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6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
---|---|---|---|---|
![]() | ||||
IOC 코드 | KOR | |||
NOC | 대한체육회 공식 웹사이트 | |||
1956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
참가 선수 | 4명 | |||
참가 종목 | 1개 종목 | |||
임원 | 1명 | |||
메달 집계 | ![]() 0 |
![]() 0 |
![]() 0 |
![]() 0 |
역대 선수단 | ||||
하계 올림픽 | ||||
동계 올림픽 | ||||
하계 청소년 올림픽 | ||||
동계 청소년 올림픽 | ||||
관련 참가국 | ||||
![]() | ||||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
1956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은 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에서 개최된 제7회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이다. 1952년 동계 올림픽은 한국전쟁 때문에 참가하지 못하였으며, 이번이 두번째 동계 올림픽 참가이다.
스피드스케이팅 한 종목에 총 네 명의 남자 선수가 출전하였으며, 메달권에 들지는 못했다.
참가[편집]
1955년 12월 동계 올림픽 참가 선수명단이 발표되었다. 감독 김정연을 필두로 스피드스케이팅 종목에 출전할 육군 출신의 장용, 조윤식, 김종순, 평창남 등 4명의 선수가 포함되었다.[1]
한편 이들 선수단은 올림픽이 끝난 뒤 2월 10일부터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리는 세계빙상선수권대회에 참가할 예정이었는데, 여자 종목이 없는 올림픽과는 달리 세계선수권 대회에는 여자 종목이 있어 이화여대의 최영해 선수가 올림픽 선수단과 함께 출발하게 되었다.[2]
선수단은 1956년 1월 8일 여의도공항에서 대한국민항공사 비행편을 타고 일본 도쿄를 거쳐 이탈리아로 떠났다.[2] 김종순의 증언에 따르면 당초 빙상연맹의 자금사정이 여의치 않아 실제 참가여부는 확실치 않았으나, 대회 직전 후원금이 모여 출발할 수 있었다고 전한다.[3]
올림픽 선수단은 1월 26일 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의 스타디움에서 열린 개막식에 참석하였으며, 태극기를 앞세우고 칠레와 핀란드 사이 순서로 입장했다. 개막식 당시 입었던 유니폼은 "스키모와 청색 팬츠, 황갈색 코트"로 전해지는데,[4] 이는 돈이 없어 미군 장교의 코트를 단복 삼아 입었고, 모자만 따로 사서 쓴 것이라고 전해진다.[5]
조윤식 선수의 회고에 따르면 선수단이 묵은 호텔에선 빵과 우유, 달걀을 아침으로 줬는데, 경기에 나서기엔 부족하다는 생각에 식당 측에 따로 문의하여 매 끼마다 스파게티를 먹었다고 한다. 올림픽을 마치고 호텔을 떠나는데 주방장이 "경기 기간 한국 선수들이 먹은 스파게티 면을 이어붙이면 한국까지 닿을 것"이란 농담을 할 정도였다고 한다.[5]
스피드 스케이팅[편집]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 네 명 모두 스피드스케이팅 종목에 출전하였으며, 세부종목은 총 세 개였다. 네 선수 모두 메달권 진입에는 실패하였으나, 남자 1500m 경기에서 장용 선수가 2분 16초 7로 한국 신기록을 경신하였다.[6]
선수 | 종목 | 기록 | 순위 |
---|---|---|---|
장용 | 500m | 43.5 | 28 |
1500m | 2:16.7 | 29 | |
5000m | 8:17.6 | 23 | |
조윤식 | 500m | 44.0 | 34 |
1500m | 2:20.0 | 공동 42위 | |
김종순 | 1500m | 2:20.5 | 44 |
5000m | 8:34.3 | 36 | |
10000m | 17:52.6 | 30 | |
평창남 | 1500m | 2:23.5 | 공동 51위 |
5000m | 8:36.7 | 37 |
각주[편집]
- ↑ 동기올림픽 선수단결정 출발은 1월상순경. 동아일보. 1955년 12월 17일자.
- ↑ 가 나 어제장도에 올림픽선수단. 동아일보. 1956년 1월 8일자.
- ↑ 황상호 (2018년 2월 13일). “"한국 동계 스포츠 발전상 놀라워" 1956년 이탈리아 겨울올림픽 출전 김종순씨”. 중앙일보. 2020년 8월 14일에 확인함.
- ↑ 태극기를 선두로 우리선수들 원기있게 입장, 동기올림픽 개막. 동아일보. 1958년 1월 28일자.
- ↑ 가 나 김현예 (2018년 2월 17일). “'밥심' 위해 쌀 공수, 배탈에 날아간 첫 메달···첫 동계올림픽 이야기”. 중앙일보. 2020년 8월 14일에 확인함.
- ↑ 장군 한국신기록 동계올림픽대회서. 동아일보, 1956년 2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