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타닐
![]()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N-phenyl-N-[1-(2-phenylethyl)piperidin-4-yl]propanamid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437-38-7 |
ATC 코드 | N01AH01 N02AB03 |
PubChem | 3345 |
드러그뱅크 | DB00813 |
ChemSpider | 3228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22H28N2O |
분자량 | ?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물리적 성질 | |
밀도 | 1.1 g/cm³ |
녹는점 | 87.5 °C (190 °F)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92% (transdermal) 89% (intranasal) 50% (buccal) 33% (ingestion) 100% (intramuscular)/> 55% (inhaled) |
단백질 결합 | 80–85% |
약물 대사 | Liver, primarily by CYP3A4 |
생물학적 반감기 | IV: 6 mins (T1/2 α) 1 hours (T1/2 β) 16 hours (T1/2 ɣ) Intranasal: 6.5 hours Transdermal: 20–27 hours[1] Sublingual/buccal (single dose): 2.6–13.5 hours[1] |
배출 | Mostly urinary (metabolites, <10% unchanged drug)[1]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C(오스트레일리아) C(미국) |
법적 상태 | 통제 (S8) (오스트레일리아) Schedule I (캐나다) Class A (영국) Schedule II (미국) |
중독 경향 | High[2] |
투여 방법 | Buccal, epidural, IM, IT, IV, sublingual, skin patch |
펜타닐(영어: fentanyl 또는 fentanil)은 오피오이드계의 강력한 마약성 진통제로 효과는 오피오이드계 몰핀보다 80배 이상 강하다. 호흡 억제 작용이 약해 마취 보조제나 진통제로 사용하며, 약효는 한 두 시간이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붙여 사용할 수 있는 패치로 많이 사용된다.
역사[편집]
펜타닐은 1950년대 후반에 발견되었고, 1960년대 들어 'Sublimaze'라는 이름의 정맥주사 마취제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60년 폴 얀센(Paul Janssen)이 처음 만들었고, 1968년 미국에서 의학적 용도로의 사용이 승인되었다.
2002년 10월 모스크바 극장에서 있었던 인질극에서 테러범들을 진압하기 위해 할로탄가스와 펜타닐이 혼합된 가스를 사용해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기도 하였다.
종류[편집]
- 알펜타닐 (영어: Alfentanil)
- 서펜타닐 (영어: Sufentanil) : 심장수술에 사용하며 펜타닐보다 5~7배 강한 진통제이며, 펜타닐의 황(Sulfur) 합성물이다.
- 레미펜타닐(영어: Remifentanil)
- 3메틸펜타닐(영어: 3─methylfentanyl)
- 카펜타닐 (영어: Carfentanil) : 펜타닐보다 100배 정도 강한 진통제.
각주[편집]
- ↑ 가 나 다 “Fentanyl, Fentanyl Citrate, Fentanyl Hydrochlorid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14 December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7에 확인함.
- ↑ Bonewit-West, Kathy; Hunt, Sue A.; Applegate, Edith (2012). 《Today's Medical Assistant: Clinical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영어). Elsevier Health Sciences. 571쪽. ISBN 9781455701506.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펜타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