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포르투나
보이기
19 포르투나 ![]() | |
발견 | |
---|---|
발견자 | 존 러셀 하인드 |
발견일 | 1852년 8월 22일 |
궤도 성질 | |
궤도 긴반지름(a) | 2.441 |
근일점(q) | 2.052 |
원일점(Q) | 2.831 |
공전 주기(P) | 3.81(1393.378일) |
평균 공전 속도 | 18.94 |
궤도 경사(i) | 1.573 |
궤도 이심률(e) | 0.159 |
승교점 경도(Ω) | 211.379 |
근일점 편각(ω) | 182.091 |
물리적 성질 | |
분광형 | G |
지름 | (225×205×195)±12 km |
평균 밀도 | 2.70±0.48 g/cm3 |
질량 | 1.27×1019 |
탈출 속도 | 0.1190 km/s |
반사율 | 0.037 |
자전 주기 | 7.4432시간 |
겉보기등급 | +8.88~+12.95 |
절대등급(H) | +7.13 |
각지름 | 0.25"~0.072" |
평균 온도 | ~180 K |
19 포르투나(19 Fortuna)는 소행성대의 소행성 중 하나이다. 포르투나는 그 구성물이 세레스와 비슷한 우주 풍화를 겪은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포르투나의 지름은 225 km 이고, 알베도는 0.028~0.037로 측정되었다.
1993년, 허블 우주 망원경이 포르투나를 관측했다. 그 결과 겉보기 각지름이 0.2각초이고 그 모양은 거의 구형임을 알아냈다. 포르투나의 위성도 탐색을 했지만 실패했다.
포르투나는 1852년 8월 22일, 하인드가 발견했다. 포르투나라는 이름은 로마의 행운의 여신의 이름을 따왔다.
포르투나의 질량은 135 헤르타의 요동과 베어의 계산으로 1.08 × 1019 kg로 계산했다.[1] 후에 베어가 1.27 × 1019 kg라고 재계산했다.[2]
각주
[편집]- ↑ Baer, James; Steven R. Chesley (2008). “Astrometric masses of 21 asteroids, and an integrated asteroid ephemeris” (PDF). 《Celestial Mechanics and Dynamical Astronom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B.V. 2007) 100 (2008): 27–42. doi:10.1007/s10569-007-9103-8. 2011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Jim Baer (2008). “Recent Asteroid Mass Determinations”. Personal Website. 2013년 7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1월 2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Orbital simulation from JPL (Java) / Ephemeris
![]() |
이 글은 소행성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