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티잔스크
파르티잔스크 | |||||
Партизанск | |||||
| |||||
행정 | |||||
나라 | 러시아 | ||||
---|---|---|---|---|---|
지역 | 극동 연방관구 | ||||
행정구역 | 연해주 | ||||
역사 | |||||
설립 | 1896년 | ||||
인구 | |||||
인구 | 36,247명 (2021년) | ||||
인구밀도 | 28.13 명/km2 | ||||
지리 | |||||
면적 | 126 km2 | ||||
해발 | 140 m | ||||
기타 | |||||
시간대 | UTC+10(VLAT) | ||||
우편번호 | 692864 | ||||
지역번호 | +7 692851–692854, 692856, 692858, 692860, 692861, 692864, 692867–692869 | ||||
(러시아어) 공식 웹사이트
|
파르티잔스크(러시아어: Партизанск, 문화어: 빠르찌잔스크)는 프리모르스키 지방에 위치한 도시이다. 인구는 43,700명(2002년)이다.
시호테알린 산맥의 끝자락에 위치했으며, 파르티잔스카야 강이 흐르고 나홋카에서 50km,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동쪽으로 172km 지점에 위치해 있다.
1896년에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수찬스키 룻닉 (Сучанский Рудник)이었지만 1932년 4월 27일에는 도시이름이 수찬(Сучан)으로 바뀌었다.
현재 파르티잔스크의 시장은 이고리 룰코(Игорь Иванович Рулько, 2005년 2월 6일)이다.
한인의 역사[편집]
19세기 중반 이후, 기근과 폭정, 농민반란 등으로 많은 조선 농민들이 이곳에 정착한다. 이 곳은 무장 빨치산 투쟁을 전개했던 한창걸이 활동했던 곳이며, 코민테른 집행위원을 지낸 박진순의 고향이기도 하다.
신영동, 동개터, 다우지미, 큰령 등의 한인 정착촌이 발달했다.
기후[편집]
Partizansk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최고 기온 기록 °C (°F) | 5.7 (42.3) |
10.0 (50.0) |
17.9 (64.2) |
31.1 (88.0) |
31.0 (87.8) |
33.5 (92.3) |
38.0 (100.4) |
38.0 (100.4) |
32.2 (90.0) |
27.7 (81.9) |
19.2 (66.6) |
9.0 (48.2) |
38.0 (100.4) |
평균 최고 기온 °C (°F) | −7.7 (18.1) |
−4.0 (24.8) |
2.8 (37.0) |
11.9 (53.4) |
18.2 (64.8) |
21.4 (70.5) |
24.5 (76.1) |
25.4 (77.7) |
20.8 (69.4) |
13.7 (56.7) |
2.9 (37.2) |
−5.4 (22.3) |
10.4 (50.7) |
일 평균 기온 °C (°F) | −12.5 (9.5) |
−9.0 (15.8) |
−2.2 (28.0) |
5.9 (42.6) |
11.7 (53.1) |
15.6 (60.1) |
19.5 (67.1) |
20.3 (68.5) |
14.8 (58.6) |
7.7 (45.9) |
−2.0 (28.4) |
−9.9 (14.2) |
5.0 (41.0) |
평균 최저 기온 °C (°F) | −17.6 (0.3) |
−14.6 (5.7) |
−7.9 (17.8) |
0.0 (32.0) |
5.5 (41.9) |
10.5 (50.9) |
15.4 (59.7) |
15.8 (60.4) |
8.9 (48.0) |
1.7 (35.1) |
−7.3 (18.9) |
−14.9 (5.2) |
−0.3 (31.5) |
최저 기온 기록 °C (°F) | −30.9 (−23.6) |
−32.5 (−26.5) |
−22.8 (−9.0) |
−12.2 (10.0) |
−2.0 (28.4) |
0.0 (32.0) |
1.0 (33.8) |
1.7 (35.1) |
−5.0 (23.0) |
−14.1 (6.6) |
−20.0 (−4.0) |
−28.0 (−18.4) |
−32.5 (−26.5)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12.8 (0.50) |
15.0 (0.59) |
24.0 (0.94) |
43.0 (1.69) |
58.5 (2.30) |
106.0 (4.17) |
112.6 (4.43) |
110.0 (4.33) |
106.7 (4.20) |
46.0 (1.81) |
29.1 (1.15) |
17.3 (0.68) |
681.0 (26.81) |
평균 상대 습도 (%) | 55 | 54 | 56 | 60 | 69 | 77 | 85 | 81 | 74 | 62 | 57 | 56 | 65 |
출처: [1] |
각주[편집]
- ↑ “Partizansk temperature averages”. Weatherbase. 2016년 5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러시아어) 공식 웹사이트
- (러시아어) 프리모르스키 지방 사이트의 파르티잔스크 정보 사이트
- (러시아어) 파르티잔스크 포털 Archived 2005년 12월 19일 - 웨이백 머신
![]() |
이 글은 러시아의 도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