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루도 메디키날리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 | ||||||||||||||||||||
보전 상태 | ||||||||||||||||||||
---|---|---|---|---|---|---|---|---|---|---|---|---|---|---|---|---|---|---|---|---|
![]() 준위협(NT),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Hirudo medicinalis |
유럽의료용거머리(영어: European medicinal leech)는 거머리과 거머리속의 환형동물이다. 학명은 히루도 메디키날리스(학명: Hirudo medicinalis). 히루도속(Hirudo)의 다른 종은 때때로 의료용 거머리로 여러가지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즉, H. orientalis, H. troctina 및 H. verbana를 포함한다. 멕시코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거머리는 Hirudinaria manillensis이며, 미국,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거머리는 Macrobdella decora로 불리고 있다.
의료 용도[편집]
의료용 거머리는 약 60가지 단백질을 함유한 침을 분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거머리가 먹이를 먹을 때 유용한 다양한 목표를 달성하여 혈액을 액체 형태로 유지하고 인체의 혈액 흐름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분비 단백질 가운데 몇 가지는 히루딘(Hirudin)과 같은 항응고제 역할을 한다.[2][3]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Utevsky, S.; Zagmajster, M. & Trontelj, P. (2014). “Hirudo medicinali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4: e.T10190A21415816. doi:10.2305/IUCN.UK.2014-1.RLTS.T10190A21415816.en.
- ↑ Baskova, I.P.; Zavalova, Basanova; Moshkovskii, Zgoda (November 2004). “Protein Profiling of the Medicinal Leech Salivary Gland Secretion by Proteomic Analytical Methods”. 《Biochemistry》 69 (7): 770–775. doi:10.1023/b:biry.0000040202.21965.2a.
- ↑ “Biology”. 《Sangues Medicinales》. Ricarimpex. 2018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