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포플루오로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이포플루오르 산에서 넘어옴)

하이포플루오로산
Hypofluorous acid
Hypofluorous acid
Gas-phase structure
Hypofluorous acid
이름
IUPAC 이름
Hypofluorous acid
별칭
Hydrogen hypofluorite
Hydrogen fluorate(-I)
Fluoric(-I) acid
Hydrogen monofluoroxygenate(0)
hydroxyl fluoride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mSpider
  • InChI=1S/FHO/c1-2/h2H 아니오아니오
    Key: AQYSYJUIMQTRMV-UHFFFAOYSA-N 아니오아니오
  • InChI=1/FHO/c1-2/h2H
    Key: AQYSYJUIMQTRMV-UHFFFAOYAN
  • OF
성질
HOF
몰 질량 36.0057 g mol−1
겉보기 pale yellow liquid above −117 °C
white solid below −117 °C
녹는점 −117 °C (−179 °F; 156 K)
끓는점
decomposes at 0 °C 틀:Reference needed
구조
Cs
위험
주요 위험 strong oxidizer, corrosive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관련 화합물
다른 양이온
lithium hypofluorite
관련 화합물
hypochlorous acid
nitroxyl
hydrogen cyanide
formaldehyde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하이포플루오로산(Hypofluorous acid) 또는 차아불소산은 화학식이 HOF인 화합물이다. 플루오린에 의하여 산화되면서 만들어진 중간 생산물이며 플루오린화 수소산소를 만들어낸다. 고체로 분리가 가능한 산이다. 하이포플루오로산은 매우 폭발적이게 산소와 HF로 분해되는 경향이 있다.[1] 얼음을 플루오로화시켜 순수한 형태로 분리시킨다.

고체 상태에서 화합물의 구조는 엑스선결정학을 통해 분석할 수 있으며,[1] 분자의 결합각은 101°이다. O-F 결합과 O-H결합은 각각 144.2, 96.4 피코미터이고, 고체상태에서는 O–H···O형태의 연결을 통해 사슬모양을 유지한다. 가스의 상태에서는 H-O-F 결합각은 97.2°로 고체일때보다 약간 더 작다.

플루오린산소산중 하나이다. 영하 40℃에서 얼음에 F2기체를 노출시킴으로써 얻어진 기체상태의 HOF를 농축하여 얻어낸다.

F2 + H2O → HOF + HF

상온에서는 매우 폭발적으로 플루오린화 수소산소 기체로 분리된다.

2 HOF → 2 HF + O2

아세토나이트릴속의 하이포플루오로산("젖은" 아세토나이트릴위로 기체상태의 플루오린을 노출시켜 생성할 수 있다.)은 친전자적인 산소 전달 물질이며,[2][3] 이를 페난트롤린과 반응시키면 1,10-phenanthroline dioxide를 내놓게된다.[4][5]

모든 구성 원자가 다르기 때문에 대칭 구조를 찾기 힘들다. 항등원 E와 세 원자를 지나는 거울형 대칭에 의해서만 대칭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분자 집단을 Cs로 지칭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W. Poll, G. Pawelke, D. Mootz, E. H. Appelman (1988). “The Crystal Structure of Hypofluorous Acid : Chain Formation by O-H · · · O Hydrogen Bonds”. 《Angew. Chem. Int. Ed. Engl.27: 392–3. doi:10.1002/anie.198803921. 
  2. S. Rozen; M. Brand (1986). “Epoxidation of Olefins with Elemental Fluorine in Water/Acetonitrile Mixtures”. 《Angew. Chem. Int. Ed.25 (6): 554–5. doi:10.1002/anie.198605541. 
  3. S. Dayan; Y. Bareket; S. Rozen (1999). “An efficient α-hydroxylation of carbonyls using the HOF·CH3CN complex”. 《Tetrahedron55 (12): 3657. doi:10.1016/S0040-4020(98)01173-9. 
  4. S. Rozen; S. Dayan (1999). “At Last, 1,10-Phenanthroline-N,N′-dioxide, A New Type of Helicene, has been Synthesized using HOF·CH3CN”. 《Angew. Chem. Int. Ed.38 (23): 3471–3. doi:10.1002/(SICI)1521-3773(19991203)38:23<3471::AID-ANIE3471>3.0.CO;2-O. 
  5. F. Linsker; R.L. Evans (1946). “Phenanthroline Di-N-oxides”. 《J. Am. Chem. Soc.68 (3): 403. doi:10.1021/ja01207a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