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파티딜이노시톨 3-인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인산
이름
별칭
sn-1-stearoyl-2-arachidonoyl phosphatidylinositol 3-phosphate
식별자
약어 PtdIns3P,
PtdIns(3)P,
PI3P,
PI(3)P
성질
C11H20O16P2
몰 질량 470.214 g/mol, 지방산 조성이 있는 중성 - 18:0, 20:4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예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인산(영어: phosphatidylinositol 3-phosphate, PI3P)은 세포막에서 발견되는 인지질로, 그 중 다수가 단백질 수송에 관여하는 다양한 단백질들을 막으로 모으는 데 도움을 준다. 포스파티딜이노시톨에 대한 클래스 II 및 클래스 III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네이스(PI3K) 활성의 산물이다.[1]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인산은 이노시톨 고리의 D3 위치에서 인산가수분해효소미오튜불라린 계열에 의해 탈인산화되고, 지질 키네이스 PIKfyve에 의해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5-이중인산(PI(3,5)P2)으로 전환될 수 있다.[2]

SNX1, HGSEEA1과 같은 단백질에서 발견되는 FYVE 도메인PX 도메인은 모두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인산에 결합한다.[3]

대부분의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인산은 세포 내 섭취 중인 막에서 클래스 III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네이스, PIK3C3 (Vps34)에 의해 구성적으로 합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클래스 II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네이스도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인산을 합성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들의 활성은 생장인자를 포함한 다양한 자극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인산의 특정 풀이 세포 자극시 합성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Gillooly DJ, Simonsen A, Stenmark H (April 2001). “Cellular functions of phosphatidylinositol 3-phosphate and FYVE domain proteins”. 《The Biochemical Journal》 355 (Pt 2): 249–58. doi:10.1042/0264-6021:3550249. PMC 1221734. PMID 11284710. 
  2. De Craene JO, Bertazzi DL, Bär S, Friant S (March 2017). “Phosphoinositides, Major Actors in Membrane Trafficking and Lipid Signaling Pathway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18 (3): 634. doi:10.3390/ijms18030634. PMC 5372647. PMID 28294977. 
  3. Stenmark H, Aasland R, Driscoll PC (February 2002). “The phosphatidylinositol 3-phosphate-binding FYVE finger”. 《FEBS Letters》 513 (1): 77–84. doi:10.1016/s0014-5793(01)03308-7. PMID 119118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