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2013 EAFF Women's East Asian Cup | |
---|---|
대회 개요 | |
개최국 | ![]() |
개최 기간 | 7월 20일 ~ 7월 27일 |
예선 참가국 | 6개국 |
참가국 | 4개국 (1개 대륙) |
경기장 | 본선 서울・잠실・화성 예선 선전・조냐 |
최종 순위 | |
● 우승국 | ![]() |
● 준우승국 | ![]() |
● 3위 | ![]() |
● 4위 | ![]() |
통계 | |
총 경기수 | 6경기 |
득점 총합 | 12 (경기당 2골) |
최다 득점 선수 | ![]() ![]() |
최우수 선수 | ![]() |
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
← 2010 2015 → | |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의 가맹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여자 동아시안컵의 제4회 대회이다. 2005년부터 동아시안컵에 여자부 대회가 별도로 창설되어 추후의 동아시안컵에서는 남자부 대회와 여자부 대회가 모두 열린다. 당해 대회와 동일한 성격의 남자부 대회로는 2013년 EAFF 동아시안컵이 있다.
대회는 1라운드, 2라운드 및 결승 대회로 구성된다. 1라운드는 괌에서 2012년 7월 17일부터 2012년 7월 21일까지 개최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총 3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2라운드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2라운드는 중국에서 2012년 11월 20일부터 2012년 11월 24일까지 개최되었다. 2라운드에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당해 대회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으로부터 초청을 받아 2라운드부터 참가했다.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2013년 7월 20일부터 2010년 7월 27일까지 개최되었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목차
1라운드[편집]
1라운드는 괌에서 2012년 7월 17일부터 2012년 7월 21일까지 개최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총 3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2라운드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경기장[편집]
제4회 여자 동아시안컵 1라운드는 괌의 레오 팔라스 리조트에서 열렸다.
레오 팔라스 리조트 |
---|
![]() |
수용인원: N/A명 |
![]() |
대회 순위[편집]
2라운드 진출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 |
6 | 2 | 2 | 0 | 0 | 15 | 3 | +12 |
2 | ![]() |
3 | 2 | 1 | 0 | 1 | 9 | 4 | +5 |
3 | ![]() |
0 | 2 | 0 | 0 | 2 | 0 | 17 | -17 |
일정 및 결과[편집]
- 1차전
2012년 7월 17일 16:00 UTC+10 | ||||||
북마리아나 제도 ![]() |
0 – 6 | ![]() |
레오 팔라스 리조트, 조냐 관중수: 100명 심판: ![]() | |||
리포트 | 리셀라 ![]() 서버 ![]() 오델 ![]() 윌터 ![]() | |||||
- 2차전
2012년 7월 19일 16:00 UTC+10 | ||||||
북마리아나 제도 ![]() |
0 – 11 | ![]() |
레오 팔라스 리조트, 조냐 관중수: 100명 심판: ![]() | |||
리포트 | 응잉금 ![]() 펑감무이 ![]() 찬잉제 ![]() 포칭잉 ![]() 카스틸료 ![]() | |||||
- 3차전
2012년 7월 21일 16:00 UTC+10 | ||||||
괌 ![]() |
3 – 4 | ![]() |
레오 팔라스 리조트, 조냐 관중수: 450명 심판: ![]() | |||
서버 ![]() 페레즈 ![]() |
리포트 | 청웨이키 ![]() 찬잉제 ![]() 라우멍킹 ![]() 웡카만 ![]() | ||||
수상 내역[편집]
득점상 | MVP |
---|---|
![]() |
![]() |
2라운드[편집]
2라운드는 중국에서 2012년 11월 20일부터 2012년 11월 24일까지 개최되었다. 2라운드에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한다. 당해 대회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EAFF으로부터 초청을 받아 2라운드부터 참가했다.
경기장[편집]
제4회 여자 동아시안컵 2라운드는 중국의 선전 경기장(선전 FC 홈구장)에서 열렸다.
선전 경기장 |
---|
![]() |
수용인원: 32,500명 |
![]() |
대회 순위[편집]
결승 대회 진출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 |
9 | 3 | 3 | 0 | 0 | 10 | 1 | +9 |
2 | ![]() |
6 | 3 | 2 | 0 | 1 | 12 | 2 | +10 |
3 | ![]() |
3 | 3 | 1 | 0 | 2 | 2 | 10 | -8 |
4 | ![]() |
0 | 3 | 0 | 0 | 3 | 1 | 12 | -11 |
일정 및 결과[편집]
- 1차전
2012년 11월 20일 17:00 UTC+8 | ||||||
오스트레일리아 ![]() |
7 – 0 | ![]() |
선전 경기장, 선전 관중수: 523명 심판: ![]() | |||
길 ![]() 디 배나 ![]() 사이먼 ![]() 우준라르 ![]() |
리포트 | |||||
2012년 11월 20일 19:45 UTC+8 | ||||||
중국 ![]() |
6 – 0 | ![]() |
선전 경기장, 선전 관중수: 1,898명 심판: ![]() | |||
마샤오쉬 ![]() 푸웨이 ![]() 왕천 ![]() 왕산산 ![]() |
리포트 | |||||
- 2차전
2012년 11월 22일 17:00 UTC+8 | ||||||
오스트레일리아 ![]() |
4 – 0 | ![]() |
선전 경기장, 선전 관중수: 488명 심판: ![]() | |||
벗 ![]() 사이먼 ![]() 길 ![]() 캐틀리 ![]() |
리포트 | |||||
2012년 11월 22일 19:45 UTC+8 | ||||||
중화 타이베이 ![]() |
0 – 2 | ![]() |
선전 경기장, 선전 관중수: 1,563명 심판: ![]() | |||
리포트 | 장루이 ![]() 왕산산 ![]() | |||||
- 3차전
2012년 11월 24일 15:45 UTC+8 | ||||||
중국 ![]() |
2 – 1 | ![]() |
선전 경기장, 선전 관중수: 6,333명 심판: ![]() | |||
왕리쓰 ![]() 장루이 ![]() |
리포트 | 길 ![]() | ||||
2012년 11월 24일 18:30 UTC+8 | ||||||
중화 타이베이 ![]() |
2 – 1 | ![]() |
선전 경기장, 선전 관중수: 1,166명 심판: ![]() | |||
라이리친 ![]() |
리포트 | 찬잉제 ![]() | ||||
수상 내역[편집]
득점상 | MVP |
---|---|
![]() |
![]() |
결승 대회[편집]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2013년 7월 20일부터 2010년 7월 27일까지 개최되었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경기장[편집]
제4회 여자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의 서울월드컵경기장(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FC 서울 홈구장), 화성종합운동장(화성 FC 홈구장) 및 서울올림픽주경기장(서울 이랜드 FC 홈구장)에서 열렸다.
서울월드컵경기장 | 화성종합운동장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
![]() |
![]() |
![]() |
수용인원: 66,704명 | 수용인원: 35,270명 | 수용인원: 69,950명 |
![]() |
![]() |
![]() |
선수 명단[편집]
대회 순위[편집]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 |
7 | 3 | 2 | 1 | 0 | 3 | 1 | +2 |
2 | ![]() |
4 | 3 | 1 | 1 | 1 | 3 | 2 | +1 |
3 | ![]() |
3 | 3 | 1 | 0 | 2 | 4 | 5 | -1 |
4 | ![]() |
3 | 3 | 1 | 0 | 2 | 2 | 4 | -2 |
일정 및 결과[편집]
- 1차전
2013년 7월 20일 16:15 UTC+9 | ||||||
일본 ![]() |
2 – 0 | ![]()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관중수: 8,500명 심판: ![]() | |||
안도 ![]() 나카지마 ![]() |
리포트 | |||||
2013년 7월 21일 18:15 UTC+9 | ||||||
대한민국 ![]() |
1 – 2 | ![]()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관중수: 6,530명 심판: ![]() | |||
김수연 ![]() |
리포트 | 허은별 ![]() | ||||
- 2차전
2013년 7월 24일 17:15 UTC+9 | ||||||
대한민국 ![]() |
1 – 2 | ![]() |
화성종합운동장, 화성 관중수: 2,850명 심판: ![]() | |||
김나래 ![]() |
리포트 | 왕리쓰 ![]() 리잉 ![]() | ||||
2013년 7월 25일 17:15 UTC+9 | ||||||
일본 ![]() |
0 – 0 | ![]() |
화성종합운동장, 화성 관중수: 1,013명 심판: ![]() | |||
리포트 | ||||||
- 3차전
2013년 7월 27일 17:15 UTC+9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1 – 0 | ![]()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서울 관중수: 935명 심판: ![]() | |||
리은향 ![]() |
리포트 | |||||
2013년 7월 27일 한일전 20:00 UTC+9 | ||||||
대한민국 ![]() |
2 – 1 | ![]()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서울 관중수: 2,370명 심판: ![]() | |||
지소연 ![]() |
리포트 | 오기미 ![]() | ||||
우승국[편집]
EAFF 여자 동아시안컵 우승 |
---|
![]() |
제4대 동아시아 챔피언 (1회 우승) |
2013년 |
최종 순위[편집]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 |
3 | 2 | 1 | 0 | 3 | 1 | +2 | 7 |
2 | ![]() |
3 | 1 | 1 | 1 | 3 | 2 | +1 | 4 |
3 | ![]() |
3 | 1 | 0 | 2 | 4 | 5 | -1 | 3 |
4 | ![]() |
3 | 1 | 0 | 2 | 2 | 4 | -2 | 3 |
▲ 결승 대회 진출 | |||||||||
5 | ![]() |
3 | 2 | 0 | 1 | 12 | 2 | +10 | 6 |
6 | ![]() |
3 | 1 | 0 | 2 | 2 | 10 | -8 | 3 |
7 | ![]() |
3 | 0 | 0 | 3 | 1 | 12 | -11 | 0 |
▲ 2라운드 진출 | |||||||||
8 | ![]() |
2 | 1 | 0 | 1 | 9 | 4 | +5 | 3 |
9 | ![]() |
2 | 0 | 0 | 2 | 0 | 17 | -17 | 0 |
▲ 1라운드 진출 |
수상 내역[편집]
득점상 | MVP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