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 바티스타
| ||||
![]() | ||||
기본 정보 | ||||
---|---|---|---|---|
국적 | 도미니카 공화국 | |||
생년월일 | 1980년 10월 19일 | (42세)|||
출신지 |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도밍고 | |||
신장 | 182.9 cm | |||
체중 | 93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외야수, 3루수 | |||
드래프트 순위 | 2000년 MLB드래프트 20라운드 전체 599순위로 피츠버그 파이리츠가 지명 | |||
첫 출장 | 2004년 4월 4일 보스턴 레드삭스전 | |||
연봉 | $14,000,000(2016년)[1] | |||
경력 | ||||
| ||||
도미니카 공화국 국가대표팀 | ||||
올림픽 | 2020 도쿄 | |||
WBC | 2009 로스앤젤레스, 2017 | |||
호세 안토니오 바티스타(José Antonio Bautista, 표준어: 호세 바우티스타, 1980년 10월 19일 ~ )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이다. 주로 맡는 수비 위치는 우익수이고, 과거에는 3루수도 맡아왔다. 2010년 바우티스타는 토론토 블루제이스 한 시즌 최다 홈런 신기록인 54개를 기록하며, MLB에서 50홈런 이상을 친 26인 중에 한 사람이 되었다. 그 시즌 그는 아메리칸 리그뿐만 아니라, 메이저 리그 통합 홈런왕이 되었다. 2011년에도 43홈런을 기록해 2년 연속으로 아메리칸 리그뿐만 아니라, 메이저 리그 통합 홈런왕을 차지했다.
메이저 리그 경력[편집]
2000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20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하지만, 2003년 룰5 드래프트를 통해 볼티모어 오리올스로 이적한다. 2004년 4월 4일 메이저 리그 데뷔 경기를 갖지만, 몇달 뒤 웨이버로 공시되고 탬파베이 데빌 레이스로 이적한다. 템파베이에서 캔자스시티 로열스, 뉴욕 메츠를 거쳐 다시 피츠버그 파이어리츠로 트레이드되는데, 한 시즌에 무려 5개의 소속팀을 가지게 된 것은 메이저 리그 역사상 최초의 일이다.
수상 경력[편집]
- 홈런왕 2회 : 2010년, 2011년
- 행크아론상 2회 : 2010년, 2011년
- 실버슬러거 2회 : 2010년, 2011년
- 메이저 리그 올스타전 선출 6회 : 2010년 ~ 2015년
-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5회 : 2010년 7월, 8월, 2011년 4월, 5월, 2012년 6월
연도별 타격 성적[편집]
연 도 |
소 속 |
경 기 |
타 석 |
타 수 |
득 점 |
안 타 |
2 루 타 |
3 루 타 |
홈 런 |
루 타 |
타 점 |
도 루 |
도 루 자 |
희 생 번 |
희 생 플 |
볼 넷 |
고 4 |
사 구 |
삼 진 |
병 살 타 |
타 율 |
출 루 율 |
장 타 율 |
O P S |
---|---|---|---|---|---|---|---|---|---|---|---|---|---|---|---|---|---|---|---|---|---|---|---|---|
2004년 | BAL/TB/KC/PIT | 64 | 96 | 88 | 6 | 18 | 3 | 0 | 0 | 21 | 2 | 0 | 1 | 1 | 0 | 7 | 0 | 0 | 40 | 1 | .205 | .263 | .239 | .502 |
2005년 | PIT | 11 | 31 | 28 | 3 | 4 | 1 | 0 | 0 | 5 | 1 | 1 | 0 | 0 | 0 | 3 | 0 | 0 | 7 | 2 | .143 | .226 | .179 | .404 |
2006년 | 117 | 469 | 400 | 58 | 94 | 20 | 3 | 16 | 168 | 51 | 2 | 4 | 3 | 4 | 46 | 2 | 16 | 110 | 12 | .235 | .335 | .420 | .755 | |
2007년 | 142 | 614 | 532 | 75 | 135 | 36 | 2 | 15 | 220 | 63 | 6 | 3 | 4 | 6 | 68 | 1 | 4 | 101 | 16 | .254 | .339 | .414 | .753 | |
2008년 | PIT/TOR | 128 | 424 | 370 | 45 | 88 | 17 | 0 | 15 | 150 | 54 | 1 | 1 | 8 | 4 | 40 | 5 | 2 | 91 | 12 | .239 | .313 | .405 | .718 |
2009년 | TOR | 113 | 406 | 336 | 54 | 79 | 13 | 3 | 13 | 137 | 40 | 4 | 0 | 6 | 2 | 56 | 1 | 4 | 85 | 9 | .235 | .349 | .408 | .757 |
2010년 | 161 | 683 | 569 | 109 | 148 | 35 | 3 | 54 | 351 | 124 | 9 | 2 | 0 | 4 | 100 | 2 | 10 | 116 | 10 | .260 | .378 | .617 | .995 | |
2011년 | 149 | 655 | 513 | 105 | 155 | 24 | 2 | 43 | 312 | 103 | 9 | 5 | 0 | 4 | 132 | 24 | 6 | 111 | 8 | .302 | .447 | .608 | 1.056 | |
2012년 | 92 | 399 | 332 | 64 | 80 | 14 | 0 | 27 | 175 | 65 | 5 | 2 | 0 | 4 | 59 | 2 | 4 | 63 | 11 | .241 | .358 | .527 | .886 | |
2013년 | 118 | 528 | 452 | 82 | 117 | 24 | 0 | 28 | 225 | 73 | 7 | 2 | 0 | 4 | 69 | 2 | 3 | 84 | 13 | .259 | .358 | .498 | .856 | |
2014년 | 155 | 673 | 553 | 101 | 158 | 27 | 0 | 35 | 290 | 103 | 6 | 2 | 1 | 6 | 104 | 11 | 9 | 96 | 18 | .286 | .403 | .524 | .928 | |
2015년 | 153 | 666 | 543 | 108 | 136 | 29 | 3 | 40 | 291 | 114 | 8 | 2 | 0 | 8 | 110 | 2 | 5 | 106 | 19 | .250 | .377 | .536 | .913 | |
통산:12년 | 1403 | 5642 | 4716 | 810 | 1212 | 243 | 16 | 286 | 2345 | 793 | 58 | 24 | 23 | 46 | 794 | 52 | 63 | 1010 | 131 | .257 | .368 | .497 | .865 |
- 2015시즌 종료 기준
- 각년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참조[편집]
- ↑ “Jose Bautista Statistics and History” (영어). baseballreference. 2016년 2월 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영어) 경력 통계와 선수 정보 - MLB, ESPN, Baseball-Reference.com, Fangraphs, The Baseball Cube
분류:
- 1980년 출생
- 살아있는 사람
- 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
-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외야수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우익수
- 볼티모어 오리올스 선수
- 탬파베이 레이스 선수
- 피츠버그 파이리츠 선수
- 토론토 블루제이스 선수
- 뉴욕 메츠 선수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선수
- 필라델피아 필리스 선수
-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
- 201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
- 아메리칸 리그 올스타
- 산토도밍고 출신
- 캔자스시티 로열스 선수
- 2020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도미니카 공화국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
- 2020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 실버 슬러거 상 수상자
- 미국에 거주한 도미니카 공화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