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작(扁鵲,BC401~BC310)은 약2500년전 춘추전국시대에 살았던 발해군(현 하북성산동성) 출신의 명의이다.

(虢)나라의 태자를 살리고 (齊)나라의 환공(桓公)의 병세를 진단한 것으로 전해지며 (魏)나라 문후가 편작에게 의술(醫術)에대하여 물은 것으로 전해진다.[1][2] 난경(難經)은 그의 저서로 잘알려져있다. 난경은 그 당시까지의 난해하고 어려운 의학적 표현을 주요하고 간결하며 체계적인 분류를 염두에 둔 문답 형식으로 서술되어있다. 난경의 원제목은 황제팔십일난경(黃帝八十一難經)이다.[3]

불치병[편집]

사마천사기 편작 열전(列傳)에서 이어서 언급하기를

使聖人預知微,能使良醫得蚤從事,則疾可已,身可活也。人之所病,病疾多,而醫之所病,病道少. 故病有六不治,驕恣不論於理,一不治也,輕身重財,二不治也,衣食不能適,三不治也,陰陽并,藏氣不定,四不治也,形羸不能服藥,五不治也,信巫不信醫,六不治也. 有此一者,則重難治也.
성인으로 하여금 (병의) 기미를 미리 알아 능히 어진 의사로 하여금 재빨리 그 일을 쫓아 (치료를)얻으면 곧 병이 낫아 몸을 살릴수있는 것이다. 사람들의 병인바는 병이 많음을 근심하는 것이다. 의사의 병인바는 (치료)방법이 적음을 근심하는 것이다. 이런까닭에 (스스로) 치료하지 않는병 6가지가있다. 교만하거나 자만하여 사리를 살피지않으니 첫번째 불치병이다. 몸을 가볍게 생각하고 재물을 중히 여기니 두번째 불치병이다. 입는것과 먹는것을 (절제를 잃어) 적시적소하지 않으니 세번째 불치병이다. 음과 양이 병립하나 (다스리지못해) 오장육부의 기(氣)가 안정되지않으니 네번째 불치병이다. 몸을 함부로대하여 약이 듣지않으니 다섯번째 불치병이다. 점치는것은 믿고 의사의 말은 믿지않으니 여섯번째 불치병이다. 이중 하나라도 있다면 중하니 치료하기 어렵다.[4]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사마천 사기卷一百零五 扁鵲倉公列傳 第45 위키문헌 中文
  2. 위키문헌 (한비자제21, 喻老)有形之類,大必起於小;行久之物,族必起於少。故曰:“天下之難事必作于易,天下之大事必作於細。”是以欲制物者於其細也。故曰:“圖難於其易也,為大於其細也。”千丈之堤,以螻蟻之穴潰;百步之室,以突隙之煙焚。故曰:白圭之行堤也塞其穴,丈人之慎火也塗其隙,是以白圭無水難,丈人無火患。此皆慎易以避難,敬細以遠大者也。扁鵲見蔡桓公,立有間。扁鵲曰:“君有疾在腠理,不治將恐深。”桓侯曰:“寡人無疾。”扁鵲出,桓侯曰:“醫之好治不病以為功。”居十日,扁鵲復見曰:“君之病在肌膚,不治將益深。”桓侯不應。扁鵲出,桓侯又不悅。居十日,扁鵲復見曰:“君之病在腸胃,不治將益深。”桓侯又不應。扁鵲出,桓侯又不悅。居十日,扁鵲望桓侯而還走。桓侯故使人問之,扁鵲曰:“病在腠理,湯熨之所及也;在肌膚,針石之所及也;在腸胃,火齊之所及也;在骨髓,司命之所屬,無奈何也。今在骨髓,臣是以無請也。”居五日,桓侯體痛,使人索扁鵲,已逃秦矣。桓侯遂死。故良醫之治病也,攻之於腠理。此皆爭之於小者也。夫事之禍福亦有腠理之地,故聖人蚤從事焉。 昔晉公子重耳出亡,過鄭,鄭君不禮。叔瞻諫曰:“此賢公子也,君厚待之,可以積德。”鄭君不聽。叔瞻又諫曰:“不厚待之,不若殺之,無令有後患。”鄭君又不聽。及公子返晉邦,舉兵伐鄭,大破之,取八城焉。晉獻公以垂棘之璧假道于虞而伐虢,大夫宮之奇諫曰:“不可。脣亡而齒寒,虞、虢相救,非相德也。今日晉滅虢,明日虞必隨之亡。”虞君不聽,受其璧而假之道。晉已取虢,還,反滅虞。此二臣者皆爭於腠理者也,而二君不用也。然則叔瞻、宮之奇亦虞、虢之扁鵲也,而二君不聽,故鄭以破,虞以亡。故曰:“其安易持也,其未兆易謀也。” (https://zh.wikisource.org/wiki/%E9%9F%93%E9%9D%9E%E5%AD%90/%E5%96%BB%E8%80%81 )
  3. (위키문헌-난경)黃帝八十一難經 - https://zh.wikisource.org/wiki/%E9%9B%A3%E7%B6%93
  4. (사마천 사기 卷一百零五 扁鵲倉公列傳 第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