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 헤라
보이기
103 헤라 | |
발견 | |
---|---|
발견자 | James Craig Watson |
발견일 | 1868년 9월 7일 |
명칭 | |
임시 이름 | 1927 CV, 1950 CM |
궤도 성질 | |
궤도 긴반지름(a) | 2.702 |
근일점(q) | 2.4816 |
원일점(Q) | 2.9223 |
공전 주기(P) | 4.4414 |
평균 공전 속도 | 18.09 |
궤도 이심률(e) | 0.0815455 |
승교점 경도(Ω) | 5.421 |
근일점 편각(ω) | 136.276 |
평균 근점 이각(M) | 74.835 |
물리적 성질 | |
분광형 | S |
지름 | 91.2 km |
질량 | 7.9 × 1017 |
표면 중력 | 0.0255 m/s |
탈출 속도 | 0.0482 m/s |
절대등급(H) | 7.66 |
평균 온도 | ~170 K |
103 헤라는 1868년 9월 7일 앤아버에서 캐나다계 미국인 천문학자 제임스 크레이그 왓슨(James Craig Watson)에 의해 발견된 소행성대의 소행성이다.[1][2] 명칭은 그리스의 여신 헤라에서 온 것이다. S형 소행성이며 표면은 규산염으로 이루어졌다.[3]
2010년 라스크루시스에 위치한 오르간 메사(Organ Mesa) 천문대와 누나왈(Ngunnawal)에 위치한 헌터스 힐(Hunters Hill) 천문대에서 측정한 결과, 자전주기는 23.740 ± 0.001 시간, 광도곡선에 따르면 최대 광도는 0.45 ± 0.03 등급이다.[4]
IRAS로 측정한 결과, 직경은 91.58 ± 4.14 km이고 기하학적 반사율은 0.19 ± 0.02이다. 한편 스피처 우주망원경의 MIPS로 측정한 결과, 직경은 88.30 ± 8.51 km이고 기하학적 반사율은 0.20 ± 0.04이다. 소행성이 엄폐할 때 관측한 결과는 89.1 ± 1.1 km이다.[5]
각주 목록
[편집]- ↑ “103 Hera”.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2003년 8월 29일.
- ↑ "Numbered Minor Planets 1–5000", Discovery Circumstances, IAU Minor Planet center, retrieved 7 April 2013.
- ↑ DeMeo, Francesca E.; et al. (2011), "An extension of the Bus asteroid taxonomy into the near-infrared" (PDF), Icarus, 202 (1): 160–180, Bibcode:2009Icar..202..160D, doi:10.1016/j.icarus.2009.0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보관됨 2014-03-17 - 웨이백 머신 (PDF) on 17 March 2014, retrieved 22 March 2013. See appendix A.
- ↑ Pilcher, Frederick (January 2011), "Rotation Period Determination for 103 Hera", The Minor Planet Bulletin, 38 (1), p. 32, Bibcode:2011MPBu...38...32P.
- ↑ Ryan, Erin Lee; et al. (April 2012), "The Kilometer-Sized Main Belt Asteroid Population as Revealed by Spitzer", arXiv:1204.1116 [astro-ph.EP].
![]() |
이 글은 소행성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