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보이기
언론 |
---|
![]() |
분야 |
장르 |
사회적 영향 |
언론 매체 |
언론인 유형 |
팩트체크(fact-checking), 또는 사실확인은 정확성 확인을 위해 논픽션 문구에서 정보의 사실 여부를 검증하는 과정이다. 팩트체크는 문구가 출판되기 전(ante hoc)이나 후(post hoc)에 수행될 수 있다.[1] 내부 팩트체크는 출판자가 내부적으로 수행하는 팩트체크를 말하며 텍스트가 타사에 의해 분석되는 과정은 외부 팩트체크라고 한다.[2]
팩트체크를 하는데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수단 중 하나가 교차 검증이다.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팩트체크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Duke Reporters Lab
- Example of fact-checking with image of fact-checker's notes from ProPublica
- 팩트체크넷: 시청자미디어재단 (방송법 제90조의2)의 예산으로 2020년 11월 개설 보관됨 2022-01-28 - 웨이백 머신[3]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SNU FactCheck
각주
[편집]- ↑ Fellmeth, Aaron X.; Horwitz, Maurice (2009). 〈Ante hoc〉. 《Guide to Latin in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acref/9780195369380.001.0001. ISBN 978-0-19-536938-0.
- ↑ Graves, Lucas; Amazeen, Michelle A. (2019년 2월 25일), 〈Fact-Checking as Idea and Practice in Journalism〉,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Communication》 (영어),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acrefore/9780190228613.013.808, ISBN 9780190228613
- ↑ 방송기자연합회, 한국PD연합회, 한국기자협회 등 단체와 언론사들은 2020년 11월 12일 방통위 예산지원을 통해 팩트체크하는 '팩트체크넷'을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