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저 터널

해저 터널(문화어: 물밑굴[1])은 해저에 만든 터널이다.
개요[편집]
해저 터널이 가장 많은 곳은 일본으로, 도쿄만 아쿠아라인, 세이칸 터널, 신칸몬 터널 등이 있다. 2개 이상의 국가를 잇는 해저 터널로는 덴마크와 스웨덴을 잇는 외레순 다리, 영국과 프랑스를 잇는 채널 터널, 에스토니아과 핀란드를 잇는 헬싱키-탈린 터널 등이 있다. 대한민국에는 경상남도 통영시에 통영해저터널이 있고,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동과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을 잇는 거가대교에 가덕해저터널이 있으며,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인천 ~ 김포 구간에 인천북항터널이 있다. 국도 제77호선 중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항과 원산도를 잇는 구간에는 보령해저터널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해저 터널이다.[A]
세계 최초의 해저 터널은 1910년에 지어진 이스트강 터널이며, 동양 최초의 해저 터널은 1932년에 지어진 통영해저터널이다.
장점[편집]
다리 대비[편집]
다리에 비해 장점이라 할 수 있는 부분은 선박이 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낮은 다리를 선박이 통과하려면 다리 상판을 열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교통정체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너무 높은 다리는 미관상 보기 좋지 않으며 건설비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리는 날씨의 영향으로 통행이 불가능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
페리 대비[편집]
단점[편집]
각주[편집]
- 내용
- 출처
- ↑ 단, 물밑굴이라는 표현은 하저 터널을 포함한 명칭이다.
- ↑ 최예린 (2017년 4월 17일). ““충남 서해 도로망을 바꾼다”…보령해저터널 36% 공사”. 《한겨레》. 2017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해저 터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이 글은 교통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