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럴림픽 패러카누
패럴림픽 패러카누 | |
---|---|
![]() Paracanoeing | |
세부 종목 | 8개 종목 |
남자 종목 | 4개 종목 |
여자 종목 | 4개 종목 |
하계 패럴림픽 | |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
메달리스트 · 경기장 |
패럴림픽 패러카누는 패럴림픽에서 패러카누로 승부를 겨루는 패럴림픽 경기 종목이다. 2010년 중국 광저우에서 개최된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회의에서 하계 패럴림픽에 패러카누를 추가하기로 결정한 후[1] 2016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처음 종목으로 채택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2][3][4]
패러카누는 신체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을 위해 카누를 변형한 스포츠로, 카누와 마찬가지로 국제 카누 연맹이 관리하고 있다.[5]
세부종목
[편집]하계 패럴림픽에서의 패러카누는 직선 200m를 달리는 단거리 경주 형식으로 진행되며,[6] 성별과 장애 분류에 따라 총 여덞 부분으로 나눠 치뤄진다.[5]
장비
[편집]2016년 하계 패럴림픽에서 처음 진행된 패러카누 경기에서는 단일 카약(K1)을 사용하였으며,[6] 2020년에는 현외 장치가 달려 있고 외날 노를 사용해 나아가는 배인 바(Va'a)가 추가되었다.[7]
선수 분류
[편집]패럴림픽 패러카누에서는 선수의 신체적 장애에 따라 세 분류로 나누어 경기를 진행한다.[6]
- KL1: 노를 젓는 데 팔만 사용.
- KL2 / VL2: 노를 젓는 데 팔과 몸을 사용.
- KL3 / VL3: 노를 젓는 데 팔, 몸, 다리를 모두 사용.
메달 집계
[편집]순위 | 국가 | ![]() |
![]() |
![]() |
합계 |
---|---|---|---|---|---|
1 | ![]() |
10 | 5 | 5 | 20 |
2 | ![]() |
4 | 3 | 2 | 9 |
3 | ![]() |
3 | 4 | 1 | 8 |
4 | ![]() |
2 | 4 | 2 | 8 |
5 | ![]() |
2 | 1 | 1 | 4 |
6 | ![]() |
1 | 2 | 4 | 7 |
7 | ![]() |
1 | 0 | 1 | 2 |
![]() |
1 | 0 | 1 | 2 | |
9 | ![]() |
1 | 0 | 0 | 1 |
10 | ![]() |
0 | 2 | 3 | 5 |
11 | ![]() |
0 | 1 | 1 | 2 |
7 | ![]() |
0 | 1 | 0 | 1 |
![]() |
0 | 1 | 0 | 1 | |
![]() |
0 | 1 | 0 | 1 | |
15 | ![]() |
0 | 0 | 1 | 1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
18개국 합계 | 25 | 25 | 25 | 75 |
메달리스트
[편집]KL1
[편집]KL1 분류는 다리를 움직일 수 없고, 몸을 움직일 수 없거나 거의 움직이지 못하는 선수를 가리킨다.[8]
- 남자
종목 | 금 | 은 | 동 |
---|---|---|---|
2016 자세히 |
![]() 폴란드 |
![]() 헝가리 |
![]() 영국 |
2020 자세히 |
![]() 헝가리 |
![]() 브라질 |
![]() 프랑스 |
2024 자세히 |
![]() 헝가리 |
![]() 브라질 |
![]() 프랑스 |
- 여자
종목 | 금 | 은 | 동 |
---|---|---|---|
2016 자세히 |
![]() 영국 |
![]() 독일 |
![]() 폴란드 |
2020 자세히 |
![]() 독일 |
![]() 우크라이나 |
![]() 칠레 |
2024 자세히 |
![]() 칠레 |
![]() 우크라이나 |
![]() 독일 |
KL2
[편집]KL2 분류는 다리와 몸을 일부 움직일 수 있는 선수를 가리킨다. KL2로 분류된 선수는 카약에 정자세로 앉을 수 있어야 한다. 이 때 등받이를 사용할 수 있다.[9]
- 남자
종목 | 금 | 은 | 동 |
---|---|---|---|
2016 자세히 |
![]() 오스트레일리아 |
![]() 오스트리아 |
![]() 영국 |
2020 자세히 |
![]() 오스트레일리아 |
![]() 우크라이나 |
![]() 이탈리아 |
2024 자세히 |
![]() 오스트레일리아 |
![]() 영국 |
![]() 우크라이나 |
- 여자
종목 | 금 | 은 | 동 |
---|---|---|---|
2016 자세히 |
![]() 영국 |
![]() 우크라이나 |
![]() 오스트레일리아 |
2020 자세히 |
![]() 영국 |
![]() 영국 |
![]() 헝가리 |
2024 자세히 |
![]() 영국 |
![]() 영국 |
![]() 독일 |
KL3
[편집]KL3 분류는 몸을 움직일 수 있고 다리를 일부 움직일 수 있는 선수를 가리킨다.[10]
- 남자
종목 | 금 | 은 | 동 |
---|---|---|---|
2016 자세히 |
![]() 우크라이나 |
![]() 독일 |
![]() 브라질 |
2020 자세히 |
![]() 우크라이나 |
![]() RPC |
![]() 영국 |
2024 자세히 |
![]() 알제리 |
![]() 오스트레일리아 |
![]() 브라질 |
- 여자
종목 | 금 | 은 | 동 |
---|---|---|---|
2016 자세히 |
![]() 영국 |
![]() 오스트레일리아 |
![]() 프랑스 |
2020 자세히 |
![]() 영국 |
![]() 프랑스 |
![]() 독일 |
2024 자세히 |
![]() 영국 |
![]() 프랑스 |
![]() 독일 |
VL2
[편집]VL2 분류는 KL2 분류와 같으나 바(Va'a) 카누를 타는 선수를 가리킨다.
- 남자
종목 | 금 | 은 | 동 |
---|---|---|---|
2020 자세히 |
![]() 브라질 |
![]() 미국 |
![]() 포르투갈 |
2024 자세히 |
![]() 브라질 |
![]() 브라질 |
![]() 미국 |
- 여자
종목 | 금 | 은 | 동 |
---|---|---|---|
2020 자세히 |
![]() 영국 |
![]() 오스트레일리아 |
![]() 영국 |
2024 자세히 |
![]() 영국 |
![]() 캐나다 |
![]() 오스트레일리아 |
VL3
[편집]VL3 분류는 KL3 분류와 같으나 바(Va'a) 카누를 타는 선수를 가리킨다. 일부 KL2 선수는 현외 장치가 있는 카누를 안정하게 탑승함으로서 이 분류를 받기도 한다.
- 남자
종목 | 금 | 은 | 동 |
---|---|---|---|
2020 자세히 |
![]() 오스트레일리아 |
![]() 브라질 |
![]() 영국 |
2024 자세히 |
![]() 우크라이나 |
![]() 영국 |
![]() 뉴질랜드 |
- 여자
종목 | 금 | 은 | 동 |
---|---|---|---|
2024 자세히 |
![]() 영국 |
![]() 영국 |
![]() 중화인민공화국 |
다수 메달 획득 선수
[편집]2021년 기준[update] 패럴림픽 패러카누에서 메달 2개 이상을 획득한 선수는 다음과 같다.
순서 | 선수 | 국가 | 연도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커티스 맥그레스 | ![]() |
2016~2020 | 3 | 0 | 0 | 3 |
2 | 엠마 위그스 | ![]() |
2016~2020 | 2 | 0 | 1 | 3 |
3 | 세르히 예멜리야노우 | ![]() |
2016~2020 | 2 | 0 | 0 | 2 |
4 | 에디나 물러 | ![]() |
2016~2020 | 1 | 1 | 0 | 2 |
5 | 쟌넷 치핑턴 | ![]() |
2016~2020 | 1 | 0 | 1 | 2 |
6 | 수잔 세이펠 | ![]() |
2016~2020 | 0 | 1 | 1 | 2 |
각주
[편집]- ↑ “Paratriathlon and canoeing for 2016 - Paralympics news - London 2012 | MSN Sport UK”. Sport.uk.msn.com. 2010년 12월 16일. 2014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일에 확인함.
- ↑ “BBC Sport - Disability Sports - Canoeing and triathlon added to 2016 Paralympic Games”. BBC News. 2010년 12월 11일. 2014년 2월 2일에 확인함.
- ↑ “Canoe | IPC”. Paralympic.org. 2014년 2월 2일에 확인함.
- ↑ “Para-Canoeing added to roster for 2016 Paralympic Games in Rio”. Paddling Life. 2014년 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Canoe | IPC”. Paralympic.org. 2014년 2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Paracanoe”. Rio 2016. 2014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일에 확인함.
- ↑ “Paracanoe”. 《ICF Canoe and Kayak》.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 2021. 2021년 9월 3일에 확인함.
- ↑ “Paracanoe”. 《ICF - Planet Canoe》. 2016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Para Canoe Classification”. Australian Paralympic Committee. 2016년 6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Paracanoe”.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