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1986년 FIFA 월드컵 E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986년 FIFA 월드컵 E조는 1985년 FIFA 월드컵의 24개국이 출전한 조별 리그 6개 조들 중 하나로, 1986년 6월 4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되었다. 경기는 케레타로코레히도라 경기장네사우알코요틀네사 86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이 대회에서 본선에 처음으로 출전한 덴마크가 인상적인 활약으로 조 1위를 차지했는데, 숫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서독을 2-0으로 완파했다: 덴마크와 함께 서독이 16강전에 진출했다. E조 모든 경기를 통틀어 3명이 퇴장당했는데, 이 중 2장은 우루과이가 받았고, 우루과이는 16강 진출에도 불구하고 거친 견제를 남발하여 비난의 대상이 되었는데, 특히 스코틀랜드와의 최종전에서는 1분도 되지 않아 호세 바티스타가 퇴장당하기도 했다. 스코틀랜드의 알렉스 퍼거슨 감독은 국가대표팀 주장이었던 수네스를 제외하고 스트라컨과 앨비스턴이 그를 대신하도록 결정한 일을 "축구에서 저지른 최악의 실수"라고 회고했는데, 스코틀랜드는 우루과이전에서 수적 우세를 살리지 못하고 경기를 0-0으로 비겼고, 우루과이가 구사일생으로 16강에 진출했다.

대회 개막 전, 영어권 언론은 우루과이의 오마르 보라스 감독이 묘사한 "죽음의 조"와 관련해 보도를 냈는데, 이 명칭은 스페인어권에서 1970년 월드컵부터 상투적으로 쓰이는 문구였다.[1][2][3][4][5][6]

순위

[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덴마크 3 3 0 0 9 1 +8 6 결선 토너먼트 진출
2 서독 서독 3 1 1 1 3 4 −1 3
3 우루과이 3 0 2 1 2 7 −5 2
4 스코틀랜드 3 0 1 2 1 3 −2 1

경기

[편집]

하술할 모든 경기 시각은 중부 표준시를 기준으로 되어 있다. (UTC-6)

우루과이 vs 서독

[편집]
우루과이
서독
GK 12 페르난도 알베스
DF 2 넬손 구티에레스
DF 3 에두아르도 마리오 아세베도
DF 4 빅토르 디오고 Yellow card 28′
DF 6 호세 바티스타
MF 5 미겔 보시오
MF 8 호르헤 바리오스 (주장) 56분에 교체로 나옴 56′
MF 11 세르히오 산틴
MF 10 엔초 프란체스콜리
FW 9 호르헤 다 실바
FW 7 안토니오 알사멘디 80분에 교체로 나옴 80′
교체 선수:
MF 16 마리오 사랄레기 Yellow card 62′ 56분에 교체로 들어감 56′
FW 19 베난시오 라모스 80분에 교체로 들어감 80′
감독:
오마르 보라스
GK 1 하랄트 슈마허 (주장)
DF 2 한스-페터 브리겔
DF 4 카를하인츠 푀르슈터
DF 6 노르베르트 에더
DF 14 토마스 베어톨트
DF 15 클라우스 아우겐탈러
DF 3 안드레아스 브레메 46분에 교체로 나옴 46′
MF 10 펠릭스 마가트
MF 8 로타어 마테우스 75분에 교체로 나옴 75′
FW 19 클라우스 알로프스
FW 9 루디 푈러
교체 선수:
MF 7 피에르 리트바스키 46분에 교체로 들어감 46′
FW 11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75분에 교체로 들어감 75′
감독:
프란츠 베켄바워

스코틀랜드 vs 덴마크

[편집]
스코틀랜드 0–1 덴마크
리포트 엘키에르 57분에 득점 57′
스코틀랜드
덴마크
GK 1 짐 레이턴
DF 2 리처드 거프
DF 5 알렉스 매클리시
DF 6 윌리 밀러
DF 3 모리스 맬퍼스
MF 7 고든 스트라컨 74분에 교체로 나옴 74′
MF 8 로이 에이트켄
MF 4 그레임 수네스 (주장)
MF 13 스티브 니콜
FW 19 찰리 니콜라스
FW 20 폴 스투록 61분에 교체로 나옴 61′
교체 선수:
GK 12 앤디 고럼
DF 14 데이비드 네레이
MF 11 폴 맥스테이
FW 16 프랭크 매커비니 61분에 교체로 들어감 61′
FW 9 에이몬 배넌 74분에 교체로 들어감 74′
감독:
알렉스 퍼거슨
GK 1 트로엘스 라스무센
DF 3 쇠렌 부스크
DF 4 모르텐 올센 (주장)
DF 5 이반 닐센
DF 12 옌스 예른 베르텔센
MF 6 쇠렌 레르뷔
MF 8 예스페르 올센 80분에 교체로 나옴 80′
MF 15 프랑크 아르네센 74분에 교체로 나옴 74′
MF 11 미카엘 라우드루프
FW 9 클라우스 베르그렌 Yellow card 84′
FW 10 프레벤 엘키에르
교체 선수:
GK 16 올레 크비스트
DF 2 욘 시베베크 74분에 교체로 들어감 74′
MF 20 얀 바르트람
MF 7 얀 묄뷔 80분에 교체로 들어감 80′
FW 19 욘 에릭센
감독:
서독 제프 피온테크

서독 vs 스코틀랜드

[편집]
서독 서독 2–1 스코틀랜드
푈러 23분에 득점 23′
알로프스 49분에 득점 49′
리포트 스트라컨 18분에 득점 18′
서독
스코틀랜드
GK 1 하랄트 슈마허 (주장)
DF 2 한스-페터 브리겔 63분에 교체로 나옴 63′
DF 4 카를하인츠 푀르슈터
DF 6 노르베르트 에더
DF 14 토마스 베어톨트
DF 15 클라우스 아우겐탈러
MF 10 펠릭스 마가트
MF 8 로타어 마테우스
MF 7 피에르 리트바스키 75분에 교체로 나옴 75′
FW 19 클라우스 알로프스
FW 9 루디 푈러
교체 선수:
DF 17 디트마어 야콥스 63분에 교체로 들어감 63′
FW 11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75분에 교체로 들어감 75′
감독:
프란츠 베켄바워
GK 1 짐 레이턴
DF 2 리처드 거프
DF 6 윌리 밀러
DF 14 데이비드 네레이
DF 3 모리스 맬퍼스 Yellow card 74′
MF 9 에이몬 배넌 Yellow card 44′ 74분에 교체로 나옴 74′
MF 8 로이 에이트켄
MF 7 고든 스트라컨
MF 4 그레임 수네스 (주장)
MF 13 스티브 니콜 61분에 교체로 나옴 61′
FW 17 스티브 아치볼드 Yellow card 30′
교체 선수:
GK 12 앤디 고럼
10 짐 베트
MF 11 폴 맥스테이
MF 16 프랭크 매커비니 61분에 교체로 들어감 61′
MF 21 데이비 쿠퍼 74분에 교체로 들어감 74′
감독:
알렉스 퍼거슨

덴마크 vs 우루과이

[편집]
덴마크 6–1 우루과이
엘키에르 11분, 67분, 80분에 득점 11′67′80′
레르뷔 41분에 득점 41′
라우드루프 52분에 득점 52′
J. 올센 88분에 득점 88′
리포트 프란체스콜리 45분에 득점 45′ (페널티)
덴마크
우루과이
GK 1 트로엘스 라스무센
DF 3 쇠렌 부스크
DF 4 모르텐 올센 (주장)
DF 5 이반 닐센 Yellow card 7′
DF 21 헨리크 안데르센
DF 12 옌스 예른 베르텔센 57분에 교체로 나옴 57′
MF 6 쇠렌 레르뷔
MF 15 프랑크 아르네센
MF 11 미카엘 라우드루프 81분에 교체로 나옴 81′
FW 9 클라우스 베르그렌
FW 10 프레벤 엘키에르
교체 선수:
GK 22 라르스 회그
DF 2 욘 시베베크
MF 7 얀 묄뷔 57분에 교체로 들어감 57′
MF 8 예스페르 올센 81분에 교체로 들어감 81′
FW 19 욘 에릭센
감독:
서독 제프 피온테크
GK 12 페르난도 알베스
DF 2 넬손 구티에레스
DF 3 에두아르도 마리오 아세베도 (주장)
DF 4 빅토르 디오고
DF 6 호세 바티스타
MF 5 미겔 보시오 Yellow card 13′ Yellow-red card 19′
MF 16 마리오 사랄레기
MF 11 세르히오 산틴 57분에 교체로 나옴 57′
MF 10 엔초 프란체스콜리
FW 9 호르헤 다 실바 Yellow card 35′
FW 7 안토니오 알사멘디 57분에 교체로 나옴 57′
교체 선수:
GK 22 셀소 오테로
DF 14 다리오 페레이라
MF 17 호세 살라사르 57분에 교체로 들어감 57′
FW 19 베난시오 라모스 57분에 교체로 들어감 57′
FW 21 윌마르 카브레라
감독:
오마르 보라스

덴마크 vs 서독

[편집]
덴마크 2–0 서독 서독
J. 올센 43분에 득점 43′ (페널티)
에릭센 62분에 득점 62′
리포트
덴마크
서독
GK 22 라르스 회그
DF 2 욘 시베베크
DF 3 쇠렌 부스크
DF 4 모르텐 올센 (주장)
DF 21 헨리크 안데르센
MF 15 프랑크 아르네센 Yellow card 36′ Yellow-red card 88′
MF 7 얀 묄뷔
MF 8 예스페르 올센 71분에 교체로 나옴 71′
MF 6 쇠렌 레르뷔
MF 11 미카엘 라우드루프
FW 10 프레벤 엘키에르 46분에 교체로 나옴 46′
교체 선수:
FW 19 욘 에릭센 46분에 교체로 들어감 46′
FW 14 알란 시몬센 71분에 교체로 들어감 71′
감독:
서독 제프 피온테크
GK 1 하랄트 슈마허 (주장)
DF 4 카를하인츠 푀르슈터 71분에 교체로 나옴 71′
DF 5 마티아스 헤르게트
DF 6 노르베르트 에더 Yellow card 48′
DF 14 토마스 베어톨트
DF 17 디트마어 야콥스 Yellow card 51′
DF 3 안드레아스 브레메
MF 21 볼프강 롤프 46분에 교체로 나옴 46′
MF 8 로타어 마테우스
FW 19 클라우스 알로프스
FW 9 루디 푈러
교체 선수:
MF 7 피에르 리트바스키 46분에 교체로 들어감 46′
FW 11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71분에 교체로 들어감 71′
감독:
프란츠 베켄바워

스코틀랜드 vs 우루과이

[편집]
스코틀랜드 0–0 우루과이
리포트
스코틀랜드
우루과이
GK 1 짐 레이턴
DF 2 리처드 거프
DF 6 윌리 밀러 (주장)
DF 14 데이비드 네레이 Yellow card 48′
DF 15 아서 앨비스턴
MF 7 고든 스트라컨
MF 8 로이 에이트켄
MF 11 폴 맥스테이
MF 13 스티브 니콜 Yellow card 62′ 70분에 교체로 나옴 70′
FW 18 그레엄 샤프
FW 20 폴 스투록 70분에 교체로 나옴 70′
교체 선수:
GK 12 앤디 고럼
MF 10 짐 베트
FW 19 찰리 니콜라스 70분에 교체로 들어감 70′
MF 21 데이비 쿠퍼 70분에 교체로 들어감 70′
FW 17 스티브 아치볼드
감독:
알렉스 퍼거슨
GK 12 페르난도 알베스 Yellow card 87′
DF 2 넬손 구티에레스
DF 3 에두아르도 마리오 아세베도
DF 4 빅토르 디오고 Yellow card 72′
DF 6 호세 바티스타 Red card 1′
DF 14 다리오 페레이라
MF 8 호르헤 바리오스 (주장)
MF 11 세르히오 산틴
MF 10 엔초 프란체스콜리 84분에 교체로 나옴 84′
FW 21 윌마르 카브레라 Yellow card 32′
FW 19 베난시오 라모스 70분에 교체로 나옴 70′
교체 선수:
GK 1 로돌포 로드리게스
DF 13 세사르 베가
MF 16 마리오 사랄레기 70분에 교체로 들어감 70′
FW 7 안토니오 알사멘디 84분에 교체로 들어감 84′
FW 9 호르헤 다 실바
감독:
오마르 보라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Lacey, David (2004년 6월 7일). “Dial D for death: Three previous winners in one group is a sign of the times”. 《The Guardian》. 
  2. Lacey, David (1988년 11월 15일). “Robson landed with a flight of fancy; David Lacey on England's Concorde trip to Saudi Arabia for a friendly in the Gulf which stretches the credibility gap”. 《The Guardian》. 18면. Omar Borras, who managed the Uruguayans in the 1986 World Cup, went into the tournament remarking that their first-round draw with West Germany, Scotland and Denmark was "the group of death" 
  3. Jenkins, Garry; Pedro Redig; Antonio Pires Soares (1998). 《The beautiful team: in search of Pelé and the 1970 Brazilians》. Simon & Schuster. 22쪽. ISBN 0-684-81955-4. 사우다냐는 일찍이 기자들과 죽음의 조를 수식하며 이견이 없다고 밝혔다. 
  4. Motson, John; Nick Brownlee (2006). 《Motson's World Cup Extravaganza》. Robson. 171쪽. ISBN 1-86105-936-1. Group of Death - The term 'Group of Death' was first coined by the Mexican press in 1970 to describe Group 3 
  5. “México 1970” (스페인어). El Mercurio Online. Associated Press. 2002. 2009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3일에 확인함. Se puede decir que el primer "Grupo de la Muerte" en la historia lo fue el 3 
  6. “Futbol”. 《Hispano Americano; semanario de la vida y la verdad》 (스페인어) (Mexico: Tiempo) 57: 66, 103. 1970.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