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음문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표음문자(表音文字)는 사람의 말소리를 기호로 나타낸 문자로서 소리글자라고도 한다. 이글을 쓰고 있는 한글은 표음문자이다.

하나의 문자가 하나의 음소에 대응하는 음소 문자와 하나의 음절을 나타내는 음절 문자로 나뉜다.

표음문자와 표음성[편집]

표음문자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는 것은 표음성이다. 표음성은 어떤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자나 언어의 우수성과는 전혀 무관하기에, 표음성이 좋은 것을 문자의 과학성이라고 주장할 근거는 없다. 표음성은 언어의 철자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영어의 경우 언어의 발음이 수백 년간 달라진 것에 비해 철자법이 거의 변하지 않았으며, 한국어는 한글 창제 당시의 표음성이 지금은 거의 사라졌고, 근대사회 이후 형태학적 철자법(이를테면 깬닙, 항녁, 막따, 말꼬 등의 발음을 '깻잎', '학력', '맑다' '맑고'로 쓰는 것)을 사용하면서 세계적으로 표음성이 낮은 언어에 속하게 되었다.

세계의 수많은 언어들 중에도 표음성이 좋은 언어는 많지 않다. 세계 언어들 중 라틴어, 스페인어, 갈리시아어, 바스크어, 이탈리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 마케도니아어, 라트비아어, 아르메니아어, 조지아어, 알바니아어,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 우즈베크어, 카자흐어, 산스크리트어,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마인어, 에스페란토 등이 표음성이 높은 언어(문자언어)로 알려져 있다. 이들 언어의 특징은 문자언어에서 음성언어에 대응되는 적합한 철자법(맞춤법)을 사용한다는 데 있다.

참조 항목[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