |
지역 예선 I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 |
지역 예선 J조 1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 |
지역 예선 G조 2위 | 2015년 3월 31일 | 첫 출전 |
![]() |
지역 예선 C조 2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 |
지역 예선 I조 2위 | 2015년 3월 31일 | 첫 출전 |
![]() |
지역 예선 D조 2위 | 2015년 3월 31일 | 1회 (2013) |
![]() |
지역 예선 E조 2위 | 2015년 5월 20일 | 1회 (2013) |
시드 배정[편집]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조 추첨은 2015년 9월 12일 카타르 도하에서 진행되었다.
- 시드 배정은 2013년 AFC U-22 챔피언십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
- 사전 추첨을 통해서
일본(7위)은 포트 2번으로,
아랍에미리트(8위)는 포트 3번으로 결정되었다.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
선수 명단[편집]
조별 리그[편집]
- 보기
조별 리그를 통과하여 8강 진출한 팀 |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 |
-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A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 |
3 | 3 | 0 | 0 | 9 | 4 | +5 | 9 |
![]() |
3 | 2 | 0 | 1 | 6 | 4 | +2 | 6 |
![]() |
3 | 1 | 0 | 2 | 5 | 7 | -2 | 3 |
![]() |
3 | 0 | 0 | 3 | 4 | 9 | -5 | 0 |
2016년 1월 12일 16:30 | ||||||
시리아 ![]() |
0 – 2 | ![]()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133명 심판: ![]() | |||
리포트 | 모타하리 ![]() 모하메디 ![]() | |||||
2016년 1월 12일 19:30 | ||||||
카타르 ![]() |
3 – 1 | ![]()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6,340명 심판: ![]() | |||
하산 ![]() 알라엘딘 ![]() |
리포트 | 랴오리성 ![]() | ||||
2016년 1월 15일 16:30 | ||||||
중국 ![]() |
1 – 3 | ![]()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1,205명 심판: ![]() | |||
랴오리성 ![]() |
리포트 | 크르빈 ![]() 알바헤르 ![]() | ||||
2016년 1월 15일 19:30 | ||||||
이란 ![]() |
1 – 2 | ![]()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1,026명 심판: ![]() | |||
카리미 ![]() |
리포트 | 알라엘딘 ![]() 하산 ![]() | ||||
2016년 1월 18일 19:30 | ||||||
카타르 ![]() |
4 – 2 | ![]()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9,255명 심판: ![]() | |||
하산 ![]() 알라엘딘 ![]() 알리 ![]() |
리포트 | 칼파 ![]() 크르빈 ![]() | ||||
2016년 1월 18일 19:30 | ||||||
이란 ![]() |
3 – 2 | ![]()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802명 심판: ![]() | |||
모타하리 ![]() 파흘라반 ![]() 토라비 ![]() |
리포트 | 창페이야 ![]() 랴오리성 ![]() | ||||
B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 |
3 | 3 | 0 | 0 | 7 | 1 | +6 | 9 |
![]() |
3 | 0 | 2 | 1 | 5 | 6 | -1 | 2 |
![]() |
3 | 0 | 2 | 1 | 5 | 6 | -1 | 2 |
![]() |
3 | 0 | 2 | 1 | 3 | 7 | -4 | 2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태국은 승점이 같아 각 팀 간의 전적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조 2위로 8강전에 진출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3개 팀 간의 순위표는 다음과 같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 |
2 | 0 | 2 | 0 | 5 | 5 | 0 | 2 |
![]() |
2 | 0 | 2 | 0 | 4 | 4 | 0 | 2 |
![]() |
2 | 0 | 2 | 0 | 3 | 3 | 0 | 2 |
2016년 1월 13일 16:30 | ||||||
일본 ![]() |
1 – 0 | ![]()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531명 심판: ![]() | |||
우에다 ![]() |
리포트 | |||||
2016년 1월 13일 19:30 | ||||||
사우디아라비아 ![]() |
1 – 1 | ![]()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878명 심판: ![]() | |||
알사이아리 ![]() |
리포트 | 피뇨 ![]() | ||||
2016년 1월 16일 16:30 | ||||||
태국 ![]() |
0 – 4 | ![]()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674명 심판: ![]() | |||
리포트 | 스즈키 ![]() 야지마 ![]() 구보 ![]() | |||||
2016년 1월 16일 19:30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3 – 3 | ![]()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989명 심판: ![]() | |||
김용일 ![]() 윤일광 ![]() 장국철 ![]() |
리포트 | 칸노 ![]() 알무왈라드 ![]() 알감디 ![]() | ||||
2016년 1월 19일 16:30 | ||||||
사우디아라비아 ![]() |
1 – 2 | ![]()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807명 심판: ![]() | |||
마두 ![]() |
리포트 | 오시마 ![]() 이데구치 ![]() | ||||
2016년 1월 19일 16:30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2 – 2 | ![]()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421명 심판: ![]() | |||
김용일 ![]() 토사왓 ![]() |
리포트 | 나루바딘 ![]() 차나팁 ![]() | ||||
C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 |
3 | 2 | 1 | 0 | 8 | 2 | +6 | 7 |
![]() |
3 | 2 | 1 | 0 | 6 | 3 | +3 | 7 |
![]() |
3 | 1 | 0 | 2 | 6 | 6 | 0 | 3 |
![]() |
3 | 0 | 0 | 3 | 1 | 10 | -9 | 0 |
2016년 1월 13일 16:30 | ||||||
이라크 ![]() |
2 – 0 | ![]()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545명 심판: ![]() | |||
파에즈 ![]() 후스니 ![]() |
리포트 | |||||
2016년 1월 13일 19:30 | ||||||
대한민국 ![]() |
2 – 1 | ![]()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803명 심판: ![]() | |||
문창진 ![]() |
리포트 | 함다모프 ![]() | ||||
2016년 1월 16일 16:30 | ||||||
예멘 ![]() |
0 – 5 | ![]()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755명 심판: ![]() | |||
리포트 | 권창훈 ![]() 류승우 ![]() 김승준 ![]() | |||||
2016년 1월 16일 19:30 | ||||||
우즈베키스탄 ![]() |
2 – 3 | ![]()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686명 심판: ![]() | |||
함다모프 ![]() 카키모프 ![]() |
리포트 | 아트완 ![]() 카밀 ![]() 타리크 ![]() | ||||
2016년 1월 19일 19:30 | ||||||
이라크 ![]() |
1 – 1 | ![]()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086명 심판: ![]() | |||
암제드 후세인 ![]() |
리포트 | 김현 ![]() | ||||
2016년 1월 19일 19:30 | ||||||
우즈베키스탄 ![]() |
3 – 1 | ![]()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227명 심판: ![]() | |||
소키보프 ![]() 세르게예프 ![]() 마샤리포프 ![]() |
리포트 | 알사로리 ![]() | ||||
D조[편집]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 |
3 | 2 | 1 | 0 | 4 | 2 | +2 | 7 |
![]() |
3 | 1 | 2 | 0 | 3 | 1 | +2 | 5 |
![]() |
3 | 1 | 1 | 1 | 2 | 1 | +1 | 4 |
![]() |
3 | 0 | 0 | 3 | 3 | 8 | -5 | 0 |
2016년 1월 14일 16:30 | ||||||
요르단 ![]() |
3 – 1 | ![]()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1,392명 심판: ![]() | |||
파이살 ![]() 알마나스라 ![]() |
리포트 | 도주이마인 ![]() | ||||
2016년 1월 14일 19:30 | ||||||
오스트레일리아 ![]() |
0 – 1 | ![]()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307명 심판: ![]() | |||
리포트 | 갈리푸오코 ![]() | |||||
2016년 1월 17일 16:30 | ||||||
베트남 ![]() |
0 – 2 | ![]()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539명 심판: ![]() | |||
리포트 | 도나치 ![]() 매클래런 ![]() | |||||
2016년 1월 17일 19:30 | ||||||
아랍에미리트 ![]() |
0 – 0 | ![]()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1,752명 심판: ![]() | |||
리포트 | ||||||
2016년 1월 20일 19:30 | ||||||
요르단 ![]() |
0 – 0 | ![]()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2,338명 심판: ![]() | |||
리포트 | ||||||
2016년 1월 20일 19:30 | ||||||
아랍에미리트 ![]() |
3 – 2 | ![]()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623명 심판: ![]() | |||
팜호앙람 ![]() 알아크베리 ![]() 알아타스 ![]() |
리포트 | 응우옌꽁프엉 ![]() 응우옌뚜언아인 ![]() | ||||
결선 토너먼트[편집]
8강 | 준결승 | 결승 | ||||||||
1월 22일-도하 | ||||||||||
![]() | 2 | |||||||||
1월 26일-도하 | ||||||||||
![]() | 1 | |||||||||
![]() | 1 | |||||||||
1월 23일-도하 | ||||||||||
![]() | 3 | |||||||||
![]() | 1 | |||||||||
1월 30일-도하 | ||||||||||
![]() | 0 | |||||||||
![]() | 2 | |||||||||
1월 22일-도하 | ||||||||||
![]() | 3 | |||||||||
![]() | 3 | |||||||||
1월 26일-도하 | ||||||||||
![]() | 0 | |||||||||
![]() | 2 | |||||||||
1월 23일-도하 | ||||||||||
![]() | 1 | |||||||||
![]() | 1 | |||||||||
![]() | 3 | |||||||||
8강전[편집]
-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2016년 1월 22일 16:30 | ||||||
일본 ![]() |
3 – 0 (연장전) |
![]()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1,703명 심판: ![]() | |||
도요카와 ![]() 나카지마 ![]() |
||||||
2016년 1월 22일 19:30 | ||||||
카타르 ![]() |
2 – 1 (연장전) |
![]()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9,702명 심판: ![]() | |||
아피프 ![]() 아사달라 ![]() |
리포트 | 서경진 ![]() | ||||
2016년 1월 23일 16:30 | ||||||
대한민국 ![]() |
1 – 0 | ![]() |
도하, 카타르 SC 경기장 관중수: 3,126명 심판: ![]() | |||
문창진 ![]() |
리포트 | |||||
2016년 1월 23일 19:30 | ||||||
아랍에미리트 ![]() |
1 – 3 (연장전) |
![]() |
도하, 그랜드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030명 심판: ![]() | |||
음하위 ![]() |
리포트 | 후스니 ![]() 압둘라힘 ![]() 암제드 후세인 ![]() | ||||
준결승전[편집]
승자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에 진출한다.
-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2016년 1월 26일 16:30 | ||||||
일본 ![]() |
2 – 1 | ![]()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1,489명 심판: ![]() | |||
구보 ![]() 하라카와 ![]() |
리포트 | 나티크 ![]() | ||||
2016년 1월 26일 19:30 | ||||||
카타르 ![]() |
1 – 3 | ![]()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1,840명 심판: ![]() | |||
알라엘딘 ![]() |
리포트 | 류승우 ![]() 권창훈 ![]() 문창진 ![]() | ||||
3·4위전[편집]
승자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에 진출한다.
-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2016년 1월 29일 17:45 | ||||||
카타르 ![]() |
1 – 2 (연장전) |
![]() |
도하, 자심 빈 하마드 경기장 관중수: 10,049명 심판: ![]() | |||
알라엘딘 ![]() |
리포트 | 압둘라힘 ![]() 아이멘 후세인 ![]() | ||||
결승전[편집]
- 아랍 표준시(UTC+03) 기준
2016년 1월 30일 17:45 | ||||||
대한민국 ![]() |
2 – 3 | ![]()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관중수: 5,394명 심판: ![]() | |||
권창훈 ![]() 진성욱 ![]() |
리포트 | 아사노 다쿠마 ![]() 야지마 ![]() | ||||
우승[편집]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
---|
![]() |
일본 1번째 우승 |
최종 순위[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1 | ![]() |
6 | 6 | 0 | 0 | 15 | 4 | +11 | 18 |
2 | ![]() |
6 | 4 | 1 | 1 | 14 | 6 | +8 | 13 |
3 | ![]() |
6 | 4 | 1 | 1 | 12 | 7 | +5 | 13 |
4 | ![]() |
6 | 4 | 0 | 2 | 13 | 10 | +3 | 12 |
5 | ![]() |
4 | 2 | 1 | 1 | 5 | 5 | 0 | 7 |
6 | ![]() |
4 | 2 | 0 | 2 | 6 | 7 | -1 | 6 |
7 | ![]() |
4 | 1 | 2 | 1 | 3 | 2 | +1 | 5 |
8 | ![]() |
4 | 0 | 2 | 2 | 6 | 8 | -2 | 2 |
9 | ![]() |
3 | 1 | 1 | 1 | 2 | 1 | +1 | 4 |
10 | ![]() |
3 | 1 | 0 | 2 | 6 | 6 | 0 | 3 |
11 | ![]() |
3 | 1 | 0 | 2 | 5 | 7 | -2 | 3 |
12 | ![]() |
3 | 0 | 2 | 1 | 5 | 6 | -1 | 2 |
13 | ![]() |
3 | 0 | 2 | 1 | 3 | 7 | -4 | 2 |
14 | ![]() |
3 | 0 | 0 | 3 | 4 | 9 | -5 | 0 |
15 | ![]() |
3 | 0 | 0 | 3 | 3 | 8 | -5 | 0 |
16 | ![]() |
3 | 0 | 0 | 3 | 1 | 10 | -9 | 0 |
- 4강 진출 팀은 결승전 및 3·4위전의 경기 결과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 8강 이하의 단계에서 탈락한 팀은 전체 승점과 골득실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하되,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 8강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5위에서 최저 8위이다.
- 1라운드에서 탈락한 팀의 순위는 최고 9위에서 최저 16위이다.
- 승부차기로 끝난 경기는 무승부에 포함되며, 승부차기에 의한 득점은 총 득점에 산입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