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단체 소구경 소총
보이기
19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단체 소구경 소총 | ||||||||||
---|---|---|---|---|---|---|---|---|---|---|
개최국 | 영국 | |||||||||
개최 도시 | 런던 | |||||||||
개최 기간 | 1908년 7월 11일 | |||||||||
경기장 | 비즐리 소총사격장 | |||||||||
참가국 | 3개국 | |||||||||
참가 선수 | 12명 | |||||||||
메달리스트 | ||||||||||
| ||||||||||
1912년 » |
19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
19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단체 소구경 소총은 1908년 하계 올림픽 사격의 15개 세부종목 중 하나로, 1908년 7월 11일 비즐리 소총사격장에서 열렸다. 총 3개국 12명의 선수가 참가하였으며, 참가국이 3개국이었던 관계로 선수 전원이 메달리스트가 되었다.[1]
한 팀당 4명의 선수가 소속되어 경기에 나섰으며, 장비는 초당 1,450피트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거나 단단한 금속 재질의 탄약 140발 이상으로 제한되었다. 확대경과 망원경은 사용이 금지되었다.[2] 각 선수는 50야드에서 20발, 100야드에서 20발씩 총 40발을 쐈다. 한 발당 최대 점수는 5점이었고, 선수당 최대 총점은 200점, 팀당 총점은 800점이었다.
단체 소구경 소총 종목은 차기 대회에서도 개최되었으나 50m 거리에서만 행해졌다. 1920년 하계 올림픽에서도 50m 종목이 치러졌다.[3]
경기 결과
[편집]순위 | 국가 | 선수 | 점수 | ||
---|---|---|---|---|---|
50야드 | 100야드 | 총점 | |||
1 | 영국 (GBR) | 팀 총점 | 387 | 384 | 771 |
모리스 매튜스 | 98 | 98 | 196 | ||
해롤드 험비 | 97 | 97 | 194 | ||
윌리엄 핌 | 99 | 93 | 192 | ||
에드워드 애무어 | 93 | 96 | 189 | ||
2 | 스웨덴 (SWE) | 팀 총점 | 373 | 364 | 737 |
빌헬름 칼베리 | 95 | 92 | 187 | ||
프란스알베르트 샤르타우 | 96 | 90 | 186 | ||
요한 휘브네르 본 홀스트 | 94 | 90 | 184 | ||
에리크 칼베리 | 88 | 92 | 180 | ||
3 | 프랑스 (FRA) | 팀 총점 | 359 | 351 | 710 |
폴 콜라스 | 96 | 93 | 189 | ||
앙드레 르고 | 91 | 95 | 186 | ||
레옹 레키예르 | 85 | 84 | 169 | ||
앙리 본푸아 | 87 | 79 | 166 |
각주
[편집]- ↑ “Shooting at the 1908 London Summer Games: Men's Small-Bore Rifle, Moving Target, 25 yards”. 《sports-reference.com》. 2020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18일에 확인함.
- ↑ Official Report, p. 37.
- ↑ “Historical Results”. ISSF. 2020년 12월 12일에 확인함.
출처
[편집]- Cook, Theodore Andrea (1908). 《The Fourth Olympiad, Being the Official Report》. London: British Olympic Association.
- De Wael, Herman (2001). “Shooting 1908”. 《Herman's Full Olympians》. 2011년 6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5월 1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