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노래 정보
〈노래 정보〉 | |
---|---|
의 노래 |
〈싱글명〉 | ||||
---|---|---|---|---|
![]() 싱글 사진 | ||||
음악가의 싱글 | ||||
앨범 《음반명》의 수록곡 | ||||
B면 | 〈다른 면〉 | |||
발매일 | 2024년 4월 1일 | |||
장르 | 컨템퍼러리 알앤비 | |||
길이 | 3:01 | |||
레이블 | 컬럼비아 | |||
송라이터 | 송라이터 | |||
프로듀서 | 프로듀서 | |||
음악가 싱글 연표 | ||||
|
〈노래명〉 | |
---|---|
![]() 노래 사진 | |
음악가의 노래 | |
앨범 《음반명》의 수록곡 | |
발매일 | 2024년 4월 1일 |
녹음일 | 2024년 1월 1–10일 |
장소 | 장소 |
장르 | 컨템퍼러리 알앤비 |
길이 | 3:01 |
레이블 | 컬럼비아 |
작사가 | 작사가 |
작곡가 | 작곡가 |
프로듀서 | 프로듀서 |
위키백과에서 노래에 대한 문서에는 일반적으로 개요나 요약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상자가 포함됩니다. 일반적으로 노래 정보는 상업적으로 발매된 녹음 음악을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정보상자는 핵심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지나치게 자세하거나 문서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장르나 작곡가 등의 정보는 문서에서 논의되었거나 출처가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에서 확인된 내용만 포함해야 합니다.
아래 제공된 코드를 복사한 후, 특정 노래 문서에 맞는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Parameters 섹션에서 각 필드의 사용법을 안내합니다.
코드
[편집]〈{{{곡명}}}〉 | |
---|---|
[[File:{{{사진}}}|{{{사진크기}}}|alt={{{alt}}}|upright={{{cover_upright}}}|{{{alt}}}]] {{{설명}}} | |
{{{음악가}}}의 {{{종류}}} | |
앨범 《{{{음반}}}》의 수록곡 | |
언어 | {{{언어}}} |
영어제목 | {{{영어제목}}} |
A면 | 〈{{{A면}}}〉 |
B면 | 〈{{{B면}}}〉 |
작성일 | {{{작성일}}} |
출판일 | {{{출판일}}} |
발매일 | {{{발매일}}} |
녹음일 | {{{녹음일}}} |
녹음실 | {{{녹음실}}} |
장소 | {{{장소}}} |
장르 | {{{장르}}} |
길이 | {{{길이}}} |
레이블 | {{{레이블}}} |
송라이터 | {{{송라이터}}} |
작사가 | {{{작사가}}} |
작곡가 | {{{작곡가}}} |
프로듀서 | {{{프로듀서}}} |
{{{연표}}} | |
{{{트랙}}} | |
{{{기타}}} |
아래 첫 번째 템플릿 코드에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포박스 매개변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 필드를 지원할 정보가 문서에 없는 경우 빈칸으로 두세요. {{시작 날짜}} 및 {{duration}} 하위 템플릿을 사용하려면 <!--
및 -->
를 제거합니다.
두 번째는 전체 매개변수 세트를 포함합니다. 대부분의 기사는 많은 필드가 필요하지 않으며 공백으로 두거나 제거될 수 있습니다. 나열된 필드 이외의 필드(예: |arranger=
또는 |recording engineer=
)를 추가하면 표시되지 않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변수
[편집]곡명
[편집]노래의 제목을 나타냅니다. 제공되지 않은 경우, 템플릿은 해당 페이지의 {{PAGENAMEBASE}}를 사용합니다. 링크가 설정되지 않으므로, "(노래)", "(비욘세 노래)" 등의 동음이의어 구분 용어는 포함할 필요가 없습니다.
버전
[편집]노래의 버전을 나타냅니다. 이는 리믹스에 대한 인포박스에서 사용됩니다.
그림
[편집]악보 표지, 싱글 커버, 또는 해당 노래와 관련된 적절한 이미지를 추가합니다. 먼저 이미지를 업로드해야 하며, 그 후 파일 이름에서 "파일:"을 제외한 형태로 입력하면 됩니다. 예: [Image Name].jpg
.
alt
[편집]이 필드는 보는데 문제가 있는 독자를 위해 표지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 또는 설명을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설명
[편집]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을 따르는 적절한 캡션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대문자로 시작하고, 문장 일부일 경우 끝에 마침표를 붙이지 않는 등). 그러나 해당 이미지가 명확하게 인포박스에서 설명하는 발매의 싱글 커버 또는 레코드 라벨인 경우, 별도의 캡션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유형
[편집]아래 코드 표에 나와 있는 대로 "single", "instrumental", "composition", "promo" 등의 유형을 지정합니다. 입력한 값은 자동으로 해당 문서로 링크되므로, 별도로 링크할 필요가 없습니다(기본값은 "song"). 이 필드는 헤더 및 색상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며, 장르 정보를 입력하는 용도는 아닙니다.
출처에서 특정 노래를 "single"로 분류한 경우, 해당 곡이 실제로 싱글로 발매되지 않았더라도 "single"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앨범 수록곡이 후에 싱글로 발매된 경우, 가장 유명한 또는 대표적인 형태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Stairway to Heaven"은 여러 시장에서 프로모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2007년 디지털 싱글로도 출시되었지만, 가장 널리 알려진 버전은 레드 제플린의 네 번째 앨범에 수록된 곡입니다.
Code | Color | Link | Display |
---|---|---|---|
싱글 | khaki | 싱글 | 음악가의 싱글
|
노래 | #E6E8FA | 노래 | 음악가의 노래
|
프로모 | #E6E8FA | 프로모셔널 싱글 | 음악가의 프로모셔널 싱글
|
데모 | #E6E8FA | 데모 | 음악가의 데모
|
리믹스 싱글 | #E6E8FA | 리믹스 | 음악가의 리믹스
|
반주 | #E6E8FA | 반주 | 음악가의 반주
|
악곡 | #E6E8FA | 악곡 | 음악가의 악곡
|
찬송가 | #E6E8FA | 찬송가 | 음악가의 찬송가
|
동요 | #E6E8FA | 동요 | 음악가의 동요
|
기타 | #E6E8FA | 기타 | 음악가의 기타
|
음악가
[편집]해당 곡의 원곡 또는 주된 버전이 특정 아티스트와 관련이 있는 경우, 해당 아티스트의 이름을 입력하고 위키 문서가 있을 경우 링크를 추가합니다.
밴드 이름이 "The"로 시작하는 경우, 소문자 "the"를 사용합니다(예: |artist=the Beatles
, |artist=the Rolling Stones
). 이는 MOS:THEMUSIC 지침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전통 음악이나 역사적인 곡처럼 특정한 아티스트의 버전이 중심이 아닌 경우, 이 필드는 비워둘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Template:Infobox musical composition 사용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음반
[편집]해당 곡이 처음 발표된 앨범이 있다면 앨범명을 입력하고 링크를 추가합니다. 템플릿은 자동으로 앨범명을 기울임체로 표시하며, 헤더에서 "음반명의 수록곡" 형태로 출력됩니다.
곡이 앨범보다 훨씬 먼저 싱글로 발매되었을 경우, 이 필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는 해당 곡이 앨범의 일부로 발표된 것이 아니라 후에 포함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Beck's Bolero"와 "Back on the Chain Gang"은 앨범 발매보다 약 16개월 전에 싱글로 출시되었으며, 앨범보다 싱글로 먼저 잘 알려졌습니다.
EP
[편집]해당 곡이 처음 발표된 EP(Extended Play)가 있다면 EP명을 입력하고 링크를 추가합니다. 앨범명과 마찬가지로 기울임체로 표시됩니다.
앨범과 EP 중 하나만 입력해야 하며, 최초로 발매된 형태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언어
[편집]해당 곡이 영어가 아닐 경우, 사용된 언어를 입력합니다. 일반적인 언어는 링크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영어제목
[편집]해당 곡의 제목이 영어가 아닐 경우, 영어 번역 제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A면
[편집]해당 곡이 싱글의 B면(B-side)으로 발매되었을 경우, A면(A-side) 곡의 제목을 입력하고 링크를 추가합니다(B-side는 입력하지 않음).
곡이 복수의 A면을 가진 더블 A면(싱글)로 발매된 경우, 이중 A사이드 싱글의 연대표 섹션을 참고하십시오.
B면
[편집]해당 곡이 싱글의 A면(A-side)으로 발매되었을 경우, B면(B-side) 곡의 제목을 입력하고 링크를 추가합니다(A-side는 입력하지 않음).
후속 발매, 다른 시장에서의 재발매 등의 경우, 인포박스가 아닌 본문에서 다루는 것이 원칙입니다.
작성일
[편집]해당 곡이 작성되거나 작곡된 연도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 필드는 일반적으로 악보 출판 또는 음반 녹음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작곡된 역사적인 곡에 사용됩니다.
출판일
[편집]해당 곡이 출판된 연도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이는 음반 녹음이 보편화되기 전, 악보 출판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매일
[편집]곡의 상업적 발매일을 입력합니다(싱글, 앨범 또는 기타 형태).
일반적으로 소매 시장에서 대중에게 널리 제공된 날짜를 사용하며, 유출본이나 라디오국 프로모션용 배포본 등의 날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주목할 만한 경우라면 본문에서 언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앨범 수록곡이 라디오에서 방송된 적이 있더라도, 정식 발매일이 아닌 앨범 발매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반면, 후에 싱글로 정식 발매되어 더 널리 알려진 경우, 싱글 발매일을 입력해야 합니다.
날짜는 {{시작 날짜}}를 사용해 입력해야 합니다.
- 전체 날짜: {{시작 날짜|YYYY|MM|DD}}
- 연도와 월만 있을 경우: {{시작 날짜|YYYY|MM}}
- 연도만 있을 경우: {{시작 날짜|YYYY}}
후속 발매, 다른 시장에서의 재발매, 컴필레이션 수록 등은 본문에서 다루는 것이 원칙입니다.
녹음일
[편집]해당 곡이 녹음된 날짜를 입력합니다.
여러 날짜가 있을 경우, 월 또는 월 범위를 요약하여 입력하는 것이 좋습니다(예: 2023년 1월–3월).
녹음실
[편집]곡이 녹음된 스튜디오의 이름과 위치를 입력합니다.
스튜디오 이름은 링크를 추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도시, 주, 국가 등은 링크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스튜디오 명칭에 "Studios"가 포함된 경우, 이를 생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 [[Sound City Studios|Sound City]] → "Sound City"
장소
[편집]라이브 녹음된 곡의 경우, 공연장(콘서트 홀, 스타디움 등)의 이름과 위치를 입력합니다.
장르
[편집]해당 곡의 음악 장르를 입력합니다.
장르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WP:RS)에서 제공된 정보여야 하며, 반드시 본문에도 명시하고 출처를 기재해야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이나 독자 연구는 포함할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장르는 고유명사가 아니므로 대문자로 시작하지 않으며, 여러 장르가 나열될 경우 첫 번째 장르만 대문자로 시작해야 합니다.
길이
[편집]노래의 길이는 분과 초를 콜론(:) 으로 구분하여 입력해야 합니다(예: 3:09). "3분 9초", "3' 9"" 등의 형식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초 단위 값은 반드시 포함해야 하므로, 3분 길이의 노래는 "3:00"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길이는 원본 앨범이나 싱글 발매본을 기준으로 해야 하며, 재발매판이나 다운로드 버전 등의 길이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만약 여러 길이를 입력해야 한다면, 두 번째 이후 길이부터는 을 사용합니다(예: {{Duration|3:09}} → "3:09"). 여러 항목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 자세한 내용은 Notes[1]를 참고해 주세요.
레이블
[편집]해당 곡을 발매한 레코드 회사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후 재발매본, 국가별 출시판 등의 정보는 본문에서 다루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레이블 이름에 "Records"가 포함된 경우 이를 제외하고 입력해야 하며, 예를 들어 [[에픽 레코드]] 대신 [[에픽 레코드|에픽]]을 사용해야 합니다.
송라이터
[편집]음악과 가사가 한 명의 작가에 의해 쓰였거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작곡가와 작사가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합니다. 만약 작곡가(composer)와 작사가(lyricist)가 구별된 경우라면 송라이터 필드를 사용하지 않고 각각의 필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작곡가
[편집]노래의 음악을 작곡한 사람을 입력하는 필드입니다. 작곡가와 작사가가 구분되지 않은 경우에는 송라이터 필드를 대신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악기 연주만 있는 연주곡(인스트루멘탈)의 경우에는 작곡가 필드만 사용합니다.
작사가
[편집]노래의 가사를 작성한 사람을 입력하는 필드입니다. 작곡가와 구별되지 않은 경우에는 송라이터 필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프로듀서
[편집]공식적으로 음반 프로듀서(record producer)로 크레딧된 인물을 입력해야 합니다. 단, 총괄 프로듀서(executive producer), 공동 프로듀서(co-producer), 보컬 프로듀서(vocal producer) 등은 일반적으로 포함하지 않으며, 이들의 기여가 메인 프로듀서와 동등하다는 신뢰할 만한 출처가 있을 경우에만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본문이나 트랙 리스트에서 다루는 것이 적절합니다.
연표
[편집]이 필드는 해당 아티스트의 싱글 연표를 표시하며, 바로 뒤에 나오는 전제목과 후제목과 함께 사용됩니다. 만약 이 필드를 비워 두면, 자동으로 "아티스트 싱글 연표"가 표시됩니다. 특정 국가나 버전의 연표를 나타내고 싶다면 "아티스트 미국" 또는 "아티스트 영국 싱글"과 같이 입력하면 "아티스트 미국 연표", "아티스트 영국 싱글 연표"처럼 표시됩니다.
전제목
[편집]이전 싱글의 제목을 입력합니다. 자동으로 큰따옴표가 추가되므로 별도로 표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해당 곡의 위키백과 문서가 있다면 링크를 걸어 주세요. 이전 싱글이 없다면 비워 둡니다.
전년도
[편집]이전 싱글이 발매된 연도를 입력합니다. 연도는 위키백과의 날짜 표기 스타일을 따르므로,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이전 싱글이 없다면 비워 둡니다.
전버전
[편집]이전 곡의 버전이 다를 경우 이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후제목
[편집]다음 싱글의 제목을 입력합니다. 자동으로 큰따옴표가 추가되며, 위키백과 문서가 있다면 링크를 걸어 주세요.
후년도
[편집]다음 싱글이 발매된 연도를 입력합니다. 연도는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후버전
[편집]다음 곡의 버전이 다를 경우 이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트랙
[편집]여러 가지 트랙 리스트 형식이 제공됩니다.
기타
[편집]- ↑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plainlist
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