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피아노 협주곡 2번 (베토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아노 협주곡 2번 내림나장조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젊은 베토벤
(1801년, 카를 트라우곳 리델의 초상화)
조성내림나장조
작품번호19
작곡1786-90년 (1786-90) (개정. 1798년, 1801년)
헌정카를 니클라스 폰 니켈스베르크
출판1801년 12월 (라이프 치히, 호프마이스터 운트 퀴넬 사)
악장3
초연
날짜1795년 3월 29일 (1795-03-29)
장소빈: 부르크 극장
연주자루트비히 판 베토벤 (협연), 안토니오 살리에리 (지휘)

피아노 협주곡 2번 내림나장조, 작품 번호 19》는 주로 1786년에서 1790년에 걸쳐 루트비히 판 베토벤에 의해 쓰인 피아노 협주곡이다. 장르 일련번호에서는 《2번》이 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1번》보다 먼저 작곡되고 있다.

이 협주곡은 개인 저택에서 연주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어, 규모와 악기의 편성 면에서는 《1번》보다 작게 느껴지고, 하이든모차르트의 영향 또한 강하게 드리워져 있지만, 곳곳에 베토벤의 개성과 독창성이 나타나 있는 것을 엿볼 수 있다.

개요

[편집]

종래에는 1793년경부터 작곡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에는 1786년경(혹은 이듬해)부터 작곡에 착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피아노 협주곡 작품의 순열로서는 《피아노 협주곡 0번 내림마장조, WoO 4》 다음으로 작곡에 착수한 것이다.

이 악곡에는 개정된 원고까지 네 종류의 원고가 존재하며, 이들 원고는 각각 베토벤이 본에 살던 시기(1790년 무렵, 베토벤은 당시 20세)부터 1798년(베토벤은 당시 28세)에 걸쳐 작성되었다.[1][2] 초고(1786-90년)와 제1원고(1793년)에 이은 제3원고의 완성은 1795년 3월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같은 해 3월 29일에 부르크 극장에서 열린 빈 음악가협회의 자선 연주회에서[3] 살리에리의 지휘와 베토벤의 피아노 독주로 초연이 진행되었다(이 초연은 베토벤에게 있어서 첫 빈에서의 데뷔였다). 그리고 1798년에 이 악곡은 프라하에서 재작업 및 재제안이 이루졌으며, 실제로는 1801년에 이르러 또 다른 수정을 거쳐 드디어 출판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최종 완성된 악보의 초판은 1801년 12월에 라이프 치히의 호프마이스터 운트 퀴넬 출판사를 통해 간행되었으며, 헌정은 빈의 궁중 고문관인 카를 니클라스 폰 니켈스베르크에 이루어졌다.[4]

카덴차는 베토벤 자신이 한 작품을 썼으며, 81개의 마디로 되어 있다. 그의 후원자이자 제자인 오스트리아의 루돌프 대공을 위해 1809년경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개정

[편집]

베토벤은 이 악곡에 관하여 네 차례에 걸쳐 개정을 실시했다. 하지만, 그의 서한에서 "별로 최고의 작품이라고 말할 수 없다"라고 말하고 있다.[4]

원고와 작곡 시기 비고
초고 1786-90년 본에서 활동하던 시기에 완성되었다.
제1원고 1793년 본래 최종악장으로 계획되었던 내림나장조의 론도(WoO 6)는 이 개정 시에 만들어져 같은 해에 연주되었지만, 베토벤은 세 번째 원고의 작업시 이 론도 악장을 제외했다(이 론도는 사후 발견되었다).
제2원고 1794-5년 빈에서 작업되었다. 전술대로 계획되었던 론도 악장을 제외하고 현재 알려진 형태의 악장을 작성했다. 또한, 1악장의 일부와 피아노 파트의 변경을 시행했다.
제3원고 1798년 최종 원고. 베토벤의 세번째 프라하 여행 중(1798년 10월) 작업되었다. 이 네 번째 원고의 초연은 마찬가지로 프라하에서 행해졌다.

실제로는 이 작품에 관하여 1801년에 또 다른 수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악기 편성

[편집]

이 악곡의 악기 편성이 소규모인 이유는, 처음으로 귀족의 사저에서 연주하는 것을 상정하며 작곡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독주 악기 오케스트라
목관 악기 금관 악기 현악 합주단
피아노 플루트 1 호른 2 제1바이올린
기타 오보에 2 기타 제2바이올린
바순 2 비올라
기타 첼로
콘트라베이스

악장 구성

[편집]

이 협주곡은 전3악장으로 구성되며, 총 연주 소요 시간은 약 28분 정도이다.

제1악장. 알레그로 콘 브리오

[편집]

내림나장조, 협주풍 소나타 형식, 4/4 박자. 13분에서 14분 정도 소요.

두 개의 상반된 동기로 구성된 주제로 시작되는 악장이다. 첫 번째 동기는 포르테로, 역동적이면서 독특함과 활력이 넘친다. 두 번째 동기는 본질적으로 칸타빌레로, 넓은 범위로 확산된다. 두 번째 주제로의 전환은 다장조에서 라장조로의 놀라운 반전을 통해 진행되는데, 이는 후기 베토벤의 특징이기도 하다. 이 주제는 내림라장조에 등장, 화려한 멜로디와 함께 노래하는 성격을 띠는데, 이것은 전체 악장에서 더 서정적인 특성을 만들어 내고, 피아노 파트의 구성에도 반영된다. 하지만, 《피아노 협주곡 1번》보다는 덜 비르투오스적이다. 악장 전체에서 반음계법을 종종 사용하는 것은 모차르트를 연상시킨다.

카덴차는 베토벤이 직접 작곡한 다소 어려운 것이 있다. 형식적으로 카덴차는 협주곡과는 매우 다르지만, 그것은 첫 번째 서두의 주제를 이용한다. 베토벤은 이 선율을 카덴차에 몇 가지 다른 방식으로 적용하고 있는데, 매번 그 특성을 바꾸면서 음악적 주제를 사용하고 느낄 수 있는 수많은 방법을 보여준다.

제2악장. 아다지오

[편집]

내림마장조, 변주곡 형식에 의한 완서악장, 3/4 박자, 8분에서 9분 정도 소요.

아다지오는 꿈결 같은 변형 세트이다. 음악적 사고의 표현력은 《피아노 협주곡 1번》의 중간 악장에는 거의 미치지 못하지만, 이 악장에는 풍부한 시적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다. 독주의 피아노는 다양한 형식으로 꾸며져 있다.

제3악장. 론도. 몰토 알레그로

[편집]

내림나장조, 론도 소나타 형식, 6/8 박자, 5분에서 6분 정도 소요.

이 론도는 1795년에 쓰인 것으로, 그 해 이루어진 빈에서의 작품의 초연에서 바로 선보여지고 있다. 론도 소나타 형식의 사용은 하이든의 영향을 보여주는 것이다.

독주의 피아노는 최종 론도의 주요 주제를 제시한다. 여기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두 번째 박의 강조인데, 이는 변덕스럽고 탐구적인 성격을 띠게 한다. 중간 부분에서는 주제의 불규칙한 흐름을 유지하는 주요 주제를 단조로 효과적으로 전환한다. 전체적으로는 즐겁고 평온한 분위기를 갖고 있다.

영향

[편집]

이 피아노 협주곡은 1795년 3월 29일에 빈에서 베토벤의 피아노 독주로 초연되었다. 베토벤은 이 작품을 최고의 작품 중 하나로 간주하지 않았으며, 1794-5년, 1798년에 재작업했다. 그리고, 1801년에 《피아노 협주곡 1번》과 함께 인쇄에 들어갔을 때 최종의 형태를 찾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토벤은 1809년에 루돌프 대공을 위해 카덴차를 추가했다.

이 작품은 인기와 연주의 빈도 측면에서 베토벤의 다른 피아노 협주곡보다 다소 뒤쳐져 있다. 이 작품과 함께 베토벤의 초기 협주곡을 대표하는 《피아노 협주곡 1번》은 종종 더 높이 평가되고 자주 공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론의 여지가 없는 특성으로 인해 오늘날 공연홀에서 작품이 전시되고 있다.

각주

[편집]
  1.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전집 해설서> p.8-9
  2.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전집 해설서> p.8
  3. 이 자선연주회는 같은 지역의 음악협회가 미망인(과부)의 구제를 위해 개최한 연주회였다(최신 명곡 해설 전집 9 협주곡 2 p.183)
  4. <작곡가 별명곡 해설 라이브러리 3 베토벤> p.123
  5. 음악지우사 (1980년) <최신 명곡 해설 전집 9 협주곡 2> p.183
  6. 이 초연과 프라하 연주회에서는 대부분 즉흥적으로 연주했다고 전해진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