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방울새
![]() | |
---|---|
![]() 홍방울새 수컷 | |
![]() 홍방울새 암컷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참새목 |
과: | 되새과 |
속: | 방울새속 |
종: | 홍방울새 |
학명 | |
Carduelis flammea | |
Linnaeus,1758 | |
홍방울새의 분포 | |
![]() | |
보전상태 | |
|
홍방울새(common redpoll, Acanthis flammea)는 되새과에 속하는 새의 종이다. 쇠홍방울새 보다 남쪽에서 새끼를 낳으며 관목이나 덤불 지대에서도 서식한다.
되새과에 속하며 학명은 Carduelis flammea이다. 몸길이 12-15cm이고 암수 모두 턱밑이 검고 몸 아랫면은 흰색을 띠며, 옆구리에는 짙은색 줄무늬가 있다. 수컷은 가슴이 분홍색을 띤다. 탁 트인 평지의 자작나무와 침엽수림에서 번식하여 적갈색 반점이 있는 청색 알을 5-7개 낳는다. 주로 식물성 먹이를 먹고, 곤충을 먹기도 한다. 추운 지방에서 번식하고 남쪽으로 월동하러 이동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에 볼 수 있다. 매우 희귀한 겨울철새로 매년 관찰되지 않는다.
동명의 학명[편집]
- Carduelis flammea
- Carduelis rostrata
- Acanthis flammea
- Carduelis islandica
- Acanthis islandica
분류[편집]
홍방울새는 1758년 린네가 Fringilla flammea라는 이름의 학명으로 자신의 자연의 체계 제10권에 등재하였다.[1][2] 현재의 속명 Acanthis(아칸티스)는 현재는 식별되지 않는 작은 새의 이름이자 고대 그리스어 낱말인 akanthis, 그리고 불꽃색을 뜻하는 라틴어 낱말 flammea가 결합된 것이다.[3]
아종[편집]
A. f. flammea라는 지명 아종은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의 북부 지역에 서식한다. 그 외에도 아이슬란드의 아종으로서 Icelandic redpoll(학명: A. f. islandica)과 그린란드와 배핀섬에 서식하는 Greenland redpoll(학명: A. f. rostrata)이 있다.
- A. f. flammea – Mealy
- A. f. icelandica – Icelandic
- A. f. rostrata – Greenland
- A. f. cabaret - Lesser redpoll
각주[편집]
- ↑ Paynter, Raymond A. Jnr., 편집. (1968).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olume 14》. Cambridge, Massachusetts: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251쪽.
- ↑ Linnaeus, C. (1766).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Volume 1》 (라틴어) 10판. Holmiae:Laurentii Salvii. 182쪽.
- ↑ Jobling, James A. (2010).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London, United Kingdom: Christopher Helm. 29, 160쪽. ISBN 978-1-4081-2501-4.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Audio recordings from Xeno-canto
- Oiseaux.net Photos
- Common Redpoll Species Account - Cornell Lab of Ornithology
- Feathers of Common Redpoll (Carduelis flammea) Archived 2018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