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턱딱새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icto infobox reptile.png
흰턱딱새과
검은머리휘파람새
검은머리휘파람새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강
목: 참새목
아목: 참새아목
과: 흰턱딱새과
(Sylviidae)
Vigors, 1825

학명이명

Paradoxornithidae

  • 본문 참조

흰턱딱새과(Sylviidae)는 참새목에 속하는 조류과의 하나이다. 이전에는 현재의 휘파람새과(Cettiidae) 등을 아우르는 "휘파람새과"(Sylviidae)로 불렀고 70개 속 400여 종 이상을 포함하였으나, 현재는 분리되었다. 그리고 이전에 꼬리치레과로 분류하던 조류 속을 포함하여 새롭게 분류하고 있다. 주로 구대륙 저위도 지역에 분포하지만, 굴뚝새사촌만은 미국 서해안에 서식한다.

하위 속[편집]

주로 아시아에 분포하며, 아프리카와 유럽에도 일부 서식한다. 북아메리카 서부 해안 지역에 1개의 단일속이 분포한다.

  • 미조르니스속(Myzornis) - 단일종 Myzornis pyrrhoura[1]
  • 쇠흰턱딱새류
    • 아비시니아고양이새속 (Parophasma) - 단일종 아비시니아고양이새(Parophasma galinieri)
    • Pseudoalcippe - 단일종 Pseudoalcippe abyssinica(이전에는 꼬리치레과의 일라돕시스속(Illadopsis)에 포함)
    • Horizorhinus - 단일종 Horizorhinus dohrni(이전에는 꼬리치레과로 분류)
    • 리오프틸루스속 (Lioptilus) - 단일종 Lioptilus nigricapillus(이전에는 꼬리치레과로 분류)
    • 쇠흰턱딱새속 (Sylvia) - 쇠흰턱딱새 포함하여 약 20종.
  • 리오파루스속 (Lioparus) - 단일종 Lioparus chrysotis(이전에는 꼬리치레과의 알키페속(Alcippe, 현재는 땅꼬리치레과에 포함)에 포함)
  • 풀베타류
  • 붉은머리오목눈이류
    • 굴뚝새사촌속 (Chamaea) - 단일종 굴뚝새사촌(Chamaea fasciata)
    • Chleuasicus - 단일종 Chleuasicus atrosuperciliaris
    • 콜로르니스속 (Cholornis) - 2종(이전에는 Paradoxornithidae에 포함)
    • 코노스토마속 (Conostoma) - 단일종 Conostoma oemodium
    • Neosuthora - 단일종 Neosuthora davidiana
    • Paradoxornis - 3종(이전에는 Paradoxornithidae에 포함)
    • Psittiparus - 4종(이전에는 Paradoxornithidae에 포함)
    • 붉은머리오목눈이속 (Sinosuthora) - 6종(이전에는 Paradoxornithidae에 포함)
    • Suthora - 3종(이전에는 Paradoxornithidae에 포함)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흰턱딱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2]

흰턱딱새소목

힐리오타과

요정솔딱새과

박새과

스윈호오목눈이과

수염오목눈이과

종다리과

니카토르과

아프리카솔새과

개개비사촌과

섬개개비상과

그라우어솔새과

개개비과

섬개개비과

도나코비우스과

마다가스카르솔새과

프노이피가과

제비과

흰턱딱새상과

직박구리과

흰턱딱새과

동박새과

꼬리치레과

상사조과

땅꼬리치레과

오목눈이상과

솔새과

힐리아과

오목눈이과

Scotocercidae

아래는 제날그(Genalg) et al.(2009)등의 연구 결과로 토대로 작성한 계통수이다.[1] 흰턱딱새과 내부의 "~류"는 가상적으로 부여한 계통 분류명이다.

흰턱딱새과

미조르니속 (Myzornis)

쇠흰턱딱새류 - 쇠흰턱딱새속 (Sylvia) 포함

리오파루스속 (Lioparus)

풀베타류 - 풀베타속 (Fulvetta) 포함

붉은머리오목눈이류 - 붉은머리오목눈이속 (Sinosuthora) 포함

동박새과

꼬리치레과

각주[편집]

  1. Gelang, Magnus; Alice Cibois; Eric Pasquet; Urban Olsson; Per Alström; Per G. P Ericson (2009). “Phylogeny of babblers (Aves, Passeriformes): major lineages, family limits and classification”. 《Zoologica Scripta》 38 (3): 225–236. doi:10.1111/j.1463-6409.2008.00374.x. 
  2. Oliveros, C.H.; 외. (2019). “Earth history and the passerine superradi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6 (16): 7916–7925. doi:10.1073/pnas.1813206116. PMC 6475423. PMID 30936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