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
보이기
2016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단체 | ||||||||||
---|---|---|---|---|---|---|---|---|---|---|
![]() | ||||||||||
개최국 | 브라질 | |||||||||
개최 도시 | 도쿄 | |||||||||
개최 기간 | 2016년 8월 5일(랭킹라운드) 2021년 8월 6일(본선) | |||||||||
경기장 | 삼보드로무 | |||||||||
참가국 | 12개국 | |||||||||
참가 선수 | 36명 | |||||||||
메달리스트 | ||||||||||
| ||||||||||
« 2012 2020 » |
2016년 하계 올림픽 양궁 ![]() | ||||
개인 | 남자 | 여자 | ||
단체 | 남자 | 여자 |
2016년 하계 올림픽 양궁 남자 단체전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삼보드로무에서 열렸다.
경기 방식
[편집]여느 양궁 종목 경기와 마찬가지로 혼성 단체전도 리커브 보우를 사용하며 세계 양궁 연맹의 승인을 받은 70m 규격 경기장에서 관련 규정에 따라 경기를 치르게 된다. 한 팀은 3명의 선수로 구성되며, 총 12개 팀이 매 라운드에서 두 팀씩 짝지어 서로 맞붙게 된다. 경기는 랭킹라운드로 시작되는데 여기서 각 선수당 총 72발을 쏘게 된다.(랭킹라운드의 경우 개인전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랭킹라운드의 최고기록을 합산해 12팀이 토너먼트전 시드에 배정되게 된다. 토너먼트전은 한 경기당 6발씩 총 4세트, 각 선수당 2발씩으로 구성된다. 매 세트마다 6발의 점수를 합산해 최고점을 기록한 팀이 '세트포인트' 2점을 획득한다. 세트에서 동점을 기록하면 세트포인트 1점을 획득한다. 이렇게 모은 세트포인트가 먼저 5점에 도달한 팀이 승리하게 된다.[1]
기록
[편집]본 대회 이전의 세계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다.
- 216발 랭킹 라운드
유형 | 선수 | 기록 | 장소 | 날짜 |
---|---|---|---|---|
![]() |
![]() 김법민, 오진혁, 임동현 |
2087 | 런던, 영국 | 2012년 7월 27일 |
![]() |
![]() 김법민, 오진혁, 임동현 |
2087 | 런던, 영국 | 2012년 7월 27일 |
일정
[편집]날짜 | 시작 | 종료 | 종목 | 진행순서 |
---|---|---|---|---|
2016년 8월 5일 금요일 | 9:00 | 남자 단체전 | 랭킹 라운드 | |
2016년 8월 6일 토요일 | 9:00 | 17:45 | 남자 단체전 | 본선 |
결과
[편집]랭킹 라운드
[편집]순위 | 국가 | 선수 | 점수 | 10s | Xs |
---|---|---|---|---|---|
1 | ![]() |
김우진 구본찬 이승윤 |
2057[3] | 73 | 50 |
2 | ![]() |
브레이디 엘리슨 잭 개릿 제이크 커민스키 |
2024 | 68 | 44 |
3 | ![]() |
마르코 갈리아초 마우로 네스폴리 데이비드 파스쿠알루치 |
2007 | 71 | 23 |
4 | ![]() |
앨릭 포츠 라이언 타이액 테일러 워스 |
2005 | 64 | 41 |
5 | ![]() |
루카스 다니엘 피에르 플리옹 장샤를 발라동 |
2003 | 61 | 23 |
6 | ![]() |
구쉬에송 왕다펑 싱유 |
1997 | 62 | 30 |
7 | ![]() |
카오하오웬 웨이쥔항 유관린 |
1995 | 53 | 32 |
8 | ![]() |
미구엘 알바리뇨 안토니오 페르난데스 후안 이그나시오 로드리게스 |
1986 | 59 | 39 |
9 | ![]() |
셰프 반 덴 버그 미치 딜레만스 릭 판 데르 펜 |
1981 | 67 | 23 |
10 | ![]() |
리아우 에가 아가타 헨드라 푸르나마 무하마드 위자야 |
1962 | 48 | 23 |
11 | ![]() |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다우메이다 베르나르도 올리베이라 다니엘 레젠데 자비에르 |
1948 | 44 | 23 |
12 | ![]() |
하지크 카마루딘 카이룰 아누아르 모하마드 무하마드 아크말 노르 하스린 |
1945 | 43 | 32 |
본선
[편집]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1 | ![]() | 6 | 55 | 59 | 57 | ||||||||||||||||||||||||||||||||||
9 | ![]() | 5 | 57 | 57 | 52 | 9 | ![]() | 0 | 52 | 54 | 54 | ||||||||||||||||||||||||||||
8 | ![]() | 1 | 54 | 52 | 52 | 1 | ![]() | 6 | 59 | 59 | 56 | ||||||||||||||||||||||||||||
5 | ![]() | 6 | 53 | 55 | 55 | 57 | 4 | ![]() | 0 | 57 | 58 | 54 | |||||||||||||||||||||||||||
12 | ![]() | 2 | 55 | 53 | 53 | 53 | 5 | ![]() | 3 | 57 | 54 | 52 | 50 | ||||||||||||||||||||||||||
4 | ![]() | 5 | 52 | 54 | 56 | 54 | |||||||||||||||||||||||||||||||||
1 | ![]() | 6 | 60 | 58 | 59 | ||||||||||||||||||||||||||||||||||
2 | ![]() | 0 | 57 | 57 | 56 | ||||||||||||||||||||||||||||||||||
3 | ![]() | 0 | 51 | 48 | 53 | ||||||||||||||||||||||||||||||||||
11 | ![]() | 2 | 51 | 53 | 56 | 53 | 6 | ![]() | 6 | 55 | 56 | 56 | |||||||||||||||||||||||||||
6 | ![]() | 6 | 54 | 57 | 53 | 58 | 6 | ![]() | 0 | 53 | 56 | 53 | 동메달전 | ||||||||||||||||||||||||||
7 | ![]() | 2 | 51 | 56 | 56 | 51 | 2 | ![]() | 6 | 57 | 58 | 55 | |||||||||||||||||||||||||||
10 | ![]() | 6 | 55 | 56 | 56 | 53 | 10 | ![]() | 2 | 51 | 57 | 56 | 51 | 4 | ![]() | 6 | 56 | 56 | 54 | 59 | |||||||||||||||||||
2 | ![]() | 6 | 57 | 54 | 57 | 56 | 6 | ![]() | 2 | 55 | 53 | 57 | 54 |
- 이탤릭체로 표기된 점수는 세트스코어다.
메달리스트
[편집]종목 | 금 | 은 | 동 |
---|---|---|---|
남자 단체 | ![]() 김우진 구본찬 이승윤 |
![]() 브레이디 엘리슨 제이크 커민스키 잭 개릿 |
![]() 앨릭 포츠 라이언 타이액 테일러 워스 |
각주
[편집]- ↑ Wells, Chris (2016년 8월 2일). “Beginners guide to archery at the Olympics”.
- ↑ Rio2016.com 보관됨 2016-08-06 - 웨이백 머신
- ↑ “Archived copy” (PDF). 7 August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5 August 2016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