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수)
(100000000000000000000에서 넘어옴)
100000000000000000000 | |
---|---|
읽는 법 | 해 |
세는 법 | 해 |
한자 | 垓 |
소인수 분해 | 220×520 |
2진수 | 10 0011 1000 0110 1111 0010 0110 1111 1100 0001 0000 0000 0000 00002 |
4진수 | 404412100000000000000004 |
8진수 | 4341571157602000008 |
12진수 | 795696BB297905412 |
16진수 | 2386F26FC1000016 |
φ(100000000000000000000) | 4000000000000000 |
σ*(100000000000000000000) | 1000244144722 |
d(100000000000000000000) | 289 |
σ(100000000000000000000) | 2499694822171 |
μ(100000000000000000000) | 0 |
M(100000000000000000000) | -3195437 |
수 목록 · 정수 | |
10해를 1제타(Zeta)라고 한다.
1해의 만 배인 자연수를 자(秭)라고 한다.
사용 예[편집]
수학[편집]
'해'는 수학 계산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1024 보다 작은 소수의 개수는 정확히 다음 개수만큼 존재한다. 즉, 184해 개 이상 존재한다.[1]
18,435,599,767,349,200,867,866
과학[편집]
해보다 큰 수[편집]
1020~1021[편집]
109418989131512359209: 342
135301852344706746049: 98번째 피보나치 수.
147573952589676412928: 267
295147905179352825856: 268
590295810358705651712: 269
1021~1022[편집]
1124000727777607680000: 22!
1180591620717411303424: 270, 컴퓨터 계산에서 1 ZiB라고 한다.
1022~1023[편집]
11111111111111111111111: 3번째 단위 반복 소수
1023~1024[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각주[편집]
- ↑ 정경훈 교수, 리만가설 이야기(8) 현대 수학 최대의 궁금증, 리만가설 - 네이버 캐스트
![]() |
이 글은 숫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